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궁중음식 인식성향에 따른 궁중음식 메뉴개발 방향성에 대한 조사
Measures to Improve Culinary Trends in Korean Court Food Based on the Perception of Korean Royal Court Cuisine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3, 2016년, pp.370 - 381  

구하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정서영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정희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ssesses Korean royal court cuisine as perceived by culinary professionals and student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dining. Methods: It was observed in a survey that Korean royal cuisine could be grouped into four classe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actors: popularity, stan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리 또는 외식경영 관련 전공 학생들과 관련업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궁중음식 인식에 따른 궁중음식 메뉴개발 방안을 조사하여 궁중음식의 대중화와 고급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국인이 좋아하는 한국음식을 궁중음식에 적용하면 어떻게 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가? 궁중음식 의미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궁중음식은 고급 음식이라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궁중음식의 인식 성향별로는 표준/고급화 추구형에서 궁중음식은 건강 음식이고 한식 세계화에 기여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외국인이 좋아하는 한국음식을 궁중음식에 적용할 경우, 재료의 이용 확대와식재료간의 궁합을 어떻게 적용하는 것이 좋은지를 조사한 결과 불고기는 다양한 조리법을 이용함과 동시에 단맛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많았고, 국물이 있는 여름 보양식의 육수 선호도 결과에서는 맑은 육수를 가장 선호하였다. 두부를 이용한 궁중음식 조리법의 적합도는 전골 또는 찌게 형태의 순위가 가장 높았으며, 생선을 이용한 궁중 보양음식 메뉴개발에 필요 사항에서 표준/고급화 추구형과 전통/대중성 추구형이 무관심형에 비해 전통의 조리법 활용, 생선의 뼈 제거, 궁중에서 많이 사용했던 생선 사용에 대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궁중음식을 연구해야하는 이유로 무엇이 있는가? 한국음식은 건강식이자 조상의 지혜가 담겨있는음식임에도 불구하고 그 문화가 제대로 알려지지 못했고 특히, 궁중음식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왕실은 한 시대를 이끌어가고 대표하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을 뿐 아니라 왕조가 바뀌더라도 이전 왕조의 문화는 계승이 되어 왔기 때문에(Park SJ 2010) 궁중음식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의 음식문화를 연구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불교가 사라지고 유교의 영향을 받은 조선은 궁중의 연회 문화가 아주 성대히 발전하였기에(Kim YN 2008), 우리의 궁중음식을 알아 가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본다.
궁중음식에 대한 인식 조사로 조리 관련 전공자들은 어떤 요구가 나왔는가? 조사 설문지는 궁중음식에 대한 인식 성향과 전통음식의 이용실태, 메뉴개발에 대한 선행연구(An HY 2002, Chang HJ 등 2010, Min KH 2010)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 궁중음식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궁중음식의 의미 10문항, 궁중음식의 우수성 11문항, 궁중음식을 널리 알리기 위해 궁중음식의 정보 관련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리관련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궁중음식의 대표 메뉴에 대한 사전조사 결과 너비아니 구이, 신선로, 두부전골, 초계탕(삼계탕), 도미면, 골동반(비빔밥), 잡채에 대한 레시피 확립 및 메뉴 개선 요구도가 높았다. 궁중음식 방향성 조사를 위한 메뉴는 최근 궁중음식 관련 외식업체에서 많이 판매되고 있는 형태로 바꾸어 선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 HY. 2002.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use of menu- development on the selling.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Korea. p 7. 

  2. Cha SB, Park KT. 2003.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local menus using medicinal cooked food in Chonan area. J Tour Leisure Res 15(2):9-22. 

  3. Chang HJ, Choi BR, Yi NY, Park BS, Kim HS. 2010. Preference and product development opinions of Koreans and non-Koreans regarding commercialization of Korean foods. Korean J Food Cook Sci 26(4):458-468. 

  4. Han JS, Kim JS, Kim SY, Kim MS, Otani K, Minamide T. 1998. A survey of Japanese perception of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s. US. Korean J Soc Food Sci 14(2):188-194. 

  5. Jin YH. 2011. A study on recognition of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mong the students majoring in foodservice. Korean J Culin Res 17(5):57-73. 

  6. Joo NM, Sim YJ, Lee KA. Jeong HS, Park SJ, Chun HJ. 2001.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Americans residing in Korea for Korean traditional food. J Korean Home Econ Assoc 39(6):15-23. 

  7. Kim DJ. 2011. A study on adaptability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 for foreigners in Korea.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p 64. 

  8. Kim KM. 2007. A study on the developing various menus in hotel restaurants'. Master's thesis. Woosong University, Daejeon, Korea. pp 1-2, p 24. 

  9. Kim YN. 2008. A study on figuration of court banquet serving in Joseon period -Focusing on Youngjeob Dogam Euigwae-.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p 6. 

  10. Lee HG, Oh MY. 1995. Consciousness, knowledge and food preferences for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J Korean Home Econ Assoc 33(4):65-87. 

  11. Lee HS, Shin MJ. 2008.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Boyangsi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5):684-691. 

  12. Lee JH. 2008. Perception of students of related majors on local foods and local specialties under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2 

  13. Lee SJ. 2010. Strategies to vitalize food tourism as a new Korean wave content. Gyeonggi Res Int 2010(10):1-212. 

  14. Lee SY, Han BR. 2012. A study on the royal banquet dishes in Naeoejinyeon-Deungnok in 1902. Korean J Food Culture 27(2):128-141. 

  15. Min KH. 2010.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Korean food in Australia. Korean J Culin Res 16(5):92-102. 

  16. Oh SD. 2012. A literature review of Dasik in the Joseon dynasty royal palace. Korean J Food Culture 27(3):316-323. 

  17. Park HY, Ahn MW, Kim BW, Kim NY. 2014. Study on preferences and perception of Koreans and non-Koreans residing in Korea regarding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2):155-165. 

  18. Park SJ. 2010. A study on the rank of Tteok in the royal feast cuisin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p 1-4. 

  19. Seo KH, Lee SB, Shin MJ. 2003.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and the improvement of Korean restaurants for Japanese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Korean J Soc Food Cook Sci 19(6):715-722. 

  20.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2004.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Boyansik in summer. Available from: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0715775. Accessed April 13, 2004. 

  21. Sim JY, Lee GC. 2006.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educational needs for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among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18(4):157-172. 

  22. Yoo JY, Cho HS, Park B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Lagocephalus lunaris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4):495-501. 

  23. Yoon SA, Park GS. 2013. Study on image, preferenc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Daegu.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2):184-1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