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중환자간호 연구의 동향 분석: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1992-2011): Intensive Care Nursing Studi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4, 2015년, pp.384 - 396  

최은희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  장은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최지연 (중앙대학교병원 감염관리팀) ,  이소정 (중앙대학교병원 간호부) ,  서효경 (중앙대학교병원 간호부) ,  박경숙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approaches, methods and questions asked in intensive care unit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and the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AJCC) from 1992 to 2011. Only quantitative studies were reviewed. Methods: A total of 144 studies pu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1992년부터 2011년까지 20년간의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중환자간호 관련 논문들을 분석하고, 또한, 국외 학회지에 게재된 중환자간호 관련 논문들과 비교분석함으로써 현재 중환자간호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환자간호학문의 발달을 위한 간호연구의 방향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992년부터 2011년까지 20년간의 국내 ‧ 외 학회지에 게재된 중환자간호 연구 중 양적 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중환자간호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국내 ‧ 외 연구 모두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국내 연구의 경우 순수 실험연구인 무작위대조군연구가 타 연구에 비해 증가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국외보다 상대적으로 적어 근거기반간호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 등 연구 환경의 변화가 절실함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는 1992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4개 학회지와 국외의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AJCC)에 게재된 중환자 및 중환자실 관련 양적논문을 분석하여 중환자간호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간호 연구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 중환자간호 연구의 발전을 위하여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시도되었으며, 1992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4개 학회지와 국외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중환자간호 및 중환자실과 관련된 양적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동향,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간호연구의 생리적 지표측정에서 다른 연구들과 차이가 나는 이유는? 6% 보다는 적었다. 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생리적 측정방법을 적용하는 연구를 시행할 때 간호중재의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8]. 또한 국외의 경우 활력징후, 혈역학적 모니터링, 혈당측정, 지혈시간 측정 등의 생리적 지표를 다룬 연구가 1900년대 부터 꾸준하게 지속되어져 온 반면, 국내 연구에서는 활력징후, 뇌압측정, 산소포화도 측정 등에 국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은 어떤 곳인가? 중환자실은 손상이나 질환으로 인해 생명의 위협을 받는 환자들을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 인력이 24시간 내내 집중적으로 감시와 치료를 제공하고 있는 곳이다. 2004년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조사에 따르면 중환자실을 이용한 중환자의 입원건수는 전체 입원건수의 6.
중환자 전문간호사 제도 수립으로 어떤 변화가 생겼는가? 5%에 달하고 있다[1]. 또한, 2003년 전문간호사의 법제화에 따라 중환자 전문간호사 제도가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을 통해 정립되었고, 전문간호사 과정을 이수한 간호사들이 2006년 자격시험을 통해 국내에 처음으로 중환자 전문간호사로 배출되어 전문적인 간호를 수행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Intensive care unit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4 [Internet].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1 [cited 2015 August 14].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ebook/937b6445-3c82-473a-8be9-d6185e51a43b/203.html 

  2. Lee CH, Sung YH, Yi YH, Cho YA, Kwon IG. The role analysi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 and critical care advanced practice nurse. Critical Nursing Research. 2007;13(3):93-108. 

  3. Suh YO, Park JS, Yang JH, Kim HW, Suk MH, Shin HS, et al. Analysi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6):1013-9. 

  4. Choe MA, Jeong JS, Lim KC, Kim JH, Kim KS, Kwon JS, et al. Research of studi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95-2008.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2):95-105. 

  5. Shin HS, Hyun MS, Ku MO, Cho MO, Kim SY, Jeong JS, et al. Analysi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focused on research trends, intervention studies, and level of evidenced in the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1):139-49. http://dx.doi.org/10.4040/jkan.2010.40.1.139 

  6. Kim JS, Lim JY, Kwon IS, Kim TI, Park HR, Ahn HY, et al.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5-2009).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1;17(2):100-10. 

  7. Kim JK, Jung MS, Jang KS, Kim JH, Kim EK, Lee HJ, et al. Analysis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for 3 years (2007-2009).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4):517-26. 

  8. Kim YK, Hwang SK, Kim IJ, Kim JS, Oh HE, Lee JK, et al. Analysis of quantitative research published b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89-2011).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1):85-97. 

  9. Lee KE, Park YR, Cho KJ, Park MJ.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based on analysis of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from 1999 to 2010.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1;13(2):81-93. 

  10. Kang YH, Lee SJ. Practical issues on the nursing research in the scientific journal. The Korean Nurse. 1980;19(3):54-64. 

  11. Kim ES, Kim KS, Kim DR, Kim EJ, Sung KM, Shin HK, et al. Trends of nursing science inquiry in doctoral dissert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2):315-23. 

  12. Jeong GH, Ahn YM, Cho DS. Coincidence analysis of keywords of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with MeS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7):1420-5. 

  13. Mantzoukas, S. The research evidence published in high impact nursing journals between 2000 and 2006: a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4):479-89.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8.12.016 

  14. Alvisa P, Davide B, Francesco M. Neuroscience nursing research: trends analysis from 1989-2010.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14;46(3):187-95. http://dx.doi.org/10.1097/JNN.0000000000000051 

  15. Ileana B., Elisa DL, Sara DB, Giada S, Nicola S, Renzo Z, et al. Trend in RCT nursing research over 20 years: mind the gap.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14;23(16):895-9. 

  16. Kim HS, Cho NY. Family support and hopelessness in patients admitted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2;22(4):620-35. 

  17. Song HS, Kim EK, Kim DW. A prospective analysis of infection factors related to central venous catheter. Clinical Nursing Research. 1999;5(1):121-33. 

  18. Choi SH, Kim YK. The effect of oral care with saline on oral state of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4;16(3):452-9. 

  19. Shin HJ, Kim JA, Kwon EO, Noh WK, Kim MY, Noh JS, et al. The effect of huperventilation and hyperoxygenation before and after endotracheal suctioning using closed-suction system o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2):97-109. 

  20. Koo YJ, Koh HJ. Effect of eye protective device and ear protective device application on sleep disorder with coronary disease patients in CCU.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4):582-92. 

  21. Choi EH, Kim JH, Ko MS, Kim JY, Kwon EO, Jang IS. Validation of critical care non-verbal pain scale for critically ill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2):245-54. 

  22. Chung BY, Yi MS, Choi EH. Trends of nursing research in the Journal of Oncology Nursing.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8;8(1):61-6. 

  23. Choe MA, Kim NC, Kim KM, Kim SJ, Park KS, Byeon YS, et al. Trends in nursing research in Korea: research trends for studies published from the inaugural issue to 2010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nd the journals published by member societies under Korean academy of nursing sc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5):484-94. http://dx.doi.org/10.4040/jkan.2014.44.5.484 

  24. Choi KS, Song MS, Hwang AR, Kim KH, Chung MS, Shin SR, et al. The trends of nursing research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5):1207-18. 

  25. Li D, Puntilo K. Miaskowski C. A review of objective pain measure for use with critical care adult patients unable to self-report. Journal of Pain. 2008;9(1):2-10. 

  26. Kwak EM, Oh HY. Validation of Korean translated version of the Critical Care Pain Observation Tool(CPOT) for ICU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1):76-84. 

  27. Choi EH, Kim JH, Choi KO, Yoo JS, Kim MS, Kim PJ, et al. Development of a pain assessment tool for critically ill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1):136-48. 

  28. Son YJ.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collaborative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continuity of care in patients transferred to general wards from ICU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3):143-55. 

  29. Kleinpell RM. Randomized trial of intensive care unit-based early discharge planning intervention for critically ill elderly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4;13(4):335-45. 

  30. Mitchel ML, Courtney M. Improving transfer from the intensive care unit: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brochure based on Knowledges' adult learning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05;11(6):257-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