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초기 여성의 골건강 증진을 위한 스마트폰 앱 개발 및 적용: 예비연구
Develop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Promoting Bone Health in Korean Young Adult Women: A Pilot Stud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4, 2015년, pp.459 - 471  

박영주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이숙자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신나미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신현정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윤성진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전송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조인해 (고려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and usability for promoting bone health in Korean young adult women. Methods: A smartphone application was developed covering exercise, nutrition, and health habits related to bone health. A p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고골량 형성 시기에 있는 성인초기 여성의 골건강 증진을 위한 운동수행, 영양섭취 및 건강 생활습관 형성에 대한 자기관리 능력 향상을 돕는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고, 예비실험과 실험 후 면담을 통해 개발된 앱의 골건강 증진 효과와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논의에서는 개발된 SbFb 앱의 주요 특징, 예비실험에서 나타난 골건강 증진 효과 그리고 실험 후 면담에서 제시된 앱의 기능적 개선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고골량 형성 시기에 있는 성인초기 여성의 골 건강 증진을 위한 운동, 영양섭취 및 건강생활습관 형성에 대한 자기관리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스마트폰 앱 ‘SbFb’를 개발하고 예비실험과 실험 후 면담을 이용하여 개발된 SbFb 앱의 골건강 증진 효과와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초기 여성의 골건강 증진을 위한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스마트폰 앱 적용 후의 성인초기 여성의 BMD, 생화학적 골표지자, 체성분, 비만도는 앱 적용 전보다 향상될 것이다.
  • “스마트폰 앱 적용 후의 성인초기 여성의 골건강 관련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 점수는 앱 적용 전보다 높을 것이다.
  • “스마트폰 앱 적용 후의 성인초기 여성의 식이섭취는 앱 적용 전보다 향상될 것이다.
  • • 가설 2. 스마트폰 앱 적용 후의 성인초기 여성의 골건강 관련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 점수는 앱 적용 전보다 높을 것이다.
  • • 가설 3. 스마트폰 앱 적용 후의 성인초기 여성의 식이섭취는 앱 적용 전보다 향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관리 능력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건강한 생활습관의 형성은 행위변화를 요구하고 이를 위해서는 개인의 자기관리 능력의 향상과 순응이 요구되므로 대상자의 건강행위 변화를 위해서 이들 개념은 중요 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자기관리 능력은 만성적 질병과 같은 건강조건에서 개인이 경험하게 되는 증상, 치료, 신체적 사회 심리적 결과 및 생활습관 변화를 스스로 관리하는 개인의 능력을 의미하며[10], 순응은 건강관리에 대한 권고나 충고를 따르려는 노력으로 개인의 자발적 의사결정 권리가 강조되는 개념이다[11]. 이러한 점에 비추어볼 때, 최근 건강관리 분야에서 모바일 PC와 같은 상호작용적 기술(interactive technology)을 이용하여 개인에게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개인에게 생활습관 변화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변화된 행위를 재강화하여 자기관리 능력을 높임으로써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일 수 있다[12]고 제안되고 있다.
대부분의 골다공증 연구는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는가? 그동안 골다공증 연구의 대부분은 골다공증의 취약 연령층인 폐경기나 노년기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골절 예방 및 위험을 감소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비교적 건강한 집단인 사춘기나 성인초기 인구집단에서 최고골량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덜 강조되어왔다. 그러나 폐경 후 여성의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를 결정하는 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수학적 모델링으로 제시한 연구[5]나 뼈의 성장발달에서 후생유전학적 영향(epigenetic influence)을 보고한 선행연구들은[6]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사춘기나 성인초기 인구집단에서 최고골량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성인초기 여성의 골건강 증진을 위한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 성인초기 여성의 골건강 증진을 위한 운동수행, 영양섭취 및 건강생활 습관 형성에 대한 자기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폰 앱을 개발한다. • 개발된 스마트폰 앱의 골건강 증진 효과와 유용성을 평가 하기 위하여 골건강 증진 스마트폰 앱 적용 전과 후의 성인초기 여성의 BMD, 생화학적 골표지자, 체성분, 비만도, 골건강 관련 심리사회적 변인 점수, 식이섭취의 차이를 검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urray CJL, Vos T, Lozano L, Naghavi M, Flaxman AD, Michaud C, et al.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DALYs) for 291 diseases and injuries in 21 region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s study 2010. Lancet. 2012;380:2197-223. 

  2. Wright NCW, Looker AC, Saag KG, Curtis JR, Delzell ES, Randall S, et al. The recent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low bone mass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bone mineral density at the femoral neck or lumbar spine.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2014;29(11):2520-6. http://dx.doi.org/10.1002/jbmr.2269 

  3. Park EJ, Joo IW, Jang MJ, Kim YT, Oh K, Oh HJ.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the Korean population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HANES), 2008-2011. Yonsei Medical Journal. 2014;55(4):1049-57. http://dx.doi.org/10.3349/ymj.2014.55.4.1049 

  4. Chang SM, Park CM, Chang SH, Shin CS, Ha YC, Medical utilization and prescription pattern of Korean patients with osteoporosis.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9. 

  5. Hernandez CJ, Beaupre GS, Carter DR. A theoretical analysis of the relative influences of peak BMD, age-related bone loss and menopause on the development of osteoporosis. Osteoporosis International. 2003;14:843-7. http://dx.doi.org/10.1007/s00198-003-1454-8 

  6. Harvey N, Dennison E, Cooper C. Osteoporosis: a lifecourse approach.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2014;29(9):1917-25. http://dx.doi.org/10.1002/jbmr.2286 

  7. Bohaty K, Rocole H, Wehling K, Waltman N.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to increase dietary intake of calcium and vitamin D in young adult wome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008;20: 93-9. http://dx.doi.org/10.1111/j.1745-7599.2007.00281.x 

  8. Sedlak CA, Doheny MO, Jones SL. Osteoporosis education programs: changing knowledge and behaviors. Public Health Nursing. 2000;17(5):398-402. 

  9. Wu F, Laslett LL, Wills K, Oldenburg B, Jones G, Winzenberg T. Effects of individualized bone density feedback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on osteoporosis knowledge and selfefficacy: a 12 year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Clinical Densitometry: Assessment & Musculoskeletal Health. 2014; 17(4):466-72. http://dx.doi.org/10.1016/j.jeod.2014.07.008 

  10. Barlow J, Wright C, Sheasby J, Turner A, Hainsworth J. Selfmanagement approaches for people with chronic conditions: a review.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2;48:177-87. 

  11. Robinson JH, Callister LC, Berry JA, Dearing KA. Patientcentered care and adherence: definitions and applications to improve outcom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008;20:600-7. http://dx.doi.org/10.1111/j.1745-7599.2008.00360.x 

  12. Bandura A. Health promotion by social cognitive means. Health Education & Behavior. 2004;31(2):143-64. http://dx.doi.org/10.1177/1090198104263660 

  13. Klein M, Mogles N, van Wissen A. Intelligent mobile support for therapy adherence and behavior change. Journal of Biomedical Informatics. 2014;51:137-51. http://dx.doi.org/10.1016/j.jbi.2014.05.005 

  14. Reid SC, Kauer SD, Hearps SJC, Crooke AHD, Khor AS, Sanci LA. A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youth mental health problems in primary car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Family Practice. 2011;12:131. http://www.biomedcentral.com/1471-2296/12/131 

  15. Gustafson DH, McTavish FM, Chih MY, Atwood AK, Johnson RA, Boyle MG. A smartphone application to support recovery from alcoholism: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Psychiatry. 2014;71(5):566-72. http://dx.doi.org/10.1001/jamapsychiatry.2013.4642 

  16. Park YJ, Lee SJ, Shin NM, Shin H, Kim YK, Cho YJ, et al. Bone mineral density, biochemical bone turnover marker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bone health in young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5):504-14. http://dx.doi.org/10.4040/jkan.2014.44.5.504 

  17. Howe TE, Shea B, Dawson LJ, Downie F, Murray A, Ross C, et al. Exercis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1;7:CD000333.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0333.pub2 

  1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Author; 2010. 

  19. Waller J, Eriksson O, Foldevi M, Kronhed A-CG, Larssen L, Lofman O, et al. Knowledge of osteoporosis in a swedish municipality: a prospective study, Preventive Medicine. 2002;34(4):485-91. http://dx.doi.org/10.1006/pmd.2002.1007 

  20. Kim KK, Horan M, Gendler P, Patel M. Osteoporosis health belief, self-efficacy, and knowledge tests. In: Redman BK, editor. Measurement tools in patient education.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98. p. 307-8. 

  21. Horan ML, Kim KK, Gendler P, Froman RD, Patel MD.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steoporosis self-efficacy scale.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98;21(5):395-403. 

  22. Weeks BK, Beck BR. The BPAQ: a bone-specific physical activity assessment instrument. Osteoporosis International. 2008; 19:1567-77. http://dx.doi.org/10.1007/s00198-008-0606-2 

  23. Turner CH, Robling AG. Designing exercise regimens to increase bone strength.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2003;31(1):45-50. 

  24.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Osteoporosis. 3rd ed. Seoul: Hanmee Medical Publishing Company; 2006. 

  25. Cheung AM, Giangregorio L. Mechanical stimuli and bone health: what is the evidence? Current Opinion Rheumatology. 2012;24:561-6. http://dx.doi.org/10.1097/BOR.0b013e3283570238 

  26. Amrein K, Amrein S, Drexler C, Dimai HP, Dobling H, Pfeifer K. et al. Sclerostin and its association with physical activity, age, gender,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content in healthy adults. Journal of Clincal Endocrinology Metabolism. 2012;97(1):148-54. http://dx.doi.org/10.1210/jc.2011-2152 

  27. de Jongh T, Guro-Urganci I, Vodopivec-Jamsek V, Car J, Atun R. Mobile phone messaging for facilitating self-management of long-term illnes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2; 12: Art No.: CD007459.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7459.pub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