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에서 생물학적 동전기법의 영향에 의한 As의 이동
Improved Migration of Arsenic by Bio-Electrokinetics in Soil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4 no.4, 2015년, pp.344 - 351  

김홍태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태룡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비소로 오염된 지역의 토양 및 지하수에 동전기적 기술을 사용하고 배양된 토양 미생물과 배양액을 주입하여 토양 내의 토착 미생물을 활성화하여 비소의 이동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주요목표이다. 생물학적 동전기법은 미생물의 전기적 이동을 이용하여 기존의 생물학적 복원에서 문제시 되어온 늦은 분해속도와 낮은 제거효율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이는 전극의 전해액 대신 토양 미생물과 배양액을 혼합 주입하여 유기물질을 전자 공여체로 이용하는 다양한 토양 미생물이 Fe, Mn 등을 환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변의 금속 산화 미생물이 As(III)를 As(V)로 변환시킴으로써 As(III)의 이동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As의 이동도가 기존 동전기법의 약 30%에 비해 60 ~ 70%정도로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bio-electrokinetics was used to increase migration of arsenic by activating endemic microorganisms in the soil. In this technology, bio-electrokinetics which the cultured soil microorganisms and nutrients injected combines with biological technology. This technology using electrical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동전기법을 수행하며 오염 토양 내 토착 미생물을 활성화(Siegrist, H., Reithaar, S. and Lais, P., 1998, Zumft, W.G., 1997, 조아영, 이일규, 전은형, 안태영, 2003)시켜 비소의 이동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소로 오염된 지역의 토양 및 지하수에 동전기적 기술을 사용하고 배양된 토양 미생물과 배양액을 주입하여 토양 내의 토착 미생물을 활성화하여 비소의 이동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알려진 토양 및 지하수 내 오염물질은 무엇이 있는가? 현재 알려진 토양 및 지하수 내 오염물질은 CN, F, Cr6+, Cu, Cd, Pb, Zn, Ni, As, Hg, 유기인, PCB, 페놀류, TCE, PCB, BTEX, 석유계총탄화수소 등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AMD(Acid Mine Drainage)에는 As, Ni, Zn, Pb, Cd, Cu 등의 중금속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주변 토양 및 지하수가 계속 오염되고 있는 실태이다.
비소는 자연에서 어떻게 존재하는가? 토양내 비소는 자연적 및 인위적 기원에 유래하며, 자연에서 비소성분은 무기 및 유기화합물의 상태로 존재한다. 비소는 자연에서 4가지 산화종인 -3, 0, +3, +5의 원자가로 존재한다. 비소화합물은 크게 산소(O), 염소(Cl) 및 황(S)과 결합한 무기비소 화합물과 탄소(C), 수소(H)와 결합한 유기비소 화합물로 나누어진다.
As, Ni, Zn, Pb, Cd, Cu 등의 중금속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 중 AMD(Acid Mine Drainage)에는 As, Ni, Zn, Pb, Cd, Cu 등의 중금속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주변 토양 및 지하수가 계속 오염되고 있는 실태이다. 이들 중금속들은 다양한 이동매체를 통해 토양 내에 축적되어 영양분 결핍, 생태계 파괴, 지하수 오염, 생물학적 다양성 감소 등의 피해를 야기하며 최종적으로 동식물의 성장과 인간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Lovley, D. R.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Lovley DR., Phillips EJP, Lonergan DJ. 1989. Hydrogen and formate oxidation coupled to dissimilatory reduction of iron or manganese by Alteromonas putrefaciens, Appl. Environ. Microbiol., 55, 700-706. 

  2. McLean JS, Lee JU, Beveridge TJ. 2002. Interactions of bacteria and environmental metals, fine-grained mineral development and bioremediation strategies. In: Huang PM, Bollag JM, Senesi N. (Eds.) Interactions between Soil Particles and Microorganisms: Impact on the Terrestrial Ecosystem, John Wiley and Sons, Chichester, England, pp. 227-261. 

  3. Deshpande S, Wesson L, Wade D, Sabatini DA, Harwell JH. 2000. Dowfax Surfactant Component for Enhancing Contaminant Solubilization, Wat. Res., 34(3), 1030-1036. 

  4. Zhu S, Zhang J, Dong T. 2009. Removal of fluorine from contaminated field soil by anolyte enhanced electrokinetic remediation, Environ Earth Sci, 59, 379-384. 

  5. Siegrist H, Reithaar S, Lais P. 1998. Nitrogen loss in a nitrifying rotating contactor treating ammonium-rich wastewater without organic carbon. Wat Sci Techn, 38, 241-248. 

  6. Park SW, Lee TY, Yang JS, Kim KJ, Baek K. 2009.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with waste-lubricant oils and zinc,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69, 1168-1172. 

  7. Daghighi Y, Li D. 2010. Induced-charge electrokinetic phenomena, Microfluid Nanofluid, 9, 593-611. 

  8. Zumft WG. 1997. Cell biology and molecular basis of denitrification, Microbiol Mol Biol Rev, 61, 533-616. 

  9. 연규훈, 이평구, 염승준, 최상훈. 2005. 삼산제일광산 광미 내 유해 미량원소의 오염 및 이동도, 자원환경지질, 38, 451-464.(Yeon KH, Lee PK, Youm SJ, Choi SH. 2005. Contamination and mobility of toxic elements in tailings of samsanjeil mine, Econ. Environ. Gelo., 38(4), 451-464.) 

  10. 윤삼석. 2002. Electrokinetic 기술에 의한 광산 퇴적토의 중금속 정화 특성, 경성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7-124.(Yoon SS. 2002. Characteristics of electrokinetic remediation on the heavy metal contaminated mine deposit, kyungsung university, pp.107-124.) 

  11. 조아영, 이일규, 전은형, 안태영. 2003. Shewanella putrefaciens DK-1의 Fe(III) 환원 특성,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39(3), 175-180.(Cho AY, Lee IG, Jeon EH, Ahn TY. 2003. Utilization of Various Electron Acceptors in Shewanella putrefaciens DK-1,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39)3, 175-180.) 

  12. 김홍태, 이태룡. 2013. 배지의 특성에 따른 토양미생물 활성이 Bio-electrokinetics에서 Pb와 Cu의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재학회, 13(3), 247-251.(Kim HT, Lee TR. 2013. Effect of soil microbes on electromigr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of lead and copper by bio-electrokinetics, Journal of KOSHAM, 13(3), 247-251.) 

  13. 이명호, 김대호, 김수삼. 2008. 점토슬러지의 초기 함수비 및 공급 전압구배가 동전기적 정화효율에 미치는 영향, 대한폐기물학회, 25(3), 253-259.(Lee MH, Kim DH, Kim SS. 2008. The Influence of Electrical Intensity and Initial Moisture Content on the Electrokinetic Remedial Efficiency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lurry,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25(3), 253-2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