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개화기 방한 서양인 기록물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Developing Digital Archives from the Records of Westerners who visited Korea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of Chosu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9 no.3, 2015년, pp.135 - 154  

정희선 (상명대학교 지리학과) ,  김희순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  송현숙 (총신대학교 역사교육과) ,  이명희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개화기 방한 서양인 기록물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지역문화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집대상 자료는 서양인 기록물 11권이고, 주제분류체계로부터 10개의 대주제와 120개의 소주제를 추출하였다. 37개 메타데이터 항목에 맞추어 텍스트 내용의 분석과 입력자료 유형을 분류하고 엑셀로 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모델과 5개의 메뉴로 구성된 홈페이지 구축(안)을 제시하였다. 추후연구를 위해 아카이빙 구축을 위한 데이터의 지속적인 발굴과 아카이브 확대 방안, 아카이브 시스템간의 활발한 연계, 시스템 표준화, 시스템 호환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시스템 설계를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reate a digital archive for local cultural contents compiled from the records of westerners who visited Korea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of Chosun. The compiled information were gathered from 11 records, and 10 main subjects and 120 sub-subjects were derived throug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개화기 서양인의 조선 체류와 여행에 대한 체험을 서술한 기록물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고자 하는 이유는 19세기에서 20세기 초 한반도의 자연지리적․인문지리적 정보를 분류하여 과거의 지리를 복원하고 역사지리적 측면에서 지역에 관한 이해를 심화시키며 지역문화 콘텐츠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시공간적 범위는 서양인의 한반도 출입과 국내 행보가 비교적 자유스러웠던 1870년대에서 1910년대까지의 개화기 한반도로 한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개화기 방한 서양인의 조선 체류와 여행 체험을 서술한 기록물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의의는 19세기에서 20세기 초 한반도의 자연지리적․인문지리적 정보를 분류하여 과거의 지리를 복원하고 역사지리적 측면에서 지역에 관한 이해를 심화시키며 지역문화 콘텐츠로서의 활용에 기여하는 데 있다.
  • 한편, 검색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표3>의 검색요소 가능여부 항목에 ‘가능’으로 나타난 모든 항목들이 검색요소로 사용될 수 있는데, 지역명인 ‘서울’, ‘korea’, 원작 출판년인 ‘1885년’, 시대명인 ‘1883년’, 문헌형태인 ‘여행서’로도 검색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록물을 단순히 아카이브화 하는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한 새로운 속성을 부여함으로써 자료의 검색 가능성과 활용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표 3>의 저자정보 메타항목을 가지고 로웰(Percival Lowell)의 저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사례의 예시는 <표5>와 같다.
  • 본 연구는 개화기 방한 서양인 기록물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함으로써 19세기에서 20세기 초 한반도의 자연지리적․인문지리적 정보를 분류하고 과거의 지리를 복원하여 역사지리적 측면에서 지역에 관한 이해를 심화시키며 지역문화콘텐츠로서 활용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조일수호조규가 이루어진 1876년부터 갑오개혁이 전개되었던 1894년까지 저술된 서양인 방한 기록물 11권의 내용항목을 분석하여 속성정보를 부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콘텐츠란 무엇인가? 디지털 콘텐츠는 디지털 형태로 제작․유통․소비되는 각종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멀티미디어 자료 등의 정보자원을 말한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미래의 접근을 위해 디지털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저장․보존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 접근, 처리,보존, 관리, 검색, 활용 기능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지원하는 관리시스템이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어떤 시스템을 말하는가? 디지털 콘텐츠는 디지털 형태로 제작․유통․소비되는 각종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멀티미디어 자료 등의 정보자원을 말한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미래의 접근을 위해 디지털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저장․보존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 접근, 처리,보존, 관리, 검색, 활용 기능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지원하는 관리시스템이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정보의 생산과 전달, 공유 속도를 극대화하고 지식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며, 디지털로 전환된 콘텐츠는 디지털 복제로 수많은 사람의 용도에 맞게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장점은 무엇인가?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은 현실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에서 모두 필요하다. 현실적 측면에서 최근 많은 자료들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의 디지털 기기에 의해 생산단계에서부터 디지털 자료로 제작되므로 전통적인 아날로그 형태 자료에 비해 저장성 및 보존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문서나 사진, 녹음테이프, 영상테이프 등의 아날로그 자료를 디지털화 하여 원자료 훼손없이 영구보존할 수 있으며, 검색시스템을 통해 손쉽게 자료를 검색․열람․활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강순애. 2008.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39-60.(Kang, Soon-Ae. 2008. "The Acquisition,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Modern and Post-modern Document DB in the NAK, NIKH, and A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8(2): 39-60.) 

  2. 김수영, 임준근. 2009. 디지털 향토문화콘텐츠를 위한 XML 기반의 아카이브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콘텐츠, 15: 147-172.(Kim, Su-Young and Lim, Jun-Keun. 2009. "A Study for Digital Contents in XML based Archive System." Korea Humanities Content Society, 15: 147-172.) 

  3. 김주관. 2005. 생활사 아카이브 구축의 의미와 방법. 지방사와 지방문화, 8(1): 217-249.(Kim, Joo-Kwan. 2005. "The Meanings and Methods of the Construction of People's Everyday Life Histories Archives." Local History and Local Culture, 8(1): 217-249.) 

  4. 김주관. 2006. 문화자료와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9(2): 447-483.(Kim, Joo-Kwan. 2006. "Cultural Resources and the Construction of Digital Archives: A Case Study of Group for the People without History." Local History and Local Culture, 9(2): 447-483.) 

  5. 박재영. 2007. 역사적 스테레오타입 사례연구: 서세동점기 오페르트와 묄렌도르프의 조선이미지. 한.독사회과학논총, 17(1): 351-380.(Park, Jae-Young. 2007. "A Study of historical Stereotype: Images of Chosun by Oppert, E. J. and Moellendorff, P. G. in times of Occupancy of Western Countries." Zeitschrift der Koreanisch-Deutschen Gesellschaft fur Sozialwissenschaften, 17(1): 351-380.) 

  6. 백영주, 김수자. 2005. 여성사 관련 자료의 보존현황과 관리방안: 해방이후-1980년대 여성정책 및 여성단체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1): 5-21.(Paik, Young-Joo and Kim, Soo-Ja. 2005.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terials of Women's History: On the Materials of Women's Policies and of Women's Organizations from 1945 to 1980'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5(1): 5-21.) 

  7. 서해숙. 2013. 진도아리랑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과 설계. 인문콘텐츠, 29: 214-240.(Seo, Hae-Sug. 2013. "Necessity and Design of Construction of Digital Archive of Jindo-Arirang." Humanities Content, 29: 214-240.) 

  8. 심재석. 2008. 디지털 한국학 아카이브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향토문화전자 대전을 중심으로. 제4회 세계한국학대회 논문집.(Shim, Jae-Suk. 2008. A Study on a Practical Use of Digital Archive for Korean Studies: Focusing on the "Grandculture Project" of the AKS.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Korean Studies.) 

  9. 이남희. 2008. 생활사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문서자료의 조직: 고문헌의 전자문서 편찬과 표준화. 영남학, 14: 63-100.(Lee, Nam-Hee. 2008. "The Organization of Old Documents for the Lifestyle History Archives: With the Standardization of Compilation for Digital Documents." Yeongnam Area Studies, 14: 63-100.) 

  10. 장윤금. 2013. 우리나라 초기 외국인 선교사 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필요성 연구(1800-1910). 정보관리학회지, 30(4): 265-281.(Chang, Yunkeum. 2013. "The Needs of Digital Archive Development for the Records of Early Foreign Missionaries in Korea (1800-19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4): 265-281.) 

  11. 함한희, 박순철. 2006. 디지털 아카이브즈의 문제점과 방향: 문화원형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23-42.(Hahm, Han-Hee and Park, Soon-Cheol. 2006. "Digital Archives of Cultural Archetype Contents: Its Problems and Direction."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7(2): 23-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