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증자가조절기 융합교육이 척추수술환자의 수술 후 통증관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Convergence Education on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in Spinal Surgery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2, 2018년, pp.371 - 380  

최가영 (김원묵기념봉생병원) ,  김주성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목적은 통증자가조절기(patient controlled analgesia:PCA)융합교육이 척추수술 후 통증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60명의 척추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30명)에게 수술 전 PCA동영상, 소책자, 및 PCA실습으로 구성한 PCA융합교육을 적용하였다. 구조화된 질문지로 자료수집한 후 기술통계, ${\chi}^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및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척추수술 후 실험군의 PCA지식태도, PCA만족도, 통증관리만족도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p=.001; p<.001). 실험군의 수술 후 통증과 추가 진통제사용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p=.001). 따라서 시청각매체와 PCA실습을 접목한 PCA융합교육은 척추수술환자의 통증관리에 효과적인 실무중재임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간호실무에서 융합중재개발에 응용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a(PCA) convergence education on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in spinal surgery patients. Sixty spinal surgery patients were included. For the experimental group(n=30), PCA education using video, booklet, and a P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를 적용하여 통증자가조절기(PCA) 융합교육이 척추수술환자의 수술 후 통증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통증자가조절기(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융합교육중재가 척추수술환자의 수술 후 통증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목적의 규명을 위해 다음의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PCA융합교육중재는 PCA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척추수술환자 스스로가 자신의 수술 후 통증조절에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성공적인 통증조절을 경험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CA융합교육중재는 시청각매체, 인쇄매체, 실습모델을 활용하여 학습내용전달 방식을 다양하게 융합하고 교육내용에 대한 설명과 영상을 통한 간접 체험, 내용요약정리 및 실습을 통한 직접 체험 등 다양한 단계에서 개인별 학습이해도와 속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 그러므로 척추수술 후 효과적인 통증조절은 예후에 대한 불안을 완화하고 능동적인 재활참여를 유도하는데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통증자가조절기에 관한 체계적인 융합교육이 척추수술환자의 수술 후 통증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척추수술 후 통증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제1가설: PCA융합교육중재를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PCA지식태도가 높을 것이다.
  • 제2가설: PCA융합교육중재를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통증정도가 낮을 것이다.
  • 제3가설: PCA융합교육중재를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추가진통제 사용 빈도가 낮을 것이다.
  • ▪제3가설: 수술 후 추가 진통제 사용빈도는 실험군 1.50±1.14회, 대조군 2.60±1.30회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3.49 p=.001).
  • 제4가설: PCA융합교육중재를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PCA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 ▪제4가설: 척추수술 후 PCA만족도는 실험군이 8.50±1.04점, 대조군은 6.50±2.71점으로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77, p=.001).
  • 제5가설: PCA융합교육중재를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통증관리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 ▪제5가설: 수술 후 통증관리만족도는 실험군 4.75±0.29점, 대조군 3.94±0.70점으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t=-5.86, p<.001) PCA융합교육중재를 적용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수술 후 통증관리만족도가 높을 것이다는 제 5가설은 지지되었다[table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추질환이 수변하는 증상은? 척추질환은 부적절한 작업환경이나 생활습관, 부상, 노화와 관련한 퇴행성 변화 등으로 인해 전 연령층에서 광범위하게 발병하고 있으며 만성적인 통증과 하지감각이상, 기동성 장애를 초래하여 개인의 삶의 질을 위협한다[1]. 추간판탈출증, 척추전위증, 척추관협착증 등과 같이 척추구조변화를 수반하는 질병특성으로 인해 척추질환의 근본적인 치료는 변형된 척추구조를 복구하는 수술중재라고 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척추수술이 연간 약 85,000~90,000건에 이르러 다빈도 수술질환별 순위에서 매년 상위를 차지하고 있으며[2] 인구구조의 고령화추세는 퇴행성 척추질환 유병률도 증가시켜 척추수술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견된다.
척추질환의 특징은 무엇인가? 척추질환은 부적절한 작업환경이나 생활습관, 부상, 노화와 관련한 퇴행성 변화 등으로 인해 전 연령층에서 광범위하게 발병하고 있으며 만성적인 통증과 하지감각이상, 기동성 장애를 초래하여 개인의 삶의 질을 위협한다[1]. 추간판탈출증, 척추전위증, 척추관협착증 등과 같이 척추구조변화를 수반하는 질병특성으로 인해 척추질환의 근본적인 치료는 변형된 척추구조를 복구하는 수술중재라고 할 수 있다.
척추수술은 무엇인가? 척추수술은 신체선열유지의 기본 축이 되는 척추골과 주변조직 및 신경로를 교정해 통증완화와 운동능력회복을 도모하는 것이다[1]. 그러나 척추수술환자들은 수술부위 손상우려와 통증으로 인해 수술 후 재활회복관리에 주저하는 경향이 높다[1,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