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주지역에서 '후지' 사과나무의 휴면단계 변화 및 눈 발달
Changes in Dormant Phase and Bud Development of 'Fuji' Apple Trees in the Chungju Area of Korea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3 no.4, 2015년, pp.501 - 510  

이별하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  박요섭 (중앙대학교 생명자원공학부 식물시스템과학전공) ,  박희승 (중앙대학교 생명자원공학부 식물시스템과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삽을 이용한 'Fuji' 사과나무의 발아 특성 관찰을 통해 자연상태에서의 내재휴면 개시 및 타파 시점을 찾고, 이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시에 휴면과 발아와의 관계를 좀 더 명확히 하고자 내부적인 눈의 발달 양상을 관찰하여 휴면과 저온 및 눈 발달간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들을 예상하고 대처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Fuji' 사과나무의 내재휴면 기간은 발아 소요 일수 및 발아율 조사를 통해 만개 후 165일부터 255일 사이 즉, 10월말부터 이듬해 1월 초까지 약 70일 정도 지속됨을 알 수 있었으며, 최초 발아까지 20일 이내, 최종 발아율 60% 이상을 기준으로 외재휴면에서 내재휴면으로, 다시 내재휴면에서 환경휴면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렇게 도출된 내재휴면기 동안 요구되는 저온을 산출한 결과, 내재 휴면타파기인 만개 후 255일까지 축적된 저온은 CH 모델의 경우 666h, Utah 모델은 517CU으로 조사되었다. 휴면기 및 휴면타파기 동안 눈의 내부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7월 중순경부터 꽃눈분화가 시작되었으며, 9월에는 중심화의 화원기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이후 꽃눈의 발달은 휴면 기간 동안에도 느리지만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이듬해 2월에는 각 기관들의 발육 단계가 좀 더 진전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또한 'Fuji' 사과의 눈은 휴면 기간 동안 대부분 건전하게 생존해 있었지만 일부에서 화원기의 괴사현상이 발견되었고, 이는 저온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이기보다는 얼음결정 형성으로 인해 일부 조직의 세포가 피해를 입고, 이로부터 괴사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꽃눈은 과대지의 액아와 단과지의 정아에서 모두 형성되었으나, 전체 꽃눈 중 약 65%의 비율로 단과지의 정아에서 더 많은 꽃눈이 분화되고 있었으며, 이는 눈의 크기 및 눈이 위치한 가지의 직경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onset and release of endo-dormancy under natural conditions by observing bud break characteristics in 'Fuji' apple trees using water cuttings. Through examinations of bud break rate and days to bud break, we found that the endo-dormancy of 'Fuji' apple tree conti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재배종인 ‘Fuji’ 사과를 대상으로 생육기부터 휴면타파 이후까지 시기를 세분화하여 발아 특성 관찰을 통해 국내 환경에 맞는 휴면단계 변화 및 내재휴면 타파와 저온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재배종인 ‘Fuji’ 사과를 대상으로 생육기부터 휴면타파 이후까지 시기를 세분화하여 발아 특성 관찰을 통해 국내 환경에 맞는 휴면단계 변화 및 내재휴면 타파와 저온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눈 발달을 관찰하여 발아와 휴면과의 관계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직면한 기후 변화에 따른 변화들을 예상하고 대처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수삽을 이용한 ‘Fuji’ 사과나무의 발아 특성 관찰을 통해 자연상태에서의 내재휴면 개시 및 타파 시점을 찾고, 이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시에 휴면과 발아와의 관계를 좀 더 명확히 하고자 내부적인 눈의 발달 양상을 관찰하여 휴면과 저온 및 눈 발달간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들을 예상하고 대처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Fuji’ 사과나무의 내재휴면 기간은 발아 소요 일수 및 발아율 조사를 통해 만개 후 165일부터 255일 사이 즉, 10월 말부터 이듬해 1월 초까지 약 70일 정도 지속됨을 알 수 있었으며, 최초 발아까지 20일 이내, 최종 발아율 60% 이상을 기준으로 외재휴면에서 내재휴면으로, 다시 내재휴면에서 환경휴면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찾을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수삽을 이용한 ‘Fuji’ 사과나무의 발아 특성 관찰을 통해 자연상태에서의 내재휴면 개시 및 타파 시점을 찾고, 이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재휴면이란 무엇인가? 대부분의 온대과수는 봄에서 겨울까지의 4계절을 주기로 지속적인 환경변화를 겪으며 생존하고 있다. 그 중, 내재휴면은 계절적으로 식물 생장에 불리한 조건으로 전환되는 중에 생장을 억제하기 위한 눈의 내부적인 생리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이다(Horvath et al., 2003).
대부분의 온대과수는 어떤 환경에서 살고 있나? 대부분의 온대과수는 봄에서 겨울까지의 4계절을 주기로 지속적인 환경변화를 겪으며 생존하고 있다. 그 중, 내재휴면은 계절적으로 식물 생장에 불리한 조건으로 전환되는 중에 생장을 억제하기 위한 눈의 내부적인 생리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이다(Horvath et al.
단과지의 발달을 유도시키는 것이 꽃눈 확보에 보다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는 이유는? 또한 꽃눈은 과대지의 액아와 단과지의 정아(Fig. 5)에서 각각 34.3과 65.7%의 비율로 나타나 단과지의 정아에서 더 많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모든 단과지의 정아에서 꽃눈 분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다시 단과지 내에서 잎눈과 꽃눈을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잎눈과 꽃눈 차이는 오로지 크기에 의한 것으로 꽃눈은 잎눈보다 평균 종경이 1.4 ± 0.32mm, 횡경은 0.78 ± 0.12mm 더 컸다(Table 5). 따라서 단과지의 발달을 유도시키는 것이 꽃눈 확보에 보다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ndersen, P.C. and T.E. Crocker. 2009. Low-chill apple cultivars for north and north central Florida. Dept. of Hort. Sci. Inst. of Food and Agr. Sci. Univ. of Florida, Gainesville, FL, USA. 

  2. Asakura, T. 2011. Model prediction of the spring phenology for 'Fuji' apple. Acta Hortic. 903:1135-1140. 

  3. Atkinson, C.J., R.M. Brennan, and H.G. Jones. 2013. Declining chilling and its impact on temperate perennial crop. Environ. Exp. Bot. 91:48-62. 

  4. Ben Mimoun M., and T.M. Dejong. 1999. Using the relation between growing degree hours and harvest date to estimate run-times for PEACH: A tree growth and yield simulation model. Acta Hortic. 499:107-114. 

  5. Bergh, O. 1985. Morphogenesis of Malus domestica cv. Starking flower buds. S. Afr. J. plant Soil 2:187-190. 

  6. Burke, M.J., L.V. Gusta, H.A. Quamme, C.J. Weiser, and P.H. Li. 1976. Freezing and injury in plants. Annu. Rev. Plant Physiol. 27:507-528. 

  7. Cain D.L. 2006. Chill hours in home fruit orchards. http://www.aces.edu/counties/Walker/newscolumns/chillhoursinfruit.pdf 

  8. Cesaraccio, C., D. Spano, R.L. Snyder, and P. Duce. 2004. Chilling and forcing model to predict bud-burst of crop and forest species. Agr. For. Meteorol. 126:1-13. 

  9. Chmielewski, F.M., A. Muller, and E. Bruns. 2004. Climate changes and trends in phenology of fruit trees and field crops in Germany, 1961-2000. Agr. For. Meteorol. 121:69-78. 

  10. Choi, I.M., C.H. Lee, Y.P. Hong, and H.S. Park. 2007. Relation between one-year-old branch vigor and bud necrosis in 'Campbell Early' grapevines. Kor. J. Hort. Sci. Technol. 25:375-381. 

  11. Choi, I.M., J.H. Han, S.H. Kim, J.G. Cho, I.C. son, and K.R. Do. 2011. Effect of climatic changes in fruit culture zone and cultural countermeasures. Kor. J. Hort. Sci. Technol. 29:39. (Abstr.) 

  12. Chung, U., K.J. Lee, and B.W. Lee. 2007. Preliminary report of observed urban-rural gradient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cross Seoul, Suwon, and Icheon in South Korea. Kor. J. Agr. For. Meteorol. 9:268-276. 

  13. Collins, C. and B. Rawnsley. 2005. Factors influencing main bud necrosis (PBN) in Australian vineyard. VII. Intl. Symp. Grapvine Physiol. Biotechnol. Acta Hortic. 689:81-86. 

  14. Dokoozlian, N.K. 1999. Chilling temperature and duration interact on the budbreak of 'Perlette' grapevines cuttings. HortScience. 34:1-3. 

  15. El-Agamy, S.Z., A.K.A Mohanmed, F.M.A. Mostafa, and A.Y. Abdallah. 2001. Chilling and heat requirements for budbreak and fruiting of "Anna" and "Dorsett Golden" apple cultivars under warm climatic conditions. Acta Hortic. 565:03-108. 

  16. Faust, M., D. Liu, S.Y. Wang, and G.W. Stutte. 1995. Involvement of apical dominance in winter dormancy of apple buds. Acta Hortic. 395:47-56. 

  17. Fishman, S., A. Erez, and G.A. Couvillon. 1987. The temperaturedependence of dormancy breaking in plants-mathematical analysis of a 2-step model involving a cooperative transition. J. Theor. Biol. 124:473-483. 

  18. Foster, T., R. Johnston, and A. Seleznyova. 2003. A morphological and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early floral development in apple (Malus domestica Borkh.). Ann. Bot. 92:199-206. 

  19. Guy, C.L. 1990. Cold acclimation and freezing stress tolerance:Role of protein metabolism. Annu.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41:187-223. 

  20. Hauagge, R. and J.N. Cummins. 1991. Phenotypic variation of length of bud dormancy in apple cultivars and related Malus species. J. Am. Soc. Hortic. Sci. 116:00-106. 

  21. Heide, O.M. 2008. Interaction of photoperiod and temperature in the control of growth and dormancy of Prunus species. Sci. Hortic. 115:309-314. 

  22. Heide, O.M. and A.K. Prestrud. 2005. Low temperature, but not photoperiod, controls growth cessation and dormancy induction and release in apple and pear. Tree Physiol. 25:109-114. 

  23. Herter, F.G., N.L. Finardi, and J.C. Mauget. 1988. Dormancy development in apple trees curtivars Gala, Golden and Fuji in pelotas. Acta Hortic. 232:109-115. 

  24. Horvath, D.P., J.V. Anderson, W.S. Chao, and M.E. Foley. 2003. Knowing when to grow: Signals regulating bud dormancy. Trends Plant Sci. 8:534-540. 

  25.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3. Fifth assessment report (WG 1)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6. Jackson, D.I. and G.B. Sweet. 1972. Flower initiation in temperate woody plants (a review based largely on the literature of conifers and deciduous fruit trees). Hortic. Abstr. 42:9-25. 

  27. Kim, E.J., B.H.N. Lee, Y.H. Kwon, K.H. Shin, K.H. Chung, S.J. Park, and H.S. Park. 2011. Bud necrosis characteristics of 'Hongosul' grape. Kor. J. Hort. Sci. Technol. 29:407-412. 

  28. Kim, J.H., J.C. Kim, K.C. Ko, K.R. Kim, and J.C. Lee. 2006. General pomology. Hyangmoonsha Press. Seoul. p. 38-39. 

  2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2.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http://www.kma.go.kr. 

  30. Kweon, H.J., D.H. Sagong, Y.Y. Song, M.Y. Park, S.I. Kwon, and M.J. Kim. 2013. Chilling requirement for breaking of internal dormancy of main apple cultivars in Korea. Kor. J. Hort. Sci. Technol. 31:666-676. 

  31. Lopez, G., R.S Johnson, and T.M. DeJong. 2007. High spring temperatures decrease peach fruit size. Calif. Agric. 61:31-34. 

  32. Luedeling, E., M. Zhang, V. Luedeling, and E.H. Girvetz. 2009. Sensitivity of winter chill models for fruit and nut trees to climate change. Agric. Ecosyst. Environ. 133:23-31. 

  33. Mohamed, H.B., A.M. Vadel, J.M.C. Genus, and H. Khemira. 2010. Biochemical changes in dormant grapevine shoot tissues in response to chilling: Possible role in dormancy release. Sci. Hortic. 124:440-447. 

  34. Okuba, H. 2000. Growth cycle and dormancy in plants. CABI. P. 1-22. 

  35. Ramina, A, M. Colauzzi, A. Masia, A. Pitacco, T. Caruso, R. Messina, and G. Scalabrelli. 1995. Hormonal and climatological aspects of dormancy in peach buds. Acta Hortic. 395:35-45. 

  36. Richardson, E.A., S.D. Seeley, and D.R. Walker. 1974. A model for estimating the completion of rest for 'Redhaven' and 'Elberta' peach trees. Hortic. Sci. 9:331-332. 

  37. Rodrigo, J. 1999. Spring frosts in deciduous fruit trees: Morphological damage and flower hardiness. Sci. Hortic. 85:155-173. 

  38. Scagel, C.F., R.P Regan, and G. Bi. 2010. Bud necrosis of green ash nursery trees is influenced by nitrogen availability and fertilizer type. HortTechnology 20:206-212. 

  39. Shaltout, A.D. and C.R. Unrath. 1983. Rest completion prediction model for Starkrimson Delicious apples. J. Am. Soc. Hortic. Sci. 108:957-961. 

  40. Steponkus, P.L. 1984. Role of the plasma membrane in freezing injury and cold acclimation. Annu. Rev. Plant Physiol. 35:543-584. 

  41. Takemura, Y., K. Kuroki, K. Matsumoto, and F. Tamura. 2013. Cultivar and areal differences in the breaking period of bud endodormancy in pear plants. Sci. Hortic. 154:20-24. 

  42. Yun, S.H., J.N. Im, J.T. Lee, K.M. Shim, and K.H. Hwang. 2001. Climate change and coping with vulner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Kor. J. Agric. For. Meteorol. 4:220-2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