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국소적으로 진행된 식도암에서 동시항암화학요법 후 국소제어, 생존율, 예후인자 및 실패양상에 대해 알아 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8년 8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국소적으로 진행된 식도암으로 진단받은 후, 근치적 목적의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50명 중 추적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2명과 적절한 추적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치료의 효과를 판정할 수 없는 5명은 제외한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별 구성은 남성 39명, 여성 4명이었고 연령분포는 43세에서 78세(중앙값, 63세), TNM 병기는 IIA기 7명(16.3%), III기 36명(83.7%)이었다. 방사선치료는 1.8 Gy씩 1일 1회, 주 5회로 방사선을 46~63 Gy(평균, 54 Gy)의 외부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선행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는 8명이었고 동시항암화학치료는 주로 5-fluorouracil, cisplatin을 3회 사용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2개월에서 82개월로 중앙값이 15.5개월이었다. 결 과: 전체환자 43명 중에서 완전 관해는 9명(20.9%), 부분 관해는 23명(53.5%), 무반응 9명(20.9%), 진행이 2명(4.7%)이었다. 전체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5개월이었고, 2년 및 5년 전체생존율은 36.5%, 17.3%이었으며, 2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32.4%, 16%였다. 43영의 환자 중에서 22명 (51.2%)에서 치료 실패를 보였고, 치료 실패 양상으로는 국소 재발 및 진행이 18명(41.9%), 원격전이가 4명(9.3%)이었다. 전체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단변량분석상 항암화학방사선치료 시의 혈색소 수치 (${\geq}$12 vs. <12, p=0.02/p=0.1)와 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완전관해 및 부분관해 vs. 무반응 및 병의 진행, p=0.002/p<0.0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였다. 다변량분석에서는 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나이, 성별, 병기, 흡연의 과거력, 식도 내 종양의 위치 및 선행항암화학요법의 유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국소적으로 진행된 식도암의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 후 생존율은 다른 연구들과 유사한 수준이며 주된 재발 양상은 국소 재발이었다. 그러므로. 국소제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results of local control, survival rate, prognostic factors, and failure pattern in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50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trospectively evaluate the local control, survival rate, prognostic factors and failure patterns in locally-advanced esophageal cancer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n our institu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alperin EC, Perez CA, Brady LW. Perez and Brady's principles and practice for radiation oncology. 5th ed. New York: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1131-1153 

  2. DeMeester TR, Barlow AP. Surgery and current management for cancer of the esophagus and cardia. Curr Probl Cancer 1988;12:243-328 

  3. Harrison LB, Fogel TD, Picone JR, Fischer DB, Weissberg JB. Radiation 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J Surg Oncol 1988;37:40-43 

  4. Pearson JG. The value of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quamous oesophageal cancer. Br J Surg 1971;58:794-798 

  5. Kelsen DP, Ginsberg R, Pajak TF, et al. Chemotherapy followed by surgery compared with surgery alone for localized esophageal cancer. N Engl J Med 1998;339:1979-1984 

  6. Arnott SJ, Duncan W, Gignoux M, et al. Preoperative radiotherapy in esophageal carcinoma: a meta-analysis using individual patient data (Oesophageal Cancer Collaborative Group).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8;41:579-583 

  7. Rich T. Chemoradiation in conservation 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Hematol Oncol Clin North Am 2001;15:291-302 

  8. Hennequin C, Maylin C. Continuous radiosensitizing chemotherapy. Pathol Biol (Paris) 1999;47:279-281 

  9. Cooper JS, Guo MD, Herskovic A, et al. Chemoradiotherapy of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long-term follow-up of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RTOG 85-01).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JAMA 1999;281:1623-1627 

  10. James K, Eisenhauer E, Christian M, et al. Measuring response in solid tumors: unidimensional versus bidimensional measurement. J Natl Cancer Inst 1999;91:523-528 

  11. Herskovic A, Martz K, al-Sarraf M, et al. Combined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compared with radio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cancer of the esophagus. N Engl J Med 1992;326:1593-1598 

  12. Smith TJ, Ryan LM, Douglass HO Jr, et al. Combined chemoradiotherapy vs. radiotherapy alone for early stag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a study of th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8;42:269-276 

  13. Zenda S, Hironaka S, Boku N, et al. Impact of hemoglobin level on survival in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for T4/M1 lymph node esophageal cancer. Dis Esophagus 2008;21:195-200 

  14. Knocke TH, Weitmann HD, Feldmann HJ, Selzer E, Potter R. Intratumoral pO2-measurements as predictive assay in the treatment of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Radiother Oncol 1999;53:99-104 

  15. Menon C, Fraker DL. Tumor oxygenation status as a prognostic marker. Cancer Lett 2005;221:225-235 

  16. Vaupel P. Prognostic potential of the pre-therapeutic tumor oxygenation status. Adv Exp Med Biol 2009;645:241-246 

  17. Nordsmark M, Bentzen SM, Rudat V, et al. Prognostic value of tumor oxygenation in 397 head and neck tumors after primary radiation therapy: an international multi-center study. Radiother Oncol 2005;77:18-24 

  18. Grigiene R, Aleknavicius E, Kurtinaitis J. Prognostic value of anemia for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treated with irradiation. Medicina (Kaunas) 2005;41:916-924 

  19. Langendijk H, de Jong J, Wanders R, Lambin P, Slotman B. The importance of pre-treatment haemoglobin level in inoperable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treated with radical radiotherapy. Radiother Oncol 2003;67:321-325 

  20. Rades D, Schild SE, Bahrehmand R, Zschenker O, Alberti WA, Rudat VR. Prognostic factors in the nonsurgical treatment of esophageal carcinoma with radiotherapy or radiochemotherapy: the importance of pretreatment hemoglobin levels. Cancer 2005;103:1740-1746 

  21. Neuhof D, Neumayer F, Einbeck W, et al. Retrospective evaluation of combined modality treatment an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Acta Oncol 2005;44:168-173 

  22. Stahl M, Stuschke M, Lehmann N, et al. Chemoradiation with and without surgery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J Clin Oncol 2005;23:2310-2317 

  23. Noh OK, Je HU, Kim SB, et al. Results of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for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008;26:195-203 

  24. Khurana R, Dimri K, Lal P,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ulcers and strictures in carcinoma of the esophagus treated with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concurrent chemotherapy. J Cancer Res Ther 2007;3: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