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으로 제작된 가상의복의 소재물성별 실물 재현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ressivity of Virtual Clothing made of 3D Apparel CAD System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7 no.4, 2015년, pp.613 - 625  

오송윤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유은주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expressivity required for virtual clothing to replace actual clothing. For the experiment, 6 materials were selected and 12(2 kinds of length) actual flared skirts were made. At the same time,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on OptiTex Runwa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Optitex Runway 12.0을 사용하여 다양한 소재물성을 적용한 가상 플레어스커트가 실제 스커트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3D 가상착의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소재물성이 가상의복에 미치는 영향과 실제 샘플을 대체하는데 있어서의 적합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가상의복이 실제의복을 얼마만큼 유사하게 재현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와 가상의 실험조건을 최대한 동일하게 하고자 하였다.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본모델에 원하는 치수를 입력해 수정할 경우 치수만 같아질 뿐 형태가 같아지지 않아 가상착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Lim, 2011a; Uh, 2011), 가상모델은 실제모델을 3D 스캔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으로 구현된 가상샘플이 실제샘플을 대체하기 위하여 검증되어야 할 여러 부분 중 의복구성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소재물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현 단계의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의 한계점과 개선 사항을 파악함으로써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의 기능향상과 실무에서의 활용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재물성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기본형 플레어스커트를 활용하여 다양한 소재의 실제스커트와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가상스커트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3D 가상착의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소재물성이 가상샘플에 미치는 영향과 실제샘플을 대체하는데 있어서의 적합성을 분석하여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으로 구현된 가상샘플이 실제샘플을 대체하기 위하여 검증되어야 할 여러 부분 중 의복구성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소재물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현 단계의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의 한계점과 개선 사항을 파악함으로써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의 기능향상과 실무에서의 활용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재물성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기본형 플레어스커트를 활용하여 다양한 소재의 실제스커트와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가상스커트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3D 가상착의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소재물성이 가상샘플에 미치는 영향과 실제샘플을 대체하는데 있어서의 적합성을 분석하여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 지금까지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을 사용한 의복구성분야 연구는 크게 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3차원 스캔을 통해 얻은 바디 데이터를 활용한 인체모델링 연구, 가상의복을 제작한 후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한 연구, 가상의복과 실제의복을 동시에 제작하여 비교하는 연구 등 3D 가상착의 시스템의 프로그램 특성 및 효용성 확인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둘째는 실제 제작 없이 가상착의 시스템만을 활용하여 맞음새를 평가하고 최적의 패턴을 제안하는 연구로 패턴개발을 주목적으로 실제의복 대신 가상의복으로 착의평가를 대체한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의 장점은?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3D apparel CAD system)은 피팅모델 생성에서부터 제품디자인, 패턴 설계, 텍스타일과 아트워크(Artwork) 이미지 맵핑, 물성 조절, 가상 봉제, 가상착의 시뮬레이션, 패턴 수정 등을 컴퓨터를 이용해 수행함으로써 의류제품 개발에 있어서의 일련의 과정을 가상공간에서 대체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의류업체의 디자인과 예비생산 단계 샘플제작 시 3차원 가상모델 및 가상봉제 시스템으로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샘플의 착의평가가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Lee & Lee, 2013), 실제 샘플 제작으로 인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줄여 합리적인 생산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Choi & Cho, 2012). 이러한 장점을 가진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은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90년대 말부터 3D 시뮬레이션 기술을 연구하는 학계와 3D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어패럴 CAD/CAM 개발업체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범용화되기 시작하였다(Kim et al.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이란?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3D apparel CAD system)은 피팅모델 생성에서부터 제품디자인, 패턴 설계, 텍스타일과 아트워크(Artwork) 이미지 맵핑, 물성 조절, 가상 봉제, 가상착의 시뮬레이션, 패턴 수정 등을 컴퓨터를 이용해 수행함으로써 의류제품 개발에 있어서의 일련의 과정을 가상공간에서 대체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의류업체의 디자인과 예비생산 단계 샘플제작 시 3차원 가상모델 및 가상봉제 시스템으로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샘플의 착의평가가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Lee & Lee, 2013), 실제 샘플 제작으로 인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줄여 합리적인 생산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Choi & Cho, 2012).
최적의 패턴을 얻기 위해 필요한 것은? 디자인 아이디어가 실제 의복으로 완성되기 위한 구성의 과정은 매우 중요하며, 최적의 패턴은 디자인 디테일의 반영뿐 아니라, 착용자의 체형과 체격, 재단되는 소재의 특성, 사용될 봉제법과 봉제과정의 특성 등이 모두 고려될 때 얻을 수 있다. Lee(2013)의 연구에 따르면,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을 실무에 사용해본 업체 관련자들이 느끼는 3D 프로그램의 Artwork과 색상 표현은 활용도가 높고 비교적 만족스러우며, 실제 더미에서의 핏(fit)을 3D 프로그램에서 80~90%까지 표현하는 수준에 이르렀지만 일부 불일치되는 부분은 물성에서 오는 차이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a, S. J., & Kang, Y. K. (2013a). Comparison of basic bodice block for adults women by 3D simulation -Focus of the DC suite program-.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2), 63-81. doi: 10.12940/jfb.2013.17.2.63 

  2. Cha, S. J., & Kang, Y. K. (2013b). Comparison of pants for adults women by 3D simulation -Focus of the DC suite program-.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4), 1-21. doi: 10.12940/jfb.2013.17.4.1 

  3. Choi, J., & Do, W. H. (2008). Analysis on lower body type and 3D virtual appearance evaluation of boots cut jeans for wom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2), 73-83. 

  4. Choi, R., & Cho, C. S. (2012). A virtual fitting system using the top and bottom image of garment.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5(7), 941-950. 

  5. Cho, Y. J., & Na, H. S. (2014). Development of women's slacks pattern for Korean young-old generation based on industrial pattern-fit analysis by 3D body scanner-.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7(1), 145-163. 

  6. Do, W. H. (2008). Evaluation of motorcycle jacket for men using 3D clothes model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4(1), 105-115. 

  7. Han, M. R., & Kim, E. S. (2012). The relevances of the ease and the appearance by changing the sleeve cap height using virtual garment system. Korean Journal Community Ling Science, 23(2), 189-198. 

  8. Hong, E. H. (2013). Development of tight-fit torso patterns according to adult men's somatotype using surface flattening of 3D body scan data: using a 3D virtual garment syst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9. Hong, E. H., & Suh, M. A. (2012). A comparison study on men's bodice slopers -Using a 3D virtual garment system-.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0(3), 403-415. 

  10. Istook, C. L., Lim, H. S., & Chun, J. S. (2011).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measurement and fit evaluation between 2D direct body measuring and 3D body scan measur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6), 1347-1358. 

  11. Ki, H. S. (2013). A study on knit flare skirts of hem for 3D virtual clothing system -Focused on the angel of flare skirt-.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5(2), 77-89. 

  12. Kim, M. J., Kim, M. O., & Park, S. K. (2014). Comparison and analysis of men's classic-fit and slim-fit shirt patterns -Utilizing the 3D virtual try-on system-.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2), 209-224. 

  13. Ko, Y. A. (2009).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digital clothing as clothing sample making in apparel produ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duck Women's University, Seoul. 

  14. Koo, M. R. (2010). A study on the shape of hem-line of semi-flare skirts by P/W blended fabric'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real clothing and 3D virtual clothing-.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3(2), 145-155. 

  15. Lee, E. Y. (2013). Development of job training program for technical design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Lee, J. S., & Lee, J. R. (2013). Comparison on the pants fitting for obese women between 3D virtual garment and real garmen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2), 33-45. doi: 10.12940/jfb.2013.17.2.33 

  17. Lee, S. K., Lee, S. Y., Kim, H. S., & Kang, I. A. (2011).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hapes of 3D apparel CAD virtual clothing and actual clothing. Korean Design Forum, 30(2), 255-264. 

  18. Lim, H. S. (2011a). Comparative assessment of virtual garments using direct and manual avatar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6), 1359-1371. 

  19. Lim, J. Y. (2011b). A development of slacks patterns for the abdomenobese middle-aged males from a virtual garment simul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5), 1009-1018. 

  20. Lim, J. Y. (2011c). A development of the uniform pattern for obese junior-high school girls from a virtual garment simul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2), 245-254. 

  21. Lim, J. Y. (2010a). A development of the bodice pattern for male sports athletes using by 3D virtual twin & virtual garment simula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2(3), 347-353. 

  22. Lim, J. Y. (2010b). A development of the torso pattern for obese middle-aged women from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2(1), 86-93. 

  23. Park, J. A., & Lee, W. K. (2012). Men's wok clothes jumper patternmaking and its appearance evaluation through 3-D clothing simulat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1), 103-120. 

  24. Paek, K. J. (2009). Fit analysis for men's bodice pattern using 3D scans - Compared to traditional fit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 139-148. 

  25. Uh, M. K. (2011). Development of a pattern and visual image for a one-piece dress using 3D virtual clothing system.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3), 597-611. 

  26. Yoon, J. W. (2013). The development of tight fit torso patterns with body type of women by 3D body scan data: using the virtual appearance evalu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