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를 이용하는 고혈압 환자의 우울증상,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및 건강관련 삶의 질 관계
Relationships of Depression Symptom, Self-Esteem, and Stress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Registered to a Community Health Center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9 no.2, 2015년, pp.165 - 176  

최미니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  이은현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depression symptom, self-esteem, and stres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registered to a community health center. Methods: This study was a correlational survey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를 이용하는 고혈압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우울증상,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및 일반적 특성(성별, 소득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수인지 파악하고, 고혈압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보건소에 진료받기 위해 내원하는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증상,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성별, 소득수준이 고혈압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우울증상이 보통이거나 심한 경우, 스트레스, 성별이 고혈압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1.
  • 본 연구는 보건소를 이용하는 고혈압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련 있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 조사연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관련 삶의 질은 어떠한 지표라고 할 수 있는가? 건강관련 삶의 질(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은 인간의 안녕에 관련된 모든 영역을 반영한 포괄적 개념인 ‘삶의 질(quality of life)’ 보다는 개념적으로 그 범위가 작지만, ‘건강’ 개념보다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Lee, Tahk, Shin, Lee, & Song, 2007). 또한 건강관련 삶의 질은 환자 스스로 지각하는 자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증상, 신체적 기능 및 정서 상태와 같은 주관적 관점이므로 주관적 지표라고 할 수 있다(Mesbah, Cole, & Lee, 2002). 의학계에서는 질환의 치료법이나 중재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생화학적 치료반응과 같은 객관적 지표와 함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주관적 지표로 임상에서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 건강관련 삶의 질(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은 인간의 안녕에 관련된 모든 영역을 반영한 포괄적 개념인 ‘삶의 질(quality of life)’ 보다는 개념적으로 그 범위가 작지만, ‘건강’ 개념보다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Lee, Tahk, Shin, Lee, & Song, 2007). 또한 건강관련 삶의 질은 환자 스스로 지각하는 자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증상, 신체적 기능 및 정서 상태와 같은 주관적 관점이므로 주관적 지표라고 할 수 있다(Mesbah, Cole, & Lee,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s, S. C., Jones, G. N., Howe, J. T., & Brantley, P. J. (2001). A prospective study of the impact of stress on quality of life: An investigation of low-income individuals with hypertension.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3(2), 112-119. http://dx.doi.org/10.1207/S15324796ABM2302_5 

  2. Bardage, C. & Isacson, D. G. (2001). Hyperten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 epidemiological study in Swede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4(2), 172-181. 

  3. Carvalho, M. V. D., Siqueira, L. B., Sousa, A. L. L., & Jardim, P. C. B. V. (2013). The influence of hypertension on quality of life. Arquivos Brasileiros de Cardiologia, 100(2), 164-174. http://dx.doi.org/10.5935/abc.20130030 

  4. Chon, K. K., Choi, S. C., & Yang, B. C. (2001). Integrated adaptation of CES - 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1), 59-76. 

  5. Cohen, S., Kamarck, T., & Mermelstein, R.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4), 385-396. 

  6. Cohen, S., Kessler, R. C., & Gordon, L. U. (1995). Strategies for measuring stress in studies of psychiatric and physical disorders. Measuring Stress: a Guide for Health and Social Scientists(pp. 3-26).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7. Eom, A. Y. (2009).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hypertension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1(2), 136-142. 

  8. EuroQol Group. (1990). EuroQol-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6(3), 199-208. http://dx.doi.org/10.1016/0168-8510(90)90421-9 

  9. Han, K. S. (2003). Perceived stress, mood state, and symptoms of stress of the patient with chronic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1), 87-94. 

  10. Hansson, L., Hedner. T., & Himmelmann, A. (1999). The 1999 WHO-ISH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new targets, new treatment and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otal cardiovascular risk reduction. Blood Pressure, 8(3), 3-5. 

  11. Jeong, H. S. & Jeon, H. S. (2009). The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in the visiting nursing clients with hypertension. Korea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0(4), 287-298. 

  12. Kwon, Y., Kim, C., & Kwag, O. G. (2011).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3), 262-271. http://dx.doi.org/10.12799/jkachn.2011.22.3.262 

  13. Lee, E. H. (2007). Instruments fo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Nursing Query, 16(2),24-38. 

  14. Lee, E. H., Chung, B. Y., Suh, C. H., & Jung, J. Y. (2015). Korean versions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14, 10 and 4): Psychometric evalu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9(1), 183-192. http://dx.doi.org/10.1111/scs.12131 

  15. Lee, E. H., Tahk, S. J., Shin, J. H., Lee, Y. W., & Song, R. (2007). Development and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for Korea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3), 313-323. 

  16. Lee, E. H., Tahk, S. J., & Song, Y. (2005). Analyses of the studies on cardiovascular disease-specific quality of life reported in Kore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7(8), 452-463. 

  17. Lee, I. S., Kim, D. K., & Um, T. Y. (2007).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elf-respect and quality of life, and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mong the recipients of the medical security with a chronic diseas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17, 79-104. 

  18. Lee, J. R. & Park, C. M. (2004). Structural model on hypertensive patient's lifestyle an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14(3), 66-96. http://dx.doi.org/10.4332/KJHPA.2004.14.3.066 

  19. Mancia, G., Fagard, R., Narkiewicz, K., Redon, J., Zanchetti, A., Bohm, M., ... & Ponikowski, P. (2013). 2013 ESH/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the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ESH) and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European Heart Journal, 34(28), 2159-2219. http://dx.doi.org/10.1093/eurheartj/eht151 

  20. Mesbah, M., Cole, B. F., & Lee, M. T. (2002). Statistical methods for quality of life studies.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1). Seoul: Author. 

  22. Nam, S. K. & Shim, O. S.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3, 239-259. 

  23. Park, I. S., Song, R., Ahn, S., So, H. Y., Kim, H. L., & Joo, K. O. (2008). Factors explaining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6), 866-873. http://dx.doi.org/10.4040/jkan.2008.38.6.866 

  24.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http://dx.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5.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Shephard, R. J. & Franklin, B. (2001). Changes in the quality of life: A major goal of cardiac rehabilitation.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21(4), 189-200. 

  27. Sohn, S. Y. (2009).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2), 99-107.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2.99 

  28. Son, Y. J. & Song, E. K. (2007). The life style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ype D personality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4), 644-655. 

  29.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13).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6th ed). London: Pearson Education. 

  30. Ware, J. E., Kosinski, M., Dewey, J. E., & Gandek, B. (2000). SF-36 Health survey: Manual and interpretation guide. Lincoln, RI: QualityMetric Incorporate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