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건축 재료별 연소가스 유해성 평가
The Combustion Gas Hazard Assessment of Main Building Materials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5, 2016년, pp.639 - 654  

김종북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이시영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축 재료별 연소가스에 따른 인체 유해성 평가에 관한 본 연구는 SEM, FTIR와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목재류인 MDF와 나왕방부목 2종과 화학물질인 난연 스티로폼, 스티로폼, 우레탄폼 및 석고보드 4종의 플라스틱류 각각의 재료별 연소가스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MDF는 연소된 부분의 나무구조와 접착제가 혼합되어 균일하게 연소되었고 나왕방부목은 난연 약제가 깊숙이 침투하여 높은 열에도 목재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난연 스티로폼은 불이 붙지 않고 녹아내렸는데 무기계 난연제 때문으로 사료되고 석고보드는 형태는 유지했으나 열에 취약함을 확인하였다. MDF에서 암모니아($NH_3$)치사농도(750 ppm)대비 795 ppm, 나왕방부목은 이산화탄소($CO_2$)가 256,965 ppm으로 치사농도(100,000 ppm)의 2.5배 초과하였고, 우레탄에서 염화수소(HCl)의 치사농도(500 ppm)를 초과하는 697 ppm, 또한 우레탄에서 이산화질소($NO_2$) 치사농도(250 ppm)를 크게 초과하는 434 ppm과 난연 스티로폼 398 ppm이 방출되었다. 대부분의 재료에서 인체에 매우 유해한 가스가 방출됨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결과는 향후 건축 재료별 인체 유해성을 평가하는 기초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building materials by relates to human hazard assessment in accordance with the combustion gas SEM, the flame-retardant foam FTIR and cone calorimeter to configure the Forest products of MDF and preservative treated Lauan two kinds of Retardant styrofoam, Styrofoam, Urethane foam and gyp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흡음보드는 음향흡수성이 있으며, 표면에 인쇄나 플라스틱 도장을 한 화장석고보드는 내장벽용으로 사용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재로 주택이나 팬션, 창고 등의 2차적인 연소가스에 의한 피해 즉, 건축 재료인 목재류 MDF 및 나왕 방부목 2종과 플라스틱류 난연 스티로폼, 스티로폼, 우레탄폼 및 석고보드 4종의 각종 유해 연소가스를 분석하여 각 재료별 인체유해성(치사농도) 평가를 통하여 화재로부터 안전한 각종 친환경 복합재료를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재로 인한 주요 건축 재료의 목재류인 MDF, 나왕방부목 2종과 플라스틱류 난연 스티로폼, 스티로폼, 우레탄폼, 석고보드 4종의 구조와 연소가스 분석을 통해, 건축 재료별 인체 유해성을 평가하는 기초데이터를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TIR을 이용한 데이터 값은 어떤 이점이 있는가? 금번 연구에서는 콘칼로리미터 및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을 연결하여 열방출과 연소가스를 분석해 정성, 정량적 데이터를 추출했다. FTIR을 이용한 데이터 값은 각각의 연소가스를 정성,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지어져 있는 조립식 건축물(가건물, 창고 등)들의 정확한 통계 숫자도 파악되지 않은 것도 문제이다.
난연 스티로폼은 무엇인가? 나왕방부목(preservative treated Lauan)은 목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부약재를 침투시켜 뒤틀림에 강한 외장바닥재로 활용하고 있다. 난연 스티로폼(Retardant styrofoam)은 발포 성형된 스티로폼 완성품에 무기재료인 난연재를 함침 시키는 방법으로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스티로폼(Styrofoam)은 발포 폴리스티렌이라는 플라스틱의 상표명이다.
스티로폼은 어떤 특성이 있고, 어디에 사용되는가? 스티로폼(Styrofoam)은 발포 폴리스티렌이라는 플라스틱의 상표명이다. 체적의 98%가 공기이고 나머지 2%가 수지인 자원 절약형 소재이다. 그리고 작은 공기 방울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물을 거의 흡수하지 않으며 세균이나 곰팡이에 손상되지 않아 포장에 많이 사용되며, 아이스박스, 장난감, 부표 등에도 사용되나 재활용이 되지 않아 환경문재로 대두되고 있다. 열차단성이 우수하여 단열제품에 많이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EPA FTIRS pectra regions data. 

  2. Gang, Y.H. 2014 Life Science Dictionary,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Book Publishing, Yeocho. 

  3. ISO DIS 19702, p. 45. 

  4. John E. McMurry Organic Chemistry. 7th Edition, Materials Chemistry Research Group Moved, Science plus (CENGAGE Learning) pp. 1156-1157. 

  5. KATS, Chemical Dictionary, Construction and Safety Standards 2005, Class 2 flame retardant foam manufacturing method disclosed. 

  6. Kim, C.H. 2001 Gypsum board, Chemical Dictionary. Sehwa editorial. 

  7. Kim, C.H. 2001 Isocyanuric acid ethyl ester, Chemical Dictionary. Sehwa editorial. 

  8. Kim, I.T., Yun, G.H., Kim, B.S., Seol, J.H., Yang, S.H. 2008. Korea Man hwa Contents Agency, Cartoon Animation advance. 

  9. Kim, S.H. 2016, Pentane. Scienceal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KOFAC). 

  10. Kim, S.S., Cho, N.W., Rie, D.H. 2015 A Research of Risk Assessment for Urethane Fire Based on Fire Toxicity.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9(2): 73-78. 

  11. Kim, S.S., Cho, N.W., Rie, D.H. 2011. A Research for Assessment Fire Toxic Gas of Construction Material Using FT-IR and FED.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5(6): 27-31. 

  12. KOREA Fire Institute, KS F ISO 5660-1, 2011-39. KFI Accreditation and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otice. 

  13.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SH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Reserved Notice No.2013-38, 'Exposure standards of chemical and physical factors. 

  14.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SHA) 2015. MSDS CAS No. 

  15. KS F ISO 5660-1.2003. Heat dissipation. 

  16. KSF, 1998, 2271. 

  17. Lee, D.H., 2012. Cooperation Director 'Waste wood recycling scheme established advanced research institutions' Ministry of Environment / repor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p. 160, 208. 

  18. Lee, D.H., Kong, Y.K. 2005. A study on combustion gas toxicity of polymeric materials using FTIR gas analysis.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5(4): 79-84. 

  19. Lee, I.G. 2012.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oxicity Gas of Building Closing Material During Combustion by chamber Model. Incheon National Univ,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Safety Engineering Major disaster management, p. 5. 

  20. Lee, S.H., Park, S.D., Kwon, S.M., Park, J.Y., Kim, N.H. 2009. 'Characterization of Carbonized MDF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X-ray diffration' Mokchae Konghak Vol.37 No.3, p. 212. 

  2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PSS), National Fire Information Center Fire Statistics Status, 2015. (Ignition Factor Stars: first fire ignited on the first ignition number of factors ignition. 

  22.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PSS), National Fire Information Center Fire Statistics Status, 2015. (Ignition Factor Stars: Zoom into the combustion reason. 

  23. Seo, H.J., Son, D.W. 2015. Hazard Assessment of Combustion Gases from Interior Material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9(4): 49-56. 

  24. Yoon, C.J., 2011 Chemical Glossary, Ethylbenzene. Iljinsa. 

  25. Yoon, C.J., 2011 Chemical Glossary, Polyurethane. Iljin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