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물 청소노동자의 노동 경험
Working Experiences of Cleaning Worker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4 no.3, 2015년, pp.183 - 193  

김소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영미 (한국남부발전(주)부산천연가스발전본부 건강관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cleaning workers' working experiences in Korea.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in two focus-group interviews with 9 cleaning workers. The phenomenological analytic method suggested by Colaizzi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Five theme clu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미화원은 어떤 방식의 고용형태를 갖고 있는가? 반면 ‘환경미화원’은 주로 거리 청소를 하며 대부분 남성이다. 지방자치단체에 소속돼 정규직이나 무기 계약직으로 공공 부문에 종사하고 있다.
청소업무로 인한 직업병은 무엇이 있는가? ‘미끄러짐’, ‘먼지, 분진, 가스 등에 의한 오염’, ‘무거운 물건 취급’, ‘불편한 작업 자세’ 등이 원인이 되어 업무상 사고를 당하거나 직업병으로 이환된 경험이 있는 청소노동자가 26%로 보고되고 있다(Cho, 2007; Kang, 2011). 청소업무로 인한 직업병에는 관절통이 가장 많았으며 근육통, 요통, 신경통으로 인한 신체 부담이 뒤를 이었다.
청소원의 업무는 무엇인가?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는 청소노동자를 ‘청소원’이라 하고 건물 및 비행기, 선박, 기관차 등을 청소하는 자로 정의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3). 청소원은 일상적으로 건물이나 다중이용시설, 생산시설, 운송수단의 청결을 유지한다. 흔히 ‘환경미화원’이라 불리는 거리 미화원은 거리, 공항, 역 및 기타 공공장소를 청소하는 노동자로 건물 청소노동자와는 구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M. J. (2014). Organizing Janitorial Workers in Universities in Daejeon: The case of outsourced janitorial workers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 Ahn, S. Y. (2012). Gender and the production of space: With a focus on the struggles of female cleaning workers. Pusan National University Journal of Women's Studies, 22(3), 89-112. 

  3. Bello, A., Quinn, M. M., Perry, M. J., & Milton, D. K. (2009). Characterization of occupational exposures to cleaning products used for common cleaning tasks-a pilot study of hospital cleaners. Environmental Health, 8(11). http://dx.doi.org/10.1186/1476-069X-8-11 

  4. Cho, D. M. (2007). Working-living conditions of subcontracted cleaning workers. Catholic Journal of Social Science, 23, 5-41. 

  5. Colaizzi, F. U.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and M. King(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 European Commission. (2001). Employment in Europe 2001: Recent trends and perspects. Bruxelles: European Commission. 

  7. Hagner, I. M., & Hagberg, M. (1989). Evaluation of two floor-mopping work methods by measurement of load. Ergonomics, 32(4), 401-408. 

  8. Hong, K. P.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2-Butoxyethanol concentration in the air and urinary butoxyaceticacid concentration of hospital cleaning workers using wax.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9. Kang, S. B. (2011). Labor condition of a janitorial service. Monthly Labor Review, 79, 92-108. 

  10. Kim, S. B., Ryu, S. H., Park, D. U., & Lee, Y. K. (2010). Strategies for protecting waste collectors' health and safety.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36(3), 247-253. 

  11. Kim, S. H. (2006). Survey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cleaning workers. Seoul: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12.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3, June 28). Material Safety Data Sheet. Retrieved May 27, 2014, from http://www.kosha.or.kr/msds/msdsMain.do?menuId69 

  13. Lee, K. Y. (2014). The factor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building management workers. Unpublished doctor's dissertation, Sungkyul University, Anyang. 

  14. Merton, R. K. (1987). The focused interview and focus groups. Public Opinion Quarterly, 51, 550-566. 

  1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2). Survey on labor conditions by type of employment. Sej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16. Nielsen, J. (1993). Work environment and health among elderly cleaners - The economic benefits and the problem of age in the cleaning trade. Proceedings - Institute of Occupational Health Finland, 4, 48-53. 

  17.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3), 27-37. 

  1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2, April 30). Seoul, 1,133 people full-time switch to the public sector final confirmation. Retrieved May 27, 2014, from http://spp.seoul.go.kr/main/news/news_report.jsp 

  19. Statistics Korea. (2013),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Daejeon: Author. 

  20. Wolkoff, P., Schneider, T., Kildeso, J., Degerth, R., Jaroszewski, M., Schunk, H., et al. (1998). Risk in cleaning: Chemical and physical exposure.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15, 135-156. 

  21. Yoo, M., Kim, H. H., Oh, J. R., Kim, J. H., & Jung, M. S. (2012),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building cleaners. Paper presented at the Symposium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Korea. 

  22. Yoon, S. J., Yang, K. Y., Chae, Y. J., & Kim, H. R. (2012). Dirty work and identity: Job crafting of college janitor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Korea Academy of Management. Korea. 

  23. Zock, J. P. (2005). World at work: Cleaners.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62(8), 581-5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