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Musculoskeletal Symptoms of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4 no.3, 2015년, pp.162 - 172  

김일옥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염계정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musculoskeletal symptoms of the child care centers' teachers in Korea.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using a cross-sectional survey. Convenience samples of 230 child care centers' teachers aged 20 to 65 were selected. A self-ad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신체 부위별 근골격계 증상을 주요 문제로 보고, 일반적 특성, 직무 관련 특성, 운동습관, 피로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 직무 관련 특성, 운동습관, 피로가 신체 부위별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직무 관련 특성, 운동습관, 피로가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 위주의 유아교사와 달리 수유, 기저귀 갈기와 같은 신체노동이 집중된 돌봄 위주의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작업 부하가 신체 어느 부위에 집중되어 근골격계 증상을 유발하는지 세분화하고 부위별 증상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업무로 인한 잠재적 부상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중대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표준 직업분류에서 설명하는 보육교사의 주요 업무는? 국제표준직업분류(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ISCO)에 따르면 보육교사는 개인 돌봄 종사자로 분류되고(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12), 한국표준직업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KSCO)에서 설명하는 보육교사의 주요 업무는 아동복지 시설에 위탁된 영유아의 건강상태, 발육 경과를 계속 관찰, 보호하며 영유아 정서 및 지능발달을 위해 교구와 설비준비, 자유놀이와 집단 유희 지도, 영아에게 우유를 먹이고 취침, 목욕, 옷 입기, 용변 등을 보살피고 생활습관을 지도하는 것이다(Statistics Korea, 2007). 따라서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눈높이에 맞게 수시로 몸을 낮추고, 필요시 영유아를 들고 안아야 하는 등 신체적 노동이 요구되는 직업이다.
보육교사가 신체적 노동이 요구되는 직업인 이유는? 국제표준직업분류(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ISCO)에 따르면 보육교사는 개인 돌봄 종사자로 분류되고(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12), 한국표준직업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KSCO)에서 설명하는 보육교사의 주요 업무는 아동복지 시설에 위탁된 영유아의 건강상태, 발육 경과를 계속 관찰, 보호하며 영유아 정서 및 지능발달을 위해 교구와 설비준비, 자유놀이와 집단 유희 지도, 영아에게 우유를 먹이고 취침, 목욕, 옷 입기, 용변 등을 보살피고 생활습관을 지도하는 것이다(Statistics Korea, 2007). 따라서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눈높이에 맞게 수시로 몸을 낮추고, 필요시 영유아를 들고 안아야 하는 등 신체적 노동이 요구되는 직업이다. 보육교사의 노동은 제한된 좁은 공간에서 이루어지며 반복 동작과 부적절한 자세를 취한 채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관련 근골격계 증상을 자주 유발하며, 이러한 노동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어깨, 허리,목, 손목, 팔꿈치에 무리를 주는 누적 외상성 장애(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를 유발하게 된다(Zenz, Dikerson,& Horvath, 1994).
보육교사의 근골격계 문제에 대한 일본과 미국의 연구 결과는? 일본에서 이루어진 연구에 의하면 영유아를 돌보는 작업이 목, 어깨, 허리 부위 근골격계 질환을 증가시키며(Okuno,Uketa, Nakaseko, & Tokunaga, 1997; Ono et al., 2002),미국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는 보육센터 근무자들이 허리 부상을 입는 원인의 49%가 영유아를 드는 동작에서 기인되는것으로 나타났다(Brown & Gerberich, 1993). 보육교사가 한 달 이상의 휴직을 하게 되는 질병 원인이 근골격계 문제라는 연구(Brulin, Goine, Edlund, & Knutsson, 1998)에서알 수 있듯이 근무 중에 발생된 증상이 누적되어 결국 근골격계 질환으로 발전되어 보육교사의 이직이나 휴직을 초래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 S., Choi, Y. H., Kang, S. K., & Chung, H. K. (2002). Analysi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by approved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in 1999.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4(2), 154-168. 

  2. Bae, S. D., Kim, C. H., Mun, M. K., Kim, D. S., & Lee, M. H. (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for pre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9(11), 28-32. 

  3. Brown, M. Z., & Gerberich, S. G. (1993). Disabling injuries to child care workers in Minnesota, 1985 to 1990. an analysis of potential risk factors.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35(12), 1236-1243. 

  4. Brulin, C., Goine, H., Edlund, C., & Knutsson, A. (1998). Prevalence of long-term sick leave among female home care personnel in northern Sweden.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8(2), 103-111. http://dx.doi.org/10.1023/A:1023063506148 

  5. Choi, W. J., Sung, N. J., Kang, Y. J., & Han, S. H. (2008). Validity of NIOSH-and nordic-style questionnaires in the screening and surveillance of neck and upper extremity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nu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3), 205-214. 

  6. Choi, Y. L. (2014). Beginning teachers' adaptation process at a day care center through small group and journal writing.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2), 1-25. 

  7. David, A., Pelosi, A., McDonald, E., Stephens, D., Ledger, D., Rathbone, R., et al. (1990). Tired, weak, or in need of rest: Fatigue among general practice attenders. BMJ, 301(6762), 1199-1202. http://dx.doi.org/10.1136/bmj.301.6762.1199 

  8. Dawson, A. P., Steele, E. J., Hodges, P. W., & Stewart, S. (2009). Development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an extended version of the nordic musculoskeletal questionnaire(NMQ-E): A screening instrument for musculoskeletal pain. The Journal of Pain, 10(5), 517-526. http://dx.doi.org/10.1016/j.jpain.2008.11.008 

  9. Erick, P. N., & Smith, D. R. (2014). Low back pain among school teachers in Botswana, prevalence and risk factors.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15(359). http://dx.doi.org/10.1186/1471-2474-15-359 

  10. Grant, K. A., Habes, D. J., & Tepper, A. L. (1995). Work activities and musculoskeletal complaints among preschool workers. Applied Ergonomics, 26(6), 405-410. http://dx.doi.org/10.1016/0003-6870(95)00057-7 

  11. Horng, Y. S., Hsieh, S. F., Wu, H. C., Feng, C. T., & Lin, M. C. (2008).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workers in a child care institution. Taiw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36(1), 15-21. 

  12. Hwang, B., Youn, K. H., Lee, J. Y., Kang, J. H., & Yoo, E. K. (2014). An exploratory study on self-perceived symptoms and paininducing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mong care workers in residential settings-focused on the scope of care work and care recipients' characteristics.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Kyungsung University, 30(1), 69-100. 

  13.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12).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ISCO-08. Geneva, Switzerland: International Labour Office. 

  14. Jang, S. J. (2000). Fatigue, Data collection and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 for the health statistics. Chapter 5. Seoul: Gyechuk munwhasa. 

  15. Jeon, H. K., Kim, K. S., & Kim, D. S. (2012). Related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recuperation in patients wit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12(5), 421-427. 

  16. Kim, B. K., Park, C. Y., Yim, H. W., Koo, J. W., & Lee, K. S. (2005). Selection of a high risk group and the effectiveness of an exercise program on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1), 10-25. 

  17. Kim, C. H. (2007). Developing manual for musculoskeletal disease prevention according to occupation.operation IV. Incheo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18. Kim, K. Y., & Koo, J. W. (2005). The change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musculoskeletal diseases after exercise program in an electronic parts manufacturing compan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4(2), 153-163. 

  19. Kuorinka, I., Jonsson, B., Kilbom, A., Vinterberg, H., Biering-Sorensen, F., Andersson, G., et al. (1987). Standardized nordic questionnaires for the analysis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pplied Ergonomics, 18(3), 233-237. http://dx.doi.org/10.1016/0003-6870(87)90010-X 

  20. La, S. S., Gu, S. Y., & Park, Y. R. (2013). A study on child care teachers' heal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in child care center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14(3), 307-328. 

  21. Lee, K. J., Han, S. H., Ahn, Y. S., Hwang, J. H., & Kim, J. J. (2007). Related factors on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elected Korean female office and blue-collar work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7(4), 289-299. 

  22. Okuno, M., Uketa, S., Nakaseko, M., & Tokunaga, R. (1997). Work and workload of nursing personnel in a nursery school and two institutions for handicapped children. Industrial Health, 35(2), 202-211. http://dx.doi.org/10.2486/indhealth.35.202 

  23. Ono, Y., Imaeda, T., Shimaoka, M., Hiruta, S., Hattori, Y., Ando, S., et al. (2002). Associations of length of employment and working conditions with neck, shoulder and arm pain among nursery school teachers. Industrial Health, 40(2), 149-158. http://dx.doi.org/10.2486/indhealth.40.149 

  24. Park, J. K., Kim, D. S., & Seo, K. B. (2008).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 features and control strategies in hospital workers. The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7(3), 81-92. 

  25. Park, K. Y., Bak, K. J., Lee, J. G., Lee, Y. S., & Roh, J. H. (1997). Factors affecting the complaints of subjective symptoms in VDT operator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9(1), 156-169. 

  26. Pillastrini, P., Mugnai, R., Bertozzi, L., Costi, S., Curti, S., Mattioli, S., et al. (2009). Effectiveness of an at-work exercise program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neck and low back complaints in nursery school teachers. Industrial Health, 47(4), 349-354. http://dx.doi.org/10.2486/indhealth.47.349 

  27. Schwartz, J. E., Jandorf, L., & Krupp, L. B. (1993). The measurement of fatigue: a new instrumen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37(7), 753-762. http://dx.doi.org/10.1016/0022-3999(93)90104-N 

  28. Statistics Korea. (2007).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KSCO-6th Revision. Daejeon: Statistics Korea. 

  29. Verhoef, M. J., Love, E. J., & Rose, M. S. (1992) Women's social roles and their exercise participation. Women Health, 19(4), 15-29. 

  30. Zenz, C., Dikerson, O. B., & Horvath, E. P. (1994). Occupational medicine. St, Luis: Mosb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