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여성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powerment Scale for Woman with Breast Canc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4, 2015년, pp.613 - 624  

신선화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부) ,  박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evaluate empowerment in woman with breast cancer an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Methods: The development process for the initial items included a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and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유방암 여성들의 경험을 토대로 적절한 문항들을 개발하고,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검증, 예비 조사를 통한 문항 이해도 평가, 문법 전공자의 문장 검토를 거쳐 문항을 정련함으로써 측정도구 내용의 전문성과 대표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준거타당도는 관련분야에서 사용되는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선택해야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표준화된 측정도구가 없으므로 국외에서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CEQ를 번역-역번역하여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유방암 여성의 임파워먼트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파워먼트의 개념 및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국내 유방암 여성의 특성을 고려한 임파워먼트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시도된 방법론적 연구이다. 유방암여성 임파워먼트 측정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30문항의 3개 요인으로 구성된 5점 Likert 척도로 개발하였다.
  • 임파워먼트 측정도구의 개발은 유방암 여성이 건강과 자가관리에 관한 주도적인 역량에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이해하도록 돕고, 효과적인 간호중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방암 여성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임파워먼트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 전문가의 구성은 간호학 교수 4인, 종양전문간호사 2인, 유방암 관련 도구개발 경험자 1인, 유방암 전문의 1인, 심리학 교수 1인으로 하였다. 자문 내용은 연구 모형의 이론적 구조가 적절하게 형성되었는지 여부와 예비 문항의 내용이 유방암여성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인에 따른 지표에 타당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타당한 문항을 선정하기 위하여 예비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계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의 특징은? 유방암은 여성에게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암으로, 비록 국내에서는 91%에 달하는 높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으나, 암세포의 느린 성장속도로 인해 10년 후에도 재발 및 전이되는 경우가 20~3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이로 인해 유방암 생존자들은 완치 판정 후에도 매우 높은 수준의 불안을 경험한다[2].
구체적으로 유방암여성 임파워먼트에는 어떠한 역량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 ‘유방암여성 임파워먼트’란 유방암 여성이 건강과 자가관리를 위해 가지고 있는 개인의 주도적인 역량을 의미한다. 이는 유방암 여성이 자신과 암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는 역량,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역량, 그리고 자가관리 실천을 위한 역량이다. 개발된 도구로 측정한 점수가 높을수록 유방암 여성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임파워먼트는 무엇인가? 임파워먼트란 개인, 조직, 사회가 각자의 생활 및 활동에 관한 통제력을 획득하는 것으로, 대상자가 무력감을 극복하는 힘을 가지고 건강에 관한 자율성과 책임감을 갖는 긍정적인 개념이다[6-8]. 임파워먼트는 환자의 치료이행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며[9,10], 대상자가 치료 과정에 주도권을 갖고 자가간호행위를 통제한다는 장점으로 인해 관심이 주목되는 변인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Breast cancer facts & figures 2013 [Internet]. Seoul: Author; 2013 [cited 2014 July 1]. Available from: http://www.kbcs.or.kr/journal/file/2013_Breast_Cancer_Facts_and_Figures_updated.pdf. 

  2. Park JH, Jun EY, Kang MY, Joung YS, Kim GS.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5):613-621. http://dx.doi.org/10.4040/jkan.2009.39.5.613 

  3. Lim IS. Breast cancer, damaged body and sense of femininity crisis.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2006;22(4):5-46. 

  4. Kedde H, van de Wiel HBM, Weijmar Schultz WCM, Wijsen C. Subjective sexual well-being and sexual behavior in young women with breast cancer.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3;21(7):1993-2005. http://dx.doi.org/10.1007/s00520-013-1750-6 

  5. Park EY, Yi M. Illness experience of women with breast cancer in Korea: Using feminist phenomenolog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9;21(5):504-518. 

  6. Fotoukian Z, Shahboulaghi FM, Khoshknab MF, Mohammadi E. Concept analysis of empowerment in old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using a hybrid model. Asian Nursing Research. 2014;8(2): 118-127. http://dx.doi.org/10.1016/j.anr.2014.04.002 

  7. Jerofke TA. Concept analysis of empowerment from survivor and nurse perspectives within the context of cancer survivorship.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2013;27(3):157-172. http://dx.doi.org/10.1891/1541-6577.27.3.157 

  8. Zimmerman MA. Psychological empowerment: Issues and illustration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995;23(5): 581-599. 

  9. Brown C, Bornstein E, Wilcox C. Partnership and empowerment program: A model for patient-centered, comprehensive, and costeffective care.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2;16(1): 15-17. http://dx.doi.org/10.1188/12.cjon.15-17 

  10. Crawford Shearer NB, Fleury JD, Belyea M. Randomized control trial of the health empowerment intervention: Feasibility and impact. Nursing Research. 2010;59(3):203-211. http://dx.doi.org/10.1097/NNR.0b013e3181dbbd4a 

  11. Lee R, Kim SH, Lee KS, Seo M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efficacy scale for self-management of breast cancer (SESSM-B).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3):385-395. http://dx.doi.org/10.4040/jkan.2012.42.3.385 

  12. Miller WR, Lasiter S, Bartlett Ellis R, Buelow JM.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A hybrid concept analysis. Nursing Outlook. 2015;63(2):154-161. http://dx.doi.org/10.1016/j.outlook.2014.07.005 

  13. Yi M, Ryu YM, Hwang E. The experience of self-help group activities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in Kore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4;26(4):466-478. http://dx.doi.org/10.7475/kjan.2014.26.4.466 

  14. Harvey JA, Strahilevitz MA. The power of pink: Cause-related marketing and the impact on breast cancer.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2009;6(1):26-32. http://dx.doi.org/10.1016/j.jacr.2008.07.010 

  15. Park JS, Oh YJ. The effects of a program on cancer symptoms, self-efficacy, self-esteem, and empowerment in home-based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3;27 (1):50-63.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1.50 

  16. Kwon IG, Hong JY, Baek HJ, Kim S, Nam SJ, Kim IR,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avigation program for newly diagnosed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1):111-125. 

  17. Kim A, Choi S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powerment scale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2013;29(2):189-229. 

  18. Aghili R, Khamseh ME, Malek M, Banikarimi AS, Baradaran HR, Ebrahim Valojerdi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iabetes empowerment questionnaire in Irania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13;60(2):267-273. http://dx.doi.org/10.1111/inr.12007 

  19. Anderson RM, Funnell MM, Fitzgerald JT, Marrero DG. The diabetes empowerment scale: A measure of psychosocial self-efficacy. Diabetes Care. 2000;23(6):739-743. http://dx.doi.org/10.2337/diacare.23.6.739 

  20. Chen MF, Wang RH, Cheng CP, Chin CC, Stocker J, Tang SM, et al. Diabetes empowerment process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Chinese vers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1;67(1):204-214.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486.x 

  21. Lewin D, Piper S. Patient empowerment within a coronary care unit: Insights for health professionals drawn from a patient satisfaction surve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07;23(2): 81-90. http://dx.doi.org/10.1016/j.iccn.2006.09.003 

  22. Arvidsson S, Bergman S, Arvidsson B, Fridlund B, Tingstrom P.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wedish rheumatic disease empowerment scale, SWE-RES-23. Musculoskeletal Care. 2012;10(2): 101-109. http://dx.doi.org/10.1002/msc.1005 

  23. van den Berg SW, van Amstel FK, Ottevanger PB, Gielissen MF, Prins JB. The cancer empowerment questionnaire: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013;31(5):565-583. http://dx.doi.org/10.1080/07347332.2013.825361 

  24. Suh EE. The processes of coping with breast cancer among Korean women.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08;16(4): 305-315. 

  25. Hair JF, Black WC, Babin BJ, Anderson RE. Multivariate data analysis: A global perspective.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2010. 

  26.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12. 

  27. Choi EO. Development of empowerment program for the diabetes patients and the experiences of diabetes patient's empowerment process: A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pproach.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1;12(2):317-328. 

  28. Kim SH, Kim JM.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al empowerment scale for wome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04;5(2): 307-324. 

  29. Lee EO, L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s. Paju: Soomoonsa; 2009. 

  30. Park I, Eom H, Lee G. Issues and concurrent solutions for the application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science research.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2014;16 (1):1-22. 

  31. Lee HS, Lim J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0.0. Seoul: JipHyunJae Publishing Co.;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