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해안 동호 사질 조간대에 서식하는 저서성 와편모류의 출현양상 및 분자계통학적 특성
Occurrence and Molecular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Benthic Sand-dwelling Dinoflagellates in the Intertidal Flat of Dongho, We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0 no.3, 2015년, pp.141 - 150  

김선주 (전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윤지혜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  박명길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와편모류는 해양의 주요 일차 생산자로서, 독립영양성, 종속영양성 및 혼합영양성 등의 다양한 영양방식을 가지는 생물군으로서 해양 미소먹이망에서 중요한 생태학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와편모류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연안이나 외해의 표영생태계에 국한되어 수행되었으며, 사질조간대에 서식하는 저서성 와편모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며, 국내에서는 제주연안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무하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서해안에 위치한 동호의 사질조간대에서 2012년 1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매월 간조기에 저서성 와편모류의 출현양상을 조사하고 주요 출현종의 28S rDNA 염기서열을 획득하여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기간동안 Gymnodiniales, Gonyaulacales, Peridiniales, Prorocentrales의 4개 목에 속하는 총 13속 27종의 저서성 와편모류가 출현하였고, Amphidinium 속이 9종으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다. 동호를 비롯하여 서해안에 위치한 모항, 송호, 가마미와 제주 협재에서 분리한 저서성 와편모류 총 16종, 34개 종주에서 28S rDNA 염기서열 정보를 성공적으로 확보하였으며, 분자계통학적 분석에 이용하였다. Amphidinium에 속하는 종들은 Gymodiniales 목의 4개의 분기군 가운데 3개의 분기군에 걸쳐서 분지하여, 다계통학적(polyphyletic) 특성을 나타내었다. 28S rDNA염기서열을 이용한 유전적 거리를 비교한 결과 국내에서 출현한 Amphidinium mootonorum 종주들은 캐나다에서 분리한 종주와 19.2%의 유전적 차이를 보여 종내 변이가 출현 종들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해역에서 독성 와편모류인 Amphidinium carterae와 A. operculatum이 간헐적으로 출현하여 이들의 독성과 정량적인 모니터링이 추후에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noflagellates are ubiquitous and important primary producers in the oceans. They have diverse trophic modes, i.e., phototrophic, heterotrophic, and mixotrophic modes and thereby, play important ecological role in marine microbial food-web. While many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planktonic dinofl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서해안에 위치한 전라북도 동호의 사질 조간대에 서식하는 와편모류 군집의 계절적 출현양상을 조사하고 빈번하게 출현하는 주요 와편모류 종주를 분리하여 유전정보를 확보하고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근연관계를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 와편모류의 특징은? 해양 와편모류는 해양의 주요 일차 생산자이며, 전 세계 연안해역에서 빈번한 대규모의 유해 혹은 유독성 대번식을 유발하여 해양 수산업과 양식 산업에 해마다 큰 경제적 손실을 끼칠 뿐 아니라 일부 종은 인체에 치명적인 맹독소를 생성하여 지난 수십년 동안 집중적으로 주목을 받아 온 생물이다. 와편모류는 독립영양성, 종속영양성 및 혼합영양성 종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한 영양방식을 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해양 생태계 먹이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와편모류의 역할은? 와편모류는 해양의 주요 일차 생산자로서, 독립영양성, 종속영양성 및 혼합영양성 등의 다양한 영양방식을 가지는 생물군으로서 해양 미소먹이망에서 중요한 생태학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와편모류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연안이나 외해의 표영생태계에 국한되어 수행되었으며, 사질조간대에 서식하는 저서성 와편모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며, 국내에서는 제주연안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무하다.
저서성 와편모류의 출현양상이 동호에서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본 연구는 서해안에 위치한 동호의 사질 조간대에서 2012년 1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매월 관측을 실시하여, 저서성 와편모류의 출현양상에 대해 조사하고 동호를 비롯하여 서해안에 위치한 모항, 송호, 가마미 등에서 출현한 주요 저서성 와편모류 종주를 분리하여 유전정보를 확보하고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호에서는 4개 목에 속하는 총 13속 27종의 저서성 와편모류가 출현하였으며, Amphidinium 속 9종으로 가장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수온에 따라서 출현하는 종조성의 차이는 나타났으나, 출현종수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Qassab, S., W.J. Lee, S. Murray, A.G.B. Simpson and D.J. Patterson, 2002. Flagellates from stromatolites and surrounding sediments in Shark Bay, Western Australia. Acta Protozool., 41: 91-144. 

  2. Baek, S.H., 2012. First report for appearance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epiphytic dinoflagellate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Environ. Biol., 30(4): 355-361. 

  3. Daugbjerg, N. G. Hansen, J. Larsen and O. Moestrup, 2000. Phylogeny of some of the major genera of dinoflagellates based on ultrastructure and partial LSU rDNA sequence data, including the erection of three new genera of unarmoured dinoflagellates. Phycologia, 39: 302-17. 

  4. Dodge, J.D., 1982. Marine Dinoflagellates of the British Isles. H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London, 303 pp. 

  5. Dragesco, J., 1965. Etude cytologie de quelques flagelles mesopsammiques. Cah. Biol. Mar., 6: 83-115. 

  6. Jorgensen, M.F., S. Murray, N. Daugbjerg, 2004a. Amphidinium revisited. I. redefinition of Amphidinium (Dinophyceae) based on cladistic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J. Phycol., 40: 351-365. 

  7. Jorgensen, M.F., S. Murray and N. Daugbjerg, 2004b. A new genus of athecate interstitial dinoflagellates, Togula gen. nov., previously encompassed within Amphidinium sensu lato: Inferred from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and phylogenetic analyses of partial large subunit ribosomal DNA sequences. Phycological Research, 52: 284-299. 

  8. Herdman, E.C., 1924. Notes on dinoflagellates and other organisms causing discolouration of the sand of Port Erin. IV. Proc. Trans. Liverpool Biol. Soc., 38: 58-63. 

  9. Hoppenrath, M., 2000. Taxonomische und okologische Untersuchungen von Flagellaten mariner Sande. PhD Thesis, Department of Biology, University of Hamburg, Hamburg, 311 pp. 

  10. Hoppenrath, M. and B.S. Leander, 2007. Morphology and phylogeny of the pseudocolonial dinoflagellates Polykrikos lebourae and Polykrikos herdmanae n. sp. Protist, 158: 209-227. 

  11. Hoppenrath, M., R.P.T. Koeman and B.S. Leander, 2009. Morphology and taxonomy of a new marine sand-dwelling Amphidiniopsis species (Dinophyceae, Peridiniales), A. aculeata sp. nov., from Cap Feret, France. Mar. Biodiv., 39: 1-7. 

  12. Horiguchi, T., J. Yoshizwa-Ebata and T. Nakayama, 2010. Halostylodinium arenarium, gen. et sp. nov. (Dinophyceae), a coccoid sand-dwelling dinoflagellate from subtropical Japan. J. Phycol., 36: 960-971. 

  13. Keeling, P.J., J.M. Archibald, N.M. Fast, J.D. Palmer, 2004, Comment on "The Evolution of Modern Eukaryotic Phytoplankton", Science, 306(5705): 2191. 

  14. Kim, H.S., W. Yih, J.H. Kim, G. Myung and H.J. Jeong, 2011. Abundance of epiphytic dinoflagellates from coastal waters off Jeju Island, Korea during autumn 2009. Ocean Sci. J., 46: 205-209. 

  15. Kim, S. and M.G. Park, 2014. Amoebophrya spp. from the Bloomforming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Parasites Not Nested in the "Amoebophrya ceratii Complex", J. Euk. Mic., 61: 173-181. 

  16. Kim, S., J. Yoon and M.G. Park, 2015. Obligate mixotrophy of the pigmented dinoflagellate Polykrikos lebourae (Dinophyceae, Dinoflagellata). Algae, 30(1): 35-47. 

  17.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J. Mol. Evol., 16: 111-120. 

  18. Kofoid, C.A., and O. Swezy, 1921. The free-living unarmoured Dinoflagellata. Mem. University Calif., 5: 1-562. 

  19. Lebour, M.V., 1925. The Dinoflagellates of Northern Seas.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e UK, Plymouth. 

  20. Larkin, M., G. Blackshields, R. Chenna, P. A. McGettigan, H. McWilliam, F. Valentin, I.M. Wallace, A. Wilm, R. Lopez, J.D. Thompson, T. J. Gibson, D. G. Higgins, I.M. Wallace, A. Wilm, R. Lopez, J.D. Thompson, T. J. Gibson and D. G. Higgins, 2007. Clustal W and Clustal X version 2.0 Bioinformatics, 23: 2947-2948. 

  21. Larsen, J., 1985. Algal studies of the Danish Wadden Sea II. A taxonomic study of psammobious dinoflagellates. Opera Bot., 79: 14-37. 

  22. Larsen, J. and D.J. Patterson, 1990. Some flagellates (Protista) from tropical marine sediments. J. Nat. Hist., 24: 801-937. 

  23. Lee, W.J. and D.J. Patterson, 2002. Abundance and biomass of heterotrophic flagellates, and factors controlling their abundance and distribution in sediments of Botany bay. Microbial Ecol., 43: 467-81. 

  24. Maddison, W.P. and P.R. Maddison, 2000. MacClade version 4: Analysis of phylogeny and character evolution.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ssachusetts, USA. 

  25. Murray, S., M.F. Jorgensen, N. Daugbjerg, and L. Rhodes, 2004. Amphidinium revisited. II. Resolving species boundaries in the Amphidinium operculatum species complex (Dinophyceae), including the descriptions of Amphidinium trulla sp. nov. & Amphidinium gibbosum comb. nov. J. Phycol., 40: 366-82. 

  26. Nunn, G.B., B.F. Theisen, B. Christensen and P. Arctander, 1996. Simplicity-correlated size growth of the nuclear 28S ribosomal RNA D3 expansion segment in the crustacean order Isopoda. J. Mol. Evol., 42: 211-23. 

  27. Park, M.G., M. Kim and S. Kim, 2014. The acquisition of plastids/phototrophy in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Acta Protozool., 53: 39-50. 

  28. Ronquist, F., Teslenko, M., van der Mark, P., Ayres, D., Darling, A., Hohna, S., Larget, B., Liu, L., Suchard, M. A. and Huelsenbeck, J. P., 2012. MrBayes 3.2: efficient Bayesian phylogenetic inference and model choice across a large model space. Syst. Biol., 61: 539-42. 

  29. Schiller, J., 1933. Dinoflagellatae (Peridineae). Kryptogamen-Flora. Akad. Verl. Leipzig 10, 617 pp. 

  30. Shah, M.M.R., S.J. An, and J.B. Lee, 2014. Occurrence of sanddwelling and epiphytic dinoflagellates including potentially toxic species along the coast of Jeju Island, Korea. J. Fish. Aquat. Sci., 9(4): 141-156. 

  31. Stamatakis, A., 2014. RAxML Version 8: A tool for Phylogenetic Analysis and Post-Analysis of Large Phylogenies. BioInformatics, 30: 1312-1313. 

  32. Swofford, D.L., 2002. PAUP*: Phylogenetic analyses using parsimony (*And Other Methods). V.4.0b10.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ssachusetts, USA, 133 pp. 

  33. Yamaguchi, A., M. Hoppenrath, V. Pospelova, T. Horiguchi and B. S. Leander 2011. Molecular phylogeny of the marine sand-dwelling dinoflagellate Herdmania litoralis and an emended description of the closely related planktonic genus Archaeperidinium Jorgensen. Eur. J. Phycol., 46(2): 98-1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