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물실습을 이용한 통증자가조절기 교육 프로그램이 부인과 복강경 수술환자의 수술 후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CA (Patient Controlled Analgesics) Education Program including Practicum on Post-op Pain of Gynecologic Laparoscopic Surgery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7 no.3, 2015년, pp.253 - 261  

황미숙 (국립강원대학교병원 간호과) ,  김주현 (국립강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atient controlled analgesics (PCA) education program (including practicum) on post-op pain suffered by patients who have undergone gynecologic laparoscopic surgery. Methods: The research was designed for a nonequivalent control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실물실습을 이용한 통증자가조절기 교육 프로그램이 부인과 복강경 수술환자의 수술 후 통증, 조절버튼 누른 횟수 및 부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제1가설: 수술 전 실물실습을 이용한 통증자가조절기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일반적 통증자가조절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수술후 통증이 적을 것이다.
  • 2) 제2가설: 수술 전 실물실습을 이용한 통증자가조절기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일반적 통증자가조절 교육을 받은 대조군은 수술후 조절버튼을 누른 횟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제3가설: 수술 전 실물실습을 이용한 통증자가조절기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일반적 통증자가조절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수술후 부작용이 적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환자에게 통증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수술환자에게 통증은 신체적, 정신적 회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적절한 통증관리를 통해 통증 및 폐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수술 후 적극적인 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조기퇴원과 만족감을 높인다[1]. 임상에서 수술환자의 25-90%는 부적절한 통증 관리를 받고 있으며[2,3], 통증의 90% 정도는 적절한 관리를 통해 해결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4].
자가통증조절기 사용에 대한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무엇이 있는가? 따라서 자가통증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하려면 자가통증조절기 사용에 대한 교육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통증자가조절기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통증을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통증지식도 향상시켰지만[4], Chumbley 등[9]은 임상에서 통증자가조절기에 대한 대부분의 교육이 구체적이지 않고 버튼 작동법과 같은 단순한 기술적인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실제로 사용자의 40%환자가 일상적인 정보만으로는 통증자가조절기에 대한 정보가 불충분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Joo [10]도 효과적인 수술 후 통증관리를 위해서 환자에게 자가통증조절기 사용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여, 통증이 있을 때 자신의 통증수준을 인식하고 통증이 심할 때 보다 빠른 시기에 진통제를 투여하도록 지식을 행동화하기 위한 훈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수술을 앞둔 환자에게 실물실습을 이용한 통증자가조절기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진통제에 관한 잘못된 오해를 수정하고, 통증자가조절기 사용법 습득 방법에 대한 효율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최근 수술 후 통증자가조절기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최근에는 통증자가조절기(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가 통증 초기에 환자 스스로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어 동일한 강도로 반복되는 통각자극에 대한 과민 반응과 진통제의 과량 투여를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최근에는 수술 후 통증관리 방법의 하나로 통증자가조절기 사용을 많이 하고 있다[6]. 그러나 부인과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에서 통증자가조절기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증도에서 심한 정도의 통증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고[7] 자가통증관리가 구강투여에 의한 처방통증관리와 비교하여 진통제 소모량이 많았고 통증도 심한 것으로 보고한 연구[8]도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SI, Kim SC, Choi JK, Jin HC. Transcutaneous electrical acupoint stimulation for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female patients receving iv-PCA. Intravenous Anesthesia. 2001;5(4):210-215. 

  2. Aubrun F, Langeron O, Quesnel C, Coriat P, Riou B Relationships between measurement of pain using visual analog score and morphine requirements during postoperative intravenous morphine titration. Anesthesiology, 2003; 98(6):1415-1421. 

  3. Kalkman CJ, Visser K, Moen J, Bonsel GJ, Grobbee DE, Moons, KG. Preoperative prediction of severe postoperative pain. Pain. 2003;105(3):415-423. 

  4. Lee HS, An JH. The effects of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education provided for nurses and patients on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2):5-17. 

  5. Lee YS, Son JS, Yoon HS. Risk factors and level of acute post-operative pain in surgical patients during the first 48 hours after surgery.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4;16(3):226-234. 

  6. Grass J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Anesthesia and Analgesia. 2005;101(5 Suppl):S44-61. 

  7. Good M, Stanton-Hicks M, Grass JA, Anderson GC, Makii M, Geras J. Pain after gynecologic surgery. Pain Management Nursing. 2000;1(3):96-104. 

  8. Rajpal, S Gordon DB, Pellino TA, Strayer AL, Brost D, Trost GR, et al. Comparison of Perioperative Oral Multimodal Analgesia Versus IV PCA for Spine Surgery. Journal of Spinal Disorders and Techniques. 2010;23(2):139-145. 

  9. Chumbley GM, Ward L, Hall GM, Salmon P. Pre-operative information and patient-controlled anesthesia: Much ado about nothing. Anesthesia. 2004; 59(4):354-358. 

  10. Joo KW. The Effect of patient-controlled analgesia education for patients with laparoscopy-aided gastrectomy [master's thesis]. Suwon: Aju University; 2013. p. 1-63. 

  11. Choi JE.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PCA education program including preparatory sensory information for gynecologic surgery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09. p. 1-74. 

  12. Kang JH, Bang KS, Ko SH. Power analysis in experimental design with t test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9; 15(1):120-127. 

  13. Pettersson PH, Lindskog EA, Owell A. Patient-controlled versus nurse-controlled pain treatment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Acta Anaesthesiogica Sandinavica. 2000;44(1):43-47. 

  14. Spielberger CD. Anxiety : state-trait process, Stress and anxiet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75. p. 115-144. 

  15. Kim JT, Shin DK.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1978;21(11):69-75 

  16. Walding MF. Pain, anxiety and powerlessn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1;16(4):388-397. 

  17. Chen HH, Yeh ML, Yang HJ. Testing the impact of a multimedia video CD of patient-controlled analgesia on pain knowledge and pain relief in patients receiving sur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2005;74(6):437-445. 

  18. Shin CH. The effect of PCA education and P6 arcupressure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of hysterectomy patient [master' thesis], Jinju: G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04. p. 1-78. 

  19. Shea RA, Brooks JA, Dayhoff NE, Keck J. Pain intensity and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mong the elderly after abdominal surgery. Heart and Lung. 2002;31(6):440-449. 

  20. Manias E, Botti M, Bucknall T. Observation of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the complexities of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2;11(6):724-733. 

  21. Park JS, Lee MH, Lee HR. Effect of preoperative pain management education the control of postoperative pain focused on the PCA used surgical patients with uterine tumor. Asian Oncology Nursing. 2011;11(2):108-115. 

  22. Lee JH, Jo HS. Effects of a structured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education on knowledge and attitude regarding PCA usage, pain, and consumption of analgesics in colorectal surgery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3):455-466. 

  23. Hong SJ, Lee EJ. Cost analysis of post operative pain managementfor surgical patients using PCA.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of Nursing. 2013;20(2): 137-1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