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Aging Anxiety Scale for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1, 2019년, pp.14 - 25  

이혜진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부) ,  유미애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was a methodological study that aimed to develop a measurement scale for aging anxiety among middle-aged women. Methods: In this study, construct factors were extracted, and a conceptual framework was established through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midd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의 노화불안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개발된 중년여성의 노화 불안 측정도구는 사회적 무가치감 8문항, 신체적 기능 약화 4문항,외모변화에 대한 걱정 4문항, 노년에 대한 기대 3문항으로 4개의 하위영역 총 1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구성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시도된 방법론적 연구이다. 개발된 도구는 중년여성 201명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19문항 4개의 하위 요인 ‘사회적 무가치감’, ‘신체적 기능 약화’, ‘외모변화에 대한 걱정’과 ‘노년에 대한 기대’로 구성되었다(Appendix 1).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특성을 반영한 노화불안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중년여성의 노화불안의 정도를 사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화과정에 대한 적응과 노년기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한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화불안이란 무엇인가? 노화불안은 개인의 개별적 노화과정과 관련되어 두려움과 과정이 아닌 상태로 늙었다는 것과 늙어간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며[10],노화현상에서 파생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에서 야기된 불안상태이다[11]. 현대사회는 개인이나 사회인식의 변화로 노후생활이 단순히 오래 사는 것뿐만 아니라 길어진 노년기를 좀 더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을 것인가에 관심을 두고 있다.
중년기의 연령대는 어떻게 되는가? 중년기는 청년기와 노년기 사이의 과도기이며 생물학적 능력이 감퇴함과 동시에 사회적 책임이 커지는 시기로 40~60세에 해당된다[3]. 신체적, 심리·사회적 변화 사이에서 조화가 필요한 시기이며 지금까지 자신이 중요하게 여겨 왔던 많은 것을 갑자기 상실해 버린 것 같은 허무함과 의미상실의 위기를 겪는 시기이자[4] 자녀의 독립과 결혼 등과 같은 사회, 심리적 요인에 의한 다양한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시기이다[1].
Lasher와 Faulkender가 개발한 노화 관련 심리 측정도구의 단점은 무엇이 있는가? 노년인 74세 이상의 노인들과 25세 이하의 대상자들이 생각하는 ‘노화’나 ‘노화불안’의 의미가 같을 것이라는 전제를 가지고 있어 연령대마다 노화불안에 대한 지각의 의미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10]. 특히 폐경으로 인한 신체적 상실을 통해 마음의 노화를 가장 많이 경험하는 중년여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할 사회적 지지체계의 상실과 현재보다 진행될 노화에 대한 대처와 같은 심리정서적인 측면에 대한 불안감이 증가하기 때문에 연령대별로 노화에 대하여 다른 접근이 필요한데[8] AAS는 이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외국에서 만들어진 도구로 한국인의 문화적 배경과 정서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 노화불안 측정도구로 제한점이 있다[9]. 본 연구에서 개발한 노화불안 측정도구는 우리나라 중년여성의 사회적 지위나 활동, 신체적 변화의 차이를 반영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SA. A study on influential variables on climacteric women's meaning of life [dissertation]. Cheonan: Baekseok University; 2010. p. 1-141. 

  2. Kim JH, Kim W. Effects of anxiety about aging on life satisfaction: A comparison of the young, the middle aged, and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15;68:187-216. 

  3. Chung OB. Theories of life-span development. 3rd ed. Seoul: Hakjisa; 2015. p. 445-500. 

  4. Sowers MFR. The menopause transition and the aging process: A population perspective.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000;12(2):85-92. 

  5. Kim JS, Shin KR. A study on depress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adul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2):352-361. https://doi.org/10.4040/jkan.2004.34.2.352 

  6. Baek IJ. Research on job identity formation procedure of middle age women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5. p. 1-68. 

  7. Seo HS, Han YH. Effects of health-related indexes on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people.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2006;15:159-170. 

  8. Kim EH. A study on anxiety about aging of middle aged and elderly wom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7;13(2):192-202. 

  9. Shin KI. Aging anxiety of adult women: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15;20(3):329-346. 

  10. Watkins RE, Coates R, Ferroni P.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in an elderly Australian popula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1998;46(4):319-332. https://doi.org/10.2190/0LU1-0UWE-2TLW-QVAP 

  11. Kim W. A comparative study on anxiety about aging of older adul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10;47:71-94. 

  12. Kim SM, Kim SY. A study on aging anxiety and self-efficacy of middle aged adults.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8;17(3):281-291. 

  13. Jung YO, Oh H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aging anxiety of the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6;30(1):30-41. 

  14. Lee D, Kim J, Nam SI.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aging anxiety: Doubl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coping on elderl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17;72(2):323-348. 

  15. Suh SR, Choi HJ. Aging anxiety and related factors of middle-aged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4):464-472. https://doi.org/10.7475/kjan.2013.25.4.464 

  16. Hong KH, Ha JY. Aging anxiety,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 for aging in early and late middle ag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5;29(1):29-39. https://doi.org/10.5932/jkphn.2015.29.1.29 

  17. Kim SN, Choi SO, Shin KI, Lee JH. Validation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8;17(3):292-301. 

  18. Barrett AE, Robbins C. The multiple sources of women's aging anxie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008;20(1):32-65. https://doi.org/10.1177/0898264307309932 

  19. Lasher KP, Faulkender PJ.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1993;37(4):247-259. https://doi.org/10.2190/1U69-9AU2-V6LH-9Y1L 

  20.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6. https://doi.org/10.1097/00006199-198611000-00017 

  21.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12. p. 42-60, 80-110. 

  22. Kang H.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5):587-594. https://doi.org/10.4040/jkan.2013.43.5.587 

  23. Lynch SM.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ging anxiety. Research on Aging. 2000;22(5):533-558. https://doi.org/10.1177/0164027500225004 

  24. De Vaus D. Surveys in Social Research. 5th ed. Abingdon: Rutledge; 2002. p. 186-191. 

  25. Worthington RL, Whittaker TA. Scale development research: A content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for best practice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006;34(6):806-838. https://doi.org/10.1177/0011000006288127 

  26. Han SS, Lee SC. Nursing and Health Statistical Analysis. Seoul: Hannarae; 2012. p. 263-280. 

  27. Hair JF, Black WC, Babin BJ, Anderson RE. Multivariate Data Analysis: A global perspective.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10. p. 109-136. 

  28. Martens A, Goldenberg JL, Greenberg J. A terror management perspective on ageism. Journal of Social Issues. 2005;61(2):223-239. https://doi.org/10.1111/j.1540-4560.2005.00403.x 

  29. Lee EJ. Effects of health perception, aging anxiety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 middle-aged women [master's thesis]. Gimhae: Inje University; 2016. p. 1-88. 

  30. Kim SY, Lee JI. A study on aging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middle-aged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7;14(1):103-109. 

  31. Choi SO, Kim SN, Shin KI, Lee JH. Anxiety about aging of a resident community of adult.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8;28(1):19-32. 

  32. Benton JP, Christopher AN, Walter MI. Death anxiety as a function of aging anxiety. Death Studies. 2007;31(4):337-350. https://doi.org/10.1080/07481180601187100 

  33. Kim HS, Choi EJ, Yang JN. A study of knowledge about aging and aging anxiety.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09;32:135-1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