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슬관절 전치술 노인 환자의 수술 전 자가통증조절기 사용 교육이 수술 후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e-Operative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Education on Elderly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4, 2014년, pp.318 - 325  

심주희 (서울대학교병원) ,  최스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operative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education on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patients' PCA usage, level of pain, the frequency of pro re nata (prn) administrations, number of ambulations/day and continu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연구에서는영상, 소책자, 실물모형통증자가조절기를 이용한 통합적 교육이 노인 환자의 수술 후 통증자가조절기에 대한 지식의증가, 통증감소, 오심구토등부작용발생 감소 및 수술 후 보행횟수와 관절 범위 운동 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고자 한다.
  • , 2007), 다른 의료진과 협동하여 통증의 증상완화를 위해 다양한 간호 접근을 시도해야 하는 책임이 있는데 통증으로 인한 고통과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음에 비해 통증 중재가 제대로 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Tak & Kim, 2012). 또한, 현재 노인 슬관절 전치술 환자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이러한 적절한 통증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노인의 지식, 통증 감소 효과 및 오심, 구토, 어지러움의 부작용 감소의 효과를 조사한 연구는찾아보기힘들다.
  • 본 연구는 노인 슬관절 전치술 환자에게 제공한 통증관리와 통증자가조절기 교육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이다. 대상자는 실험효과의 확산을 막기 위해 S대학 병원 정형외과 병동에 먼저 입원한 23명을 대조군으로, 자료수집이 끝난 후 입원한 23명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술 후 통증자가조절기를 사용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통증관리와 통증자가조절기 사용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것이다.
  •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술을 받은 노인에게 제공한 통증관리와 통증자가조절기 교육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 결과 중재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증자가조절기사용 및 통증 조절에 대한 지식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통증자가조절기 부작용 발생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고 부작용 발생 시 의료진에게 즉시 알리도록 한 것이 오심 정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통증자가조절기의 일시적중단후재투여시, 지속된부작용으로기계사용을멈춘환자와 부작용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아 통증자가조절기 사용을 계속한 환자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또한, 오심, 구토, 어지럼 외 다른 부작용은 본 연구에서 조사하지 않아 통증자가조절기 사용 부작용에 대한추후연구가요구된다.
  • 교육용 자료의 구성은 1-통증자가조절기란 무엇인가, 2-통증자가조절기의 사용 목적, 3-사용되는 약물, 4-사용법, 5-부작용(오심, 구토, 어지럼), 6-장치의 구성의 내용, 7-통증자가조절기 사용과 수술 후 필요성으로 구성 되어 있다. 부작용 발생 시 통증자가조절기를 잠그고 간호 사실에 보고 하도록 하였으며, 운동 전 약물 추가 투입에 대한 내용을교육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과적인 통증관리의 이점은 무엇인가? 수술 후 부적절한 통증관리는 내분비계, 호흡기계, 위장관계, 면역학적 반응, 응고체계,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어 합병증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고 환자의 기동력을 제한할 수 있다(Lee, 2002). 그러나, 효과적인 통증관리는 관절 섬유증 발생과 관절운동 범위의 제한을 줄여주고, 정상 보행으로 빠르게 회복하도록 도와주는 것으로나타났다(Choi, Kim, Gwak, Kim, & Min, 2010).
수술 후 부적절한 통증관리는 무엇에 영향을 주나? 그러나 환자들은 수술 후 통증관리 및 진통제에 대한 지식부족으로 통증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Ko, 2002). 수술 후 부적절한 통증관리는 내분비계, 호흡기계, 위장관계, 면역학적 반응, 응고체계,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어 합병증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고 환자의 기동력을 제한할 수 있다(Lee, 2002). 그러나, 효과적인 통증관리는 관절 섬유증 발생과 관절운동 범위의 제한을 줄여주고, 정상 보행으로 빠르게 회복하도록 도와주는 것으로나타났다(Choi, Kim, Gwak, Kim, & Min, 2010).
노인 환자의 경우 통증자가조절기가 효과적이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통증자가조절기로 투여하는 마약성 진통제에 대해서 환자 본인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 심지어는 의료계에 종사 하는 사람들 중에서도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Park, 2006). 특히노인환자의경우진통제부작용에대한지나친 우려로 통증자가조절 시에 과소 용량이 투여되어 통증 조절이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Hwang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J. S., Kim, J. H., Gwak, H. C., Kim, J. W., & Min, Y. K. (2010). Pain control after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using periarticular multimodal drug injection. Hip and Pelvis, 22(4), 273-282. http://dx.doi.org/10.5371/jkhs.2010.22.4.273 

  2. Cline, M. E., Herman, J., Shaw, E. R., & Morton, R. D. (1992). Standardization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Nursing Reserch, 41(6), 378-380. http://dx.doi.org/10.1097/00006199-199211000-00013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Vol. 2nd Edition). New York: Psychology Press. 

  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3). Statistics. Retrieved October 6, 2014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Web site: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5020000&cmsurl/cms/open/04/02/03/02/stats_report.html 

  5. Hong, J. Y. (2002). The effect of passive motion exercise with music therapy on pain and mood in patients with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6. Hwang, H. S., Kim, H. H., Shin, J. W., Leem, C. G., Lee, C., Yang, H. S., et al. (2004). Comparison of analgesic requirements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in patients undergoing major orthopedic surgery. The Korean Journal of Pain, 17(2), 228-233. 

  7. Kim, M. A., Park, Y. K., Kim, E. H., Kim, M. H., Jung, S. H., Shu, S. R., et al. (2013). Change of visual perception and visual-motor integration depending on ag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33(1), 39-52. 

  8. Kim, T. H., Kil, Y. K., Chu, S. H., Jang, S. Y., Jung, M. Y., Seo, M. A., et al. (2007).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nurses on post-operative pai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9(2), 125-134. 

  9. Kim, Y. J., Kim, J. Y., Choi, I. R., Kim, M. W., & Rhodes, V. (2000). The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Korean Translation). Korean Jounal of Adult Nursing, 12(2), 278-285. 

  10. Knoerl, D. V., Faut-Callahan, M., Paice, J., & Shott, S. (1999). Preoperative PCA teaching program to manage postoperative pain. Medsurg Nursing, 8(1), 25-33, 36. 

  11. Ko, J. W. (2002). Post operative patient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pain-managemen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12.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Statistics. published materials. Retrieved October 6, 2014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b site: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3. Lee, D. J. (1999). Factors that influencing range of motion of the knee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14. Lee, E. Y. (2012). The effect of PCA education and P6 acupressure on post-operative discomfort in elderly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Dongeui University, Busan. 

  15. Lee, H. S., & Kim, K. H. (2002). The effect of emotional state and social support of preoperative patients on postoperative pain.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6(1), 101-111. 

  16. Lee, J. C., & Park, G. D. (2013). Review of rehabilitation exercise for elderly with degenerative knee osteoarthritis.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21(3), 171-183. 

  17. Lee, J. H., Kim, H. S., Lee, Y. W., & Kim, S. H. (2014). The effect of preoperative education about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on postoperative pain control of elderly receiving total knee athroplas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 28-39. 

  18. Lee, J. H., & Jo, H. S. (2011). Effects of a structured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education on knowledge and attitude regarding PCA usage, pain, and consumption of analgesics in colorectal surgery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3), 455-466. 

  19. Lee, K. M. (2002). Perioperative pain management. Inje Medical Journal, 23(3), 185-192. 

  20. Oh, P. J., & Yoo, J. H. (2011)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on nusea and vomiting in cancer patients. Korean Jounal of Adult Nursing, 23(4), 340-350. 

  21. Owen, A. L., Splett, P. L., & Owen, G. M. (1999). Nutirion in the community. The art and science of delivering service. pp310-338, WCB, Boston. 

  22. Park, J. H. (2006). The effects of the preoperative education about IV-PCA on the consumption of analgesic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23. Park, S. Y. (2011). The effect of adjuvant cold therapy before continuous passive motion on pain management in elderly total knee replacement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24. Rhodes, V. A., & McDaniel, R. W. (1999). The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 new format of the index of nausea and vomiting. Oncology Nursing Forum, 26(5), 889-894. 

  25. Shin, C. H. (2004). The effect of PCA education and P6 acupressure on post operative pain, nausea and vomiting of hysterectomy patien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6. Shin, M. Y., & Ha, J. Y. (2014). Efficacy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in patient undergoing laparoscopic prostatectomy with 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2), 131-140.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2.131 

  27. Suh, M. J., Jeong, J. S., & Oh, H. S. (2003). Analysis on content and trend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published in adult nursing area.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5(2), 41-51. 

  28. Tak, H. H., & Kim, K. H. (2012). A study on performance of pain management and perceived barriers of pain care among hospital nurses. Nursing Science, 24(1), 23-34. 

  29. The Korean Journal of Pain, Korean Studies Information, & Korean Pain. (2007). The Korean Journal of Pain. Goyang: Korean Studies Information. 

  30. Yoo, J. B., Jang, H. J., Na, E. H., Kim, S. Y., & Shin, D. S. (2011). Effect of the nei-guan(P6) ac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and pain in geriatric patients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7(2), 96-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