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분야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의 품질관리
Quality Control of Diagnostic X-ray Equipment in Medical Field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5 no.2, 2021년, pp.159 - 164  

조평곤 (대구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를 이용한 검사는 영상의학과에서 인체 내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유용한 진단장비 중 하나로 신뢰도가 매우 높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영상의학과 영역의 진단 검사 장비를 이용한 검사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또한, 검사 건수 증가는 장치의 빠른 노화를 불러일으키고 이로 인해 장치에 대한 정도관리(quality control, QC)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를 이용한 검사에서 정도관리란 검사시작부터 검사가 끝날 때 까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점을 사전에 알아내고 대처하여 신뢰가 확보된 영상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과정에 있는 일련의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를 이용한 검사에서 정도관리에 대해보고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amination using diagnostic x-ray equipment is one of the most useful diagnostic equipment for identifying information in the human body in diagnostic radiology. For this reason, the number of examinations has recently increased a lot. Increasing the number of examinations will accelerate the a...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성능/효과

  • 과학기술의 발달을 등에 업고 의료분야에서 영상의학 검사는 검사결과의 신뢰성 확보라는 장점 때문에 현대의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적인 검사방법으로 굳건히 자리 잡고 있고 향후 더욱더  은 검사가 이루어 질것이라고 예상된다. 그러나 과도한 영상의학 검사는 검사에 관여하는 의료진뿐 만 아니라 건강보험 재정에 대한 부담증가를 야기시킬 수 있고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에 대한 과도한 사용 및 정도관리에 대한 소홀로 자칫 환자에 대한 방사선피폭을 증가시킬 수 있는 등의 부작용을 야기 시킬 수 있다.

후속연구

  • 결론적으로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에서 정도관리는 관련 규정, 제조사 및 각 장치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수행될 때 최적화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진료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 K. Kim, S. H. Son,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by Free Space Scatter Dose Distribution of Diagnostic Radiology Mobile Examinatio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digital imaging in medicine, Vol. 11, No. 1, pp. 5-13 2009. 

  2. J. L. Choi, "Prospects on the increase of radiological examinatio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63, No. 3, pp. 136-139 2020. http://dx.doi.org/10.5124/jkma.2020.63.3.136 

  3. S. E. Jung, "Principles of quality management in medical imaging",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58, No. 12, pp. 1112-1118, 2015. http://dx.doi.org/10.5124/jkma.2015.58.12.1112 

  4. E. S. Amis, P. F. Butler, K. E. Applegate, et al.,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white paper on radiation dose in medicine", Journal of American College Radiology, Vol. 4, No. 5, pp. 272-284 2007. http://dx.doi.org/10.1016/j.jacr.2007.03.002 

  5. H. Y. Zheng, P. K. Cho, T. W. Kim, "Quality Management for Mammography Equipment and Mamm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12, No. 5, pp. 683-692, 2018. https://doi.org/10.7742/jksr.2018.12.5.683 

  6. P. K. Cho, "Computed Tomography and Quality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14, No. 3, pp. 221-233, 2020. https://doi.org/10.7742/jksr.2020.14.3.221 

  7. L. T. Kohn, J. Corrigan, M. S. Donaldson,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0. 

  8. Institute of Medicine, Committee on Quality of Health Care in America, Crossing the quality chasm: a new health system for the 21st century", Washing,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1. 

  9. S. J. Swensen, C. D. Johnson, "Radiologic quality and safety: mapping value into radiology",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Vol. 2, No. 2, pp. 992-1000, 2005. https://doi.org/10.1016/j.jacr.2005.08.003 

  10. S. E. Jung, "Quality management in medical imaging",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58, No. 12, pp. 1109-1111, 2015. 

  11. H. J. Kim, J. E. Lee, J. Y. Lee, H. G. Le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statistics for diagnosis in 2018", Weekly Health and Disease, Vol. 12, No. 51, pp. 2388-2393. 2019. 

  12. P. K, Cho, "A Study on Quality Assurance of Computed Tomography", Master's Thesis, A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Korea, 2001. 

  13. P. K, Cho, "The development of a diagnostic reference level on patient dose for CT examination in Korea", Doctor's Thesis, A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Korea, 2008. 

  14. P. K. Cho et al. Computed Tomography, 1st Ed., academya. Korea, pp. 371-395,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