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슬기 열수 추출물이 간독성이 유도된 흰쥐에 미치는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Semisulcospira libertina Extract on Induced Hepatitis in Ra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5 no.5 = no.181, 2015년, pp.539 - 547  

박영미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임재환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이종은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서을원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e) 열수 추출물이 D-galactosamine에 의해 급성 간독성이 유도된 흰쥐에 미치는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다슬기 열수 추출물은 D-galactosamine에 의해 유발된 간 조직 내 국소적 지방변성과 염증세포 침윤을 크게 완화하여 대조군과 유사하게 보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다슬기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간 손상 지표 효소인 AST와 ALT, LDH 및 ALP의 활성이 대조군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간조직 내 지질함량과 과산화지질함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다슬기 열수 추출물이 D-galactosamine으로 인한 혈중 효소 활성과 조직 내 지질함량을 개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다슬기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염증반응을 촉진시켜 조직 상해 및 괴사를 유도하는 TNF-α의 발현을 억제하고 있어 염증 반응에서 세포 손상을 감소시키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슬기 열수 추출물은 D-galactosamine에 의한 조직 괴사를 감소시키고 혈중 효소의 활성과 조직 내 지질함량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염증 반응 인자의 발현과 항산화효소 활성을 조절하여 간독성에 대해 보호 효과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Semisulcospira libertina extract on liver injury induced by D-galactosamine in rat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S. libertina extract, the local fat degeneration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 liver tissues were significantly dec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슬기 열수 추출물이 D-galactosamine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간 조직 내의 항산화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각 실험군별 SOD 활성은 D-galactos- amine의 투여에 따라 감소하여 GalN군이 31.
  • 기존의 연구에서 Jeon 등[13]과 Lee 등[22]은 다슬기가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에 미치는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직학적 변화와 혈청 성분을분석한 바 있으나 다슬기 열수 추출물이 염증 반응 인자의발현과 항산화효소 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슬기 열수추출물이 D-galactosamine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간독성에대한 보호효과를 조직학적 변화와 혈액 성분 분석 및 염증반응 인자의 발현과 항산화효소 활성 변화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슬기 열수 추출물이 D-galactosamine 투여로 인한 간조직의 미세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의 간 조직은 중심정맥에서부터 방사상으로 간세포삭이 배열되었고 그 사이에 동모양의 혈관이 형성되어 어떠한 조직학적 이상도 관찰되지 않았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dzharov, D., Donchev, N., Kerimova, M., Naidenova, E. and Borov, B. 1989. Effects of preliminary fasting on the development of D-galactosamine-induced acute lesion of the liver in rats. Biull. Exsp. Biol. Med. 107, 33-36. 

  2. Aebi, H. 1984. Catalase in vitro, pp. 121-126, In: Packer (eds.), Methods in Enzym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USA. 

  3. Balakrishnan, S. D. and Anuradha, C. V. 1998. Exercise depletion of antioxidants and antioxidant manipulation. Cell Biol. 16, 269-275. 

  4. Bligh, E. G. and Dyer, W. 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 911-917. 

  5. Bradford, M. 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 254. 

  6. Choi, H. J., Han, M. J., Baek, N. I., Kim, D. H., Jung, H. G. and Kim, N. J. 2006. Hepatoprotective effects of Brassica rapa (Turnip) on d-galatosamine induced liver injured rats. Kor. J. Pharmacol. 37, 258-265. 

  7. Flohe, L., Wolfgang, A. and Gunzler, W. A. 1984. Assay of glutathione peroxidase. pp. 105-114. In: Packer (eds.), Methods in enzymatic analysi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8. Folch, J., Mee, L. and Stanley, G. S. H. 1975.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9. Ha, Y. L., Kim, Y. S., Ahn, C. R., Kweon, J. M., Park, C. W., Ha, Y. K. and Kim, J. O. 2010. Mycelial culture of Lentinus edodes alleviates rat liver toxicity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and ethanol. J. Life Sci. 20, 133-141. 

  10. Han, E. K., Jin, Y. X., Yoo, Y. S., Jung, E. J., Lee, J. Y. and Chung, C. K. 2009.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and Paecilomyces japonica on the reduction of hepatotoxicity and lipid metabolism induced by ethanol. J. Kor. Soc. Food Sci. Nutr. 38, 1016-1023. 

  11. Han, S. H., Kim, J. B., Min, S. G. and Lee, C. H. 1995. The effects of Puerariae Radix catechins administration on liver function in carbon tetrachloride-treated rats. J. Kor. Soc. Food Nutr. 24, 713-719. 

  12. Huber, R., Hockenjos, B. and Blum, H. E. 2004. DDB treat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Hepatology 39, 1732-1733. 

  13. Jeon, T. W., Lee, E. S., Lee, Y. S., Ham, O. K., Park, M. H., Kim, K. J. and Kim, H. J. 2002.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emisulcospira libertina and garlic on the liver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31, 516-520. 

  14. Ki, S. H., Choi, J. H., Kim, C. W. and Kim, S. G. 2007. Combined metadoxine and garlic oil treatment efficaciously abrogates alcoholic steatosis and CYP2E1 induction in rat liver with restoration of AMPK activity. Chem. Biol. Interact 169, 80-90. 

  15. Kim, D. C., Jeong, S. W. and Park, P. S. 2010. Effect of green tea extract on acute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39, 343-349. 

  16. Kim, H. J., Mok, J. Y., Park, K. H., Jeon, I. H., Kim, H. S., Hwang, S. Y. and Jang, S. I. 2012. Protective effect on myeongganbo extract on acetaminophen-induced liver injury. Kor. J. Herbology 27, 85-91. 

  17. Kim, N. Y., Lee, J. S., Park, M. J., Lee, K. H., Kim, S. H., Choi, J. W. and Park, H. J. 2004.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active compounds of Kochiae fructus on D-galactosamine-intoxicated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33, 1286-1293. 

  18. Kim, Y. K., Moon, H. S., Lee, M. H., Park, M. J., Lim, C. W., Park, H. Y., Park J. I., Yoon, H. D. and Kim, D. H. 2009. Biological activities of seven melania snails i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2, 434-441. 

  19. Kind, P. R. and King, E. J. 1954. Estimation of plasma phosphatase by determination of hydrolysed phenol with amino antipyrine. J. Clin. Pathol. 7, 322-326. 

  20. Lee, H. H., Yoon, J. S. and Song, S. Y. 2010. Protective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on galactosamine induced liver injury. Kor. J. Microscopy 40, 29-35. 

  21. Lee, J. H., Chi, S. C., Kim, S. H., Shin, Y. H. and Choi, J. W. 2005. Protective effect of DWP-04 against hepatotoxicity induced by D-galactosamine. J. Life Sci. 15, 461-467. 

  22. Lee, M. S., Park, J. B. and Yoon, S. H. 2005. Hepatoprotective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from Semisulcospira gottschei against liver injuries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J. Kor. Soc. Hygienic Sci. 11, 17-26. 

  23. Lee, T. J. and Min, K. J. 2010. The effect of Allium sativum L. extract on hepatic function if rats with CCl 4 -induced (hepatic) injury. J. Kor. Acad. Industr. Coop. Soc. 11, 1936-1942. 

  24. Lim, C. W., Kim, Y. K., Kim, D. H., Park, J. I., Lee, M. H., Park, H. Y. and Jang, M. S. 2009.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lania snails in Korea. Kor. J. Fish Aquat. Sci. 42, 555-560. 

  25. McCord, J. M. and Fridovich, I. 1969.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ic function ferythrocuprotein (Hemocuprotein). J. Biol. Chem. 244, 6049-6055. 

  26. Ohkawa, H,. Ohishi, N. and Yagi, K.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27. Oyanagui, Y. 1989. SOD and active oxygen modulator. pp 17-36. Nihin Igakukan: Tokyo, Japan. 

  28. Park, J. Y., Park, C. M., Kim, J. J. and Song, Y. S. 2008.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sater extract against D-galactosamine-induced hepatitis in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37, 177-183. 

  29. Reitman, S. and Frankel, S. A. 1957.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s. Am. J. Clin. Pathol. 28, 56-63. 

  30. Wang, G. X., Ben, C. E. and Ye, B. K. 1988. Reparative effects of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on experimental liver injury in rats with histochemical and electronmicroscopy study. Chin. J. Integrat. Tradit. Western Med. 8, 158-160. 

  31. Wang, J. and Wendel, A. 1990. Studies on the hepatotoxicity of galactosamine endotoxin or galactosamine/TNF in the perfused mouse liver. Biochem. Pharmacol. 39, 267-270. 

  32. Wills, P. J. and Asha, V. V. 2006. Protective effect of Lygodium flexuosum (L.) Sw. (Lygodiaceae) against D-galactosamine induced liver injury in rats. J. Ethanopharmacol. 108, 116-123. 

  33. Wroblewskin, F. and LaDue, J. S. 1955. Lactic dehydrogenase activity in blood. Proc. Soc. Exp. Biol. Med. 90, 210-2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