$\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HP기법을 이용한 국가 주요시설물 중요도 평가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mportance Evaluation System for National Major Infrastructures using AHP Method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8, 2015년, pp.532 - 543  

박재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정책연구소) ,  김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정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연재해에 따른 SOC시설물의 피해는 구조물 자체의 안전성에 위험뿐 아니라 시설물을 이용하는 국민들에게 경제 사회적인 측면에서 직간접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인구밀도가 높은 대도시지역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나기에 재난재해등의 위험이 발생하였을 경우 지역내 중요시설물이 어떤 것이 있는가를 파악하고 관리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설물이 가지고 있는 시설물별 중요한 인자를 도출하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분석기법을 통해서 가중치를 부여하여 시설물별 중요도평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시설물의 중요도는 시설물을 관리하는 지자체 및 시설물관리자로 하여금 평상시에 관리하는 시설물의 우선순위를 제공하고 재난발생등 위급한 시나리오에서 어느 시설물부터 사전에 관리하고 재난이후에 한정된 예산을 어느 시설물부터 투입하여 보수 보강할 것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의사결정지원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mage of national infrastructures not only endangers the structural safety, but also has a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national economy and society. Since the influence of damage has been enhanced in the metropolitan areas, the infrastructures in danger should be identified and managed under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설물 중요도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시설물 중요도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 개발을 위한 Test-Bed 지역으로 선정된 대구의 성서공업단지는 공단 좌측의 낙동강 본류를 기반으로 강정고령보와 대명제, 세천제 등의 제방, 사문진교 등의 교량 등 다양한 시설물이 존재하고 있으며, 공업단지 내에 공동주택 및 에너지/공업시설이 다수 존재하고 있어 시설물 중요도 알고리즘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지역이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설물 중요도평가 시스템은 재난재해 발생시 중요한 시설물 및 시설물의 사용자에 대한 보호 및 대피를 위해 개발되었다. 하지만, 현재의 중요도평가 시스템은 중요도를 평가하는 기능에만 머물러 있으며, 다른 시스템과의 연계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시설물의 중요도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관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관리대상시설물의 범위를 선정하였다.
  • 국내 시설물관리의 경우 시설물이 가지고 있는 사회· 경제적 중요성을 고려치 않고, 단순히 시설물이 가지고 있는 설계상 규모를 기준으로 관리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중요한 시설물에 대한 관리 소홀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관리되어 지고 있는 시설물의 규모별 중요도 평가에 새로이 도출된 인자를 고려한 새로운 시설물중요도평가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시설물별로 중요한 인자를 도출하고 AHP분석기법을 통해 중요인자에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도출하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AHP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시설물별 중요도평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는 어떠한 문제를 유발하고 있나?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는 대기온도 상승과 함께 태풍, 지진 등의 자연현상을 유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국가 주요시설물의 안전이 상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1].
계층분석법이란? 계층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 AHP)은 수많은 공공부분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 문제에 활용되고 있는 기법으로 의사결정자의 오랜 기간 축적된 경험, 지식 등을 쌍대비교 즉, 요소간의 1:1 비교를 통하여 정량화하는 대표적인 전문가 의사결정 도출 방법이다. 주요 평가분야 및 세부 평가항목 가중치 계산을 위한 조사 방식은 각 요소간 쌍대비교하여 종축의 평가항목이 횡축의 평가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중요 한지에 따라 1에서 9까지 척도를 기입하였다[7].
시설물의 중요도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관리함으로써 보완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시설물 관리는 지나치게 규모 위주로 정의되어 시설물의 사회·경제적 중요성과 실질적 위험성 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시특법에 포함되지 않는 시설물은 특정관리 대상시설물로 편입되어 지자체에서 관리하고 있으나, 특정관리 대상시설물의 범위가 너무 방대하고, 지자체의 여건(전문인력부족, 예산부족 등)으로 인해 시설물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조윤원, 최형욱, 최수영, 조명희, "수변구조물 재해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피해 평가 인벤토리 개념 설계",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7권, pp.144-158, 2014. 

  2. 신은영, 박재우, 이교선, "국가 주요시설물 중요도 기준 연구", 한국시설안전공단, pp.12-18, 2010. 

  3. 박재우, 채명진, 이규, 조문영, "소규모 교량 자산 관리를 위한 계측 테스트베드 구축",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3권, 제6호, pp.13-23, 2012. 

  4. E. H. Oh, Identification of the Impact of Critical Infrastructure on Associated Industries: Analysis of a Flood Disaster Event, Master's Thesis: Purdue University, Indiana, USA. 2009. 

  5. Oh, E. H, Impact Analysis of Natural Disaster on Critical Infrastructure, Associated Industries, and Communities, Ph.D. Dissertation, Dept. of Civil Engineering, Purdue University, Indiana, USA. 2010. 

  6. C. A. Cornell, J. Jalayer, O. R. Hamburger, and D. A. Foutch, "Probabilistic basis for 2000 SAC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steel moment frame guideline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Vol.128, No.4, pp.526-533, 2007. 

  7. 박재우, 이두헌, 구재동 노관섭, "한국형 녹색도로 인증시스템 평가요소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5권, 제6호, pp.16-26, 2014. 

  8. 배윤신, 이상염, "기상이변으로 인한 기반시설물 재해에 관한 고찰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9-46, 2014.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