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식생활 유형 및 건강증진 동기가 힐링체험 욕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lth Diet Lifestyle and Health Improvement Motivation on the Healing-Experience Demand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4, 2015년, pp.413 - 422  

이상민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윤지영 (숙명여자대학교 문화관광학부 르꼬르동블루 외식경영전공) ,  정희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ifestyle consisting of a health oriented diet and personal motivation toward health improvement on an individual's desire to participate in condolence or "healing" -workshops and programs.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health d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식생활 유형이 건강증진 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건강증진 동기가 힐링체험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모델을 구조방정 식에 맞게 구체화한 최종 모델은 Fig.
  •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건강 식생활 실천을 위한 유형을 분류해 보았으며,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동기와 힐링체험 서비스 요구에 대한 구체적 견해 및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건강식생활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나 힐링 체험 관련 연구는 많이 진행된 바가 없다.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에 살고 있는 일반인 남녀 315명을 대상으로 건강식생활 유형 및 건강증진 동기가 힐링체험 욕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 그러나 힐링과 식생활을 연관지어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트렌드인 건강식생활과 힐링체험 모두 건강 유지 및 증진에 목적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이들은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사람들은 건강 유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점을 인지하거나, 건강 유지 행동 자체의 즐거움 등 다양한 동기요소로 인해 건강증진을 위한 행위를 이행해 나가려는 경향이 높다(Song RY & Lee HJ 2000, Park NH 등 2001, Jo HS 등 200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 건강, 힐링의 관계를 구체화하기 위해 건강식생활 유형과 건강증진 동기를 구분하고 이들 요인이 힐링체험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여 힐링체험 관련 산업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 및 힐링 상품의 핵심 요소인 음식과 식품 관련 부분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1은 ‘영양추구 요인은 인지된 유익성 동기에 영향을 미칠것이다’이고 경로계수는 0.439(C.R.=4.351, p<0.001)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본 가설은 채택되었다.
  • 가설3은 ‘영양추구 요인은 즐거움 동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고 경로계수는 0.195(C.R.=2.014, p<0.05)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본 가설은 채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안전성 요인은 건강증진 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가? 즉, 건강 식생활 유형 중 식품안전성 요인은 건강증진 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전한 식생활을 위해 인공첨가물, 유전자 조작 식품을 회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건강을 증진시키려는 의도가 아니라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를 차단하려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건강식생활 유형 중 건강구매 요인이 건강증진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분은 가설 10~가설12에 해당한다.
건강식생활을 본 연구에서 왜 주요 변수로 다루었나? 건강식생활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세부요인이면서 건강생활양식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 이에 건강식생활은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식생활 행동 양식이라는 점에서 건강증진과도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어 본 연구에서 주요 변수로 다루었다. 사람들은 건강 유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점을 인지하거나, 건강 유지 행동 자체의 즐거움 등다양한 동기요소로 인해 건강증진을 위한 행위를 이행해 나가려는 경향이 높다(Song RY & Lee HJ 2000, Park NH 등 2001, Jo HS 등 2004).
건강식생활은 어떤 요소인가? 본 연구에서 의미하는 건강식생활 유형은 Donovan JE 등(1991)에 의해 정의된 ‘건강생활 양식’, 즉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행동양식의 하위개념 중하나로 간주하였다. 건강식생활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세부요인이면서 건강생활양식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 이에 건강식생활은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식생활 행동 양식이라는 점에서 건강증진과도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어 본 연구에서 주요 변수로 다루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bood DA, Black DR, Feral D. 2003. Nutrition education worksite intervention for university staff: Applic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J Nutr Educ Behav 35(5):260-267 

  2. Choi MK. 2011. Analysis of dine-out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consumers' well-being dietary life pursuit attitude. Doctorate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40 

  3. Donovan JE, Jessor R, Costa FM. 1991. Adolescent health behavior and conventionality-unconventionality: an extension of problem-behavior theory. Health Psychol 10(1):52-61 

  4. Fleury J, Lee S. 2006. The social ecological model and physical activity in African American women. American J Commu Psychol 37(1-2):129-140 

  5. Grzywacz JG, Marks N. 2001. Social inequalities and exercise during adulthood; toward and ecological perspective. J Health Soc Behav 42(1):202-220 

  6. Hair Jr. JF, Anderson RE, Tatham RL, Black WC. 1998. Multivariate data analaysis. Prentice-Hall. 5th ed. pp 33-125 

  7. Jang YJ. 2010. Food-related lifestyle segments of older consumers in Seoul and its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146-153 

  8. Jo HS, Kim CB, Lee HW, Jeong HJ. 2004. A meta-analysis of health related behavior study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in Korean. Korean J Health Psychol 9(1):69-84 

  9. Jo SM. 2011. Change in dietary lifestyle in the era of nomad and future trend in food industry.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summer conference. Korean Living Sci Assoc 2011(2):29-39 

  10. Jung JH. 2009.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design in healing environments-interior design of a women's hospital-.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p 1-39 

  11. Kim SS. 1999. Research regarding senior citizens cure program (SCCP) development -focused on Ee-Rae township welfare foundation-. Master's thesis. Myong Ji University. Seoul, Korea. pp 1-29 

  12. Kim YH. 2012. A study on utilization of naturopathy by patients and healthy persons. J Naturopathy 1(1):1-6 

  13. Kim YS. 2010. Aware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clothing according to women's LOHAS lifestyle. Res J Costume Culture 18(3):499-513 

  14.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2013. An analytical study on to prospect arts and cultural trends 2013. 2013 6th Mirae Culture Forum. Ministry of Culture, Sport and Tourism. Seoul, Korea. pp 43-53 

  15. Korea Forest Foundation. 2013. Forests and human welfare the world harmony happy to realize that. - Promotion of health in forests. Available from: http://www.kofofo.or.kr/business/sub08_02_02.php. Accessed February 15, 2014 

  16. Lee YS. 2007. A definition and concept of healing contents. J Korea Soc Design Forum 17(1):301-310 

  17. Lim KH. 2006. The effect of consumer behavior on motivation of buy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Intl J Tour Hosp Res 20(1):199-216 

  18. Magazine Hankyung. 2012. [Healing business] 'Healing' product.service pouring ${\cdots}$ holds as a marketing tool. Available from: http://magazine.hankyung.com/business/apps/news?popup0&nid01&c11001&nkey2012052200859000151&modesub_view. Accessed February 15, 2014 

  19.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3. Presentation on the results from a customer demand survey regarding the policy on traditional Korean cuisine. Available from: http://www.mafra.go.kr/list.jsp?newsid155446313§ion_idb_sec_1&listcnt5&pageNo1&year&group_id3&menu_id1125&link_menu_id&divisionB&board_kindC&board_skin_idC3&parent_code3&link_url&depth1. Accessed December 24, 2014 

  20. Park JH, Kwon YM. 2009. Discovering the power of the healing as a tourism product in the transformation economy. J Tour Leisure Res 21(1):357-374 

  21. Park NH, Lee HJ, Kim JS. 2001. Effects of the elderly health promotion behavior program on motivation, health behaviors, and depression. J Korean Gerontol Nurs 3(2):186-195 

  22. Shepherd R. 2001. Healthier eating in the U.K: the eating, food, and health LINK programme. Trend Food Sci Technol 12(11):425-428 

  23. Song RY, Lee HJ. 2000. Effects of the inpatient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behavioral modifica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 Korean Acad Nurs 30(1):463-475 

  24. Sul HK, Lee SH, Jun JK. 2007. An exploratory study on dietary behavior in lifestyle. J Food Service Manag Soc Korea 10(2):267-284 

  25. Woo JP. 2014. Principles and understand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annarae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374-391 

  26. Yang JY. 2012.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of healing experience and behavior intention for transforma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of healing involvement-. Doctorate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pp 13, 17-23, 26 

  27. Yoon HS, Lee HY, Lee SK.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the use of health promotion program -Seoul community health center-. Health Soc Welf Rev 28(1):157-1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