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기 가정환경검사(IT-HOME) 규준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Normative Scores for the IT-HOME Inventory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3 no.4, 2015년, pp.433 - 445  

이영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이정림 (육아정책연구소) ,  박신진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 라이프텍 연구원) ,  우현경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구자연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정현주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s normative scores of the Infant/Toddler version of the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IT-HOME) inventory for Korean infants and toddlers. We selected 482 0- to 36-month-old infants and families by a stratified sampling procedure that considered residency, 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T-HOME의 내용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영아발달 관련 전문가 10인에게 각 문항이 가정의 양육환경을 선별하고, 가정환경의 특성 및 양육의 질을 측정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지 검토하도록 의뢰하였다. 전문가 10인의 의견을 취합한 결과, ITHOME이 적절한 내용의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러한 지적과 함께 영아의 발달과 성장에 미치는 가정환경의 영향력이 꾸준히 강조되면서 이를 개념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도구개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 왔으며[3, 11, 12, 32], 이 연구들에서는 가정환경의 질을 측정하는 것이 영아의 발달을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면서 가정환경을 하위영역으로 구분하여 어머니의 훈육 태도나 언어사용 등과 같은 심리적 과정변인을 포함시켰다. 또한 가정환경을 측정하는 방법적인 면에서도 주로 관찰을 통해 환경적인 요인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전국단위 표집 설계에 의해 선정된 0-36개월 482 명의 영아와 그들의 가정을 대상으로 발달에 불리한 환경을 조기 중재하기 위해 고안된 IT-HOME 도구를 타당화하여 추후 연구를 위한 규준점수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가정환경의 특성과 양육의 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된 IT-HOME의 타당성을 밝히면서 규준점수를 산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과 필요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가정은 인간이 경험하는 최초의 사회적 환경으로서 전 생애의 발달과 성장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가정환경 속에서 인간은 기본적인 생활습관과 성격을 형성하고 행동양식과 가치관을 확립해 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T-HOME은 무엇인가? 영아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가정환경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 중, Caldwell과 Bradley [11]가 개발한 Infant/Toddler version of the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IT-HOME)이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IT-HOME은 영아기 가정환경의 질을 측정하고 생의 초기 발달에 불리한 환경을 선별하는 지표를 제공하고자 개발된 도구이다 [12, 21]. 또한 IT-HOME은 환경의 질을 수량화 할 수 있고, 관찰과 면접을 병행하면서도 사용이 간편하며, 검사과정이 가정친화적인 장점을 가진 도구이다[17].
영아기 가정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초기 연구들이 주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나 사회계층을 주요 지표로 사용해온 것의 문제점은? 영아기 가정환경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한 초기 연구들은 주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나 사회계층을 주요 지표로 사용해왔다. 그러나 이 지표들은 가정환경이 영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가 정환경의 질(environmental quality)적인 면을 평가하기에 부적 당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29]. 이러한 지적과 함께 영아의 발달과 성장에 미치는 가정환경의 영향력이 꾸준히 강조되면서 이를 개념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도구개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 왔으며[3, 11, 12, 32], 이 연구들에서는 가정환경의 질을 측정하는 것이 영아의 발달을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면서 가정환경을 하위영역으로 구분하여 어머니의 훈육 태도나 언어사용 등과 같은 심리적 과정변인을 포함시켰다.
뇌의 구조와 기능적 측면에서 영아기에 제공되는 양질의 환경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뇌 발달 측면에서도 영아기는 인간의 종합적 사고 능력을 관장하는 전두엽 발달의 민감기로서 새로운 시냅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조직화되어 활성화되는 시기이다[16, 18, 23]. 뇌의 구조와 기능은 유전적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후천적 양육환경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에 따른 결과이며, 가소성(plasticity) 또한 뛰어나기 때문에 영아기에 제공되는 양질의 환경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9, 35, 3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nerjee, P. N., & Tamis-LeMonda, C. S. (2007). Infants' persistence and mothers' teaching as predictors of toddlers' cognitive development.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0(3), 479-491. http://dx.doi.org/10.1016/j.infbeh.2006.12.001 

  2. Bradley, R. (1982). The HOME inventory: A review of the first fifteen years. In N. J. Anastasiow, W. K. Frankenburg, & A. W. Fandal (Eds.), Identifying the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 (pp. 87-100). Baltimore, MD: University Park Press. 

  3. Bradley, R. H., & Caldwell, B. M. (1976). The relation of infants' home environments to mental test performance at fifty-four months: A follow-up study. Child Development, 47(4), 1172-1174. http://dx.doi. org/10.1111/j.1467-8624.1976.tb02301.x 

  4. Bradley, R. H., & Caldwell, B. M. (1995). Caregiving and the regulation of child growth and development: Describing proximal aspects of caregiving systems. Developmental Review, 15(1), 38-85. http://dx.doi.org/10.1006/drev.1995.1002 

  5. Bradley, R. H., Caldwell, B. M., & Corwyn, R. F. (2003). The child care HOME inventories: Assessing the quality of family child care hom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3), 294-309. http://dx.doi.org/10.1016/S0885-2006(03)00041-3 

  6. Bradley, R. H., Corwyn, R. F., McAdoo, H. P., & Coll, C. G. (2001). The home environments of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part I: Variations by age, ethnicity, and poverty status. Child Development, 72(6), 1844-1867. http://dx.doi.org/10.1111/1467-8624.t01-1-00382 

  7. Bradley, R. H., McKelvey, L. M., & Whiteside-Mansell, L. (2011). Does the quality of stimulation and support in the home environment moderate the effect of early education programs? Child Development, 82(6), 2110-2122. http://dx.doi.org/10.1111/j.1467-8624.2011.01659.x 

  8. Brooks-Gunn, J., Klebanov, P. K., & Duncan, G. J. (1996). Ethnic differences in children's intelligence test scores: Role of economic deprivation, home environment, and maternal characteristics. Child Development, 67(2), 396-408. http://dx.doi.org/10.1111/j.1467- 8624.1996.tb01741.x 

  9. Bruer, J. T. (2000). The myth of the first three years: A new understanding of early brain development and lifelong learning. New York, NY: Free Press. 

  10. Caldwell, B. M. (1968). On designing supplementary environments for early child development. BAEYC Reports, 10 , 1-11. 

  11. Caldwell, B. M., & Bradley, R. H. (1984).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 Little Rock, AR: University of Arkansas. 

  12. Caldwell, B. M., & Bradley, R. H. (2003). HOME inventory administration manual (comprehensive Ed.). Little Rock, AR: University of Arkansas. 

  13. Caldwell, B. M., & Richmond, J. B. (1968). The children's center: A microcosmic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unit. In L. Dittmann (Ed.), Early child care: The new perspectives . New York, NY: Atherton Press. 

  14. Chung, M. R., Kwon, J. Y., & Park, S. K. (2011).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velopment of 12-month-infants and their home environment.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5), 371-389. 

  15. Chung, W. S. (2012). Human environment . Paju: Kyoyookbook. 

  16. Greene, J. D., Nystrom, L. E., Engell, A. D., Darley, J. M., & Cohen, J. D. (2004). The neural bases of cognitive conflict and control in moral judgment. Neuron, 44(2), 389-400. http://dx.doi.org/10.1016/j.neuron.2004.09.027 

  17. Cox, A., & Walker, S. (2002). The HOME inventory: A training approach for the UK . Brighton, UK: Pavilion Publishing. 

  18. Diamond, A. (2002). Normal development of prefrontal cortex from birth to young adulthood: Cognitive functions, anatomy, and biochemistry. In D. T. Stuss & R. T. Knight (Eds.), Principles of frontal lobe function (pp. 466-503).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 Echambadi, R., Campbell, B., & Agarwal, R. (2006). Encouraging best practice in quantitative management research: An incomplete list of opportunitie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3(8), 1801-1820. http://dx.doi.org/10.1111/j.1467-6486.2006.00660.x 

  20. Elardo, R., Bradley, R., & Caldwell, B. M. (1975). The relation of infants' home environments to mental test performance from six to thirty-six months: A longitudinal analysis. Child Development, 46(1), 71-76. http://dx.doi.org/10.2307/1128835 

  21. Frongillo, E. A., Tofail, F., Hamadani, J. D., Warren, A. M., & Mehrin, S. F. (2014). Measures and indicators for assessing impact of interventions integrating nutrition, health,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308(1), 68-88. http://dx.doi.org/10.1111/nyas.12319 

  22. Gaffney, K. F., Holley-Wilcox, P., & Jones, G. (1996). Prenatal assessment for childhood discipline experiences.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2), 57-65. http://dx.doi.org/10.1111/j.1744-6155.1996.tb00002.x 

  23. Goldberg, E. (2002). The executive brain: Frontal lobes and the civilized brain.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4. Harden, B. J., Sandstrom, H., & Chazan-Cohen, R. (2012). Early Head Start and African American families: Impacts and mechanisms of child outcom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7(4), 572-581. http://dx.doi.org/10.1016/j.ecresq.2012.07.006 

  25. Heckman, J. J., Lochner, L., Smith, J., & Taber, C. (1997). The effects of government policy on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wage inequality. Chicago Policy Review, 1(2), 1-40. 

  26. Holditch-Davis, D., Tesh, E. M., Goldman, B. D., Miles, M. S., & D'Auria, J. (2000). Use of the HOME inventory with medically fragile infants. Children's Health Care, 29(4), 257-277. http://dx.doi.org/10.1207/S15326888CHC2904_3 

  27. Johnson, D. L., Swank, P., Howie, V. M., Baldwin, C. D., Owen, M., & Luttman, D. (1993). Does HOME add to the prediction of child intelligence over and above SE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4(1), 33-40. http://dx.doi.org/10.1080/00221325.1993.9914719 

  28. Lee, Y. (1980). The relationship of home environments to DDST performance in infants and toddlers (7 weeks to 36 months of age). Yonsei Nonchong, 17 , 249-264. 

  29. Lee, Y. (1985).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ME for families of infants and toddlers. Yonsei Nonchong, 21, 379-397. 

  30. Lee, Y., Shin, E. J., & Rha, J. H. (1994). An ecological analysis of early child care arrangements (1).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5(2), 37-54. 

  31. Lee, Y., Shin, E. J., & Rha, J. H. (1995). An ecological analysis of early child care arrangements (2).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3), 165-177. 

  32. Lleras, C. (2008). Employment, work conditions, and the home environment in single-mother families. Journal of Family Issues, 29(10), 1268-1297. http://dx.doi.org/10.1177/0192513x08318842 

  33. Lugo-Gil, J., & Tamis-LeMonda, C. S. (2008). Family resources and parenting quality: Links to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across the first 3 years. Child Development, 79(4), 1065-1085. http://dx.doi.org/10.1111/j.1467-8624.2008.01176.x 

  34. McLaughlin, A. E., Campbell, F. A., Pungello, E. P., & Skinner, M. (2007). Depressive symptoms in young adults: The influences of the early home environment and early educational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78(3), 746-756. http://dx.doi.org/10.1111/j.1467-8624.2007.01030.x 

  35.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7). Understanding the brain: The birth of a learning science. Pari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36. Park, H. W., & Cho, B. H. (2006).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second edition: Interpretational manual (K-BSID-II). Seoul: KidsPop. 

  37. Park, S. J., & Lee, Y. (2011). The effects of a preventive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quality of parenting of low income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6), 67-83. http://dx.doi.org/10.6115/khea.2011.49.6.067 

  38. Pinto, A. I., Pessanha, M., & Aguiar, C. (2013). Effects of home environment and center-based child care quality on children's language, communication, and literacy outcom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8(1), 94-101. http://dx.doi.org/10.1016/j.ecresq.2012.07.001 

  39. Shonkoff, J. P. (2003). From neurons to neighborhoods: Old and new challenges for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Journal of Developmental & Behavioral Pediatrics, 24(1), 70-76. 

  40. Yoon, H. J., & Cho, B. H. (2004). Maternal knowledge of child-rear home environment.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1(2), 59-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