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대학생의 짠맛 선호도에 따른 소금 섭취 식행동 차이와 상관성 분석
Differences in Sodium-Intake 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Salty Taste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4, 2015년, pp.477 - 484  

강민지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최기보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은순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산지역 4개 대학 급식소를 방문한 학생 977명을 대상으로 짠맛 자가 선호도 및 소금 섭취 관련 식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저염 식사 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짠맛 자가 선호도는 '싱겁다' 18.8%, '보통이다' 45.8%, '짜다' 35.3%이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짠맛에 대한 자가 선호도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저염식의 의미를 아는 학생은 조사대상자의 79.8%이며, 남학생은 75.3%, 여학생은 84.7%으로 유의적(p<0.01)인 차이를 보였다. 짠맛 자가 선호도가 '싱겁다', '보통이다'인 학생은 '짜다'인 학생보다 저염식 인지 비율이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소금 섭취 식행동에서,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건어물, 생선자반 등을 자주 먹는다', '국이나 국수류의 국물을 다 먹는 편이다'(p<0.01)와 '김치류를 많이 먹는다', '튀김이나 전 생선회 등에 간장 고추장을 듬뿍 찍어 먹는다'(p<0.05)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짠맛 자가 선호도에 따른 소금 섭취 식행동 전체 평균점수는 '싱겁다' 2.49/5.00점, '보통이다' 2.87/5.00점, '짜다' 3.19/5.00점으로 각 짠맛 선호도에 따라 유의적(p<0.01)인 차이를 보였고, 소금 섭취 섭취 식행동의 모든 세부항목에서 짠맛 자가 선호도가 낮은 학생이 높은 학생보다 소금 섭취 식행동 점수가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저염식을 인지하는 학생이 비인지 학생보다 소금 섭취 식행동 전체 평균점수가 유의적(p<0.01)으로 낮았으며, '국이나 국수류의 국물을 다 먹는 편이다', '생구이보다 양념구이 조림류를 선택한다', '라면을 자주 먹는다' (p<0.01)와 '외식을 하거나 배달을 자주 시켜먹는다'(p<0.05)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짠맛 자가 선호도는 평상시 식사에서 간장, 고추장, 소금 등을 섭취하는 식행동과 유의적(p<0.01)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앞으로 대학교에서는 학내에서 학생들에게 짠 맛에 대한 선호 및 짠맛 미각 판정 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소금 섭취 문제점을 고취시켜 저염식에 대한 인지를 높이며 나트륨 저감화가 실생활로 연계 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천 방안 교육과 홍보가 전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the meaning of a low-sodium diet as well as the self-reported preference of saltiness and sodium-intake related dietary behaviors for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977 students (male: 512, female: 465). For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저염 식사의 의미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대학생의 짠맛 선호도 및 소금 관련 식생활에 대한 조사를 통해 대학생들의 올바른 식생활과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영양교육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적인 나트륨 과잉 섭취는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나트륨은 성인병의 대표적 질환인 고혈압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식이요인 중 하나로 특히 만성적인 나트륨 과잉 섭취는 나트륨에 예민한 사람에게 혈압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Son SM & Heo GY 2000), 소금 섭취 감소는 국민건강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세부적인 목표를 세우고, 이와 관련된 법령을 제·개정하며 각종 교육홍보 매체개발, 식품업체와의 간담회 추진, 지속적인 모니터링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Kim JA 등 2012).
짜게 먹는 식습관은 언제 형성되는가? 짜게 먹는 식습관은 유아기나 아동기에 형성되며, 오랜 기간 짠맛에 익숙해지면 미각이 둔화되고, 나이가 들수록 염분 조절 능력이 떨어지며 소금 섭취량 역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Yim JE 등 2005). 중년기의 만성질환이 문제시 되고 있는 현대에서 대학 생활 시기는 성인으로 전환되면서 건강을 대비하는 중요한 시기로, 청소년기의 식생활 행동을 반영하며 중·장년기의 습관화될 식생활 태도를 보여주기 때문에 이 시기의 올바른 식습관의 확립과 영양관리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보겠다(Bae YJ 등 2007, Choi MS 2008).
부산지역 4개 대학 급식소를 방문한 학생 977명을 대상으로 짠맛 자가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어떤 비율을 보였는가? 본 연구는 부산지역 4개 대학 급식소를 방문한 학생 977명을 대상으로 짠맛 자가 선호도 및 소금 섭취 관련 식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저염 식사 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짠맛 자가 선호도는 '싱겁다' 18.8%, '보통이다' 45.8%, '짜다' 35.3%이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짠맛에 대한 자가 선호도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저염식의 의미를 아는 학생은 조사대상자의 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 YJ, Lee JC, Kim KH. 2007.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of college students by residing types in Samcheok. J Korea Diet Assoc 13(4):311-330 

  2. Bae YJ, Yeon JY. 2011. Evaluation of sodium intake and relationship between sodium intake and the bone mineral dens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5):625-636 

  3. Chang SO. 2010. Effect of a 6-month low sodium diet on the salt taste perception and pleasantness, blood pressure and the urinary sodium excre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43(5):433-442 

  4. Choi MS. 2008. Investigation of salt intake recognition and dietary habits focus on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p 2-28 

  5. Chung EJ, Shim EG. 2008.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sodium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5):578-588 

  6. Drewnoski A. 1997. Taste preference and food intake. Annu Rev Nutr 17:237-253 

  7. Hwang EJ, Yeon SY, Lee SB, Ji YS, Choi AR, Lee JY, Hyun TS. 2013. Association of salt preference and food frequency among college students. J Human Ecol 16(1):115-123 

  8. Kim HA. 2013. A study on the nutrition about sodium knowledge,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and dietary attitudes towards low-salt diet of adult in Jeonbuk region.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pp 29-30 

  9. Kim HS, Lee EY, Kim KM, Kim KW, Pyun JW, Chung SJ, Kwon YH, Yeo IH, Lee SY, Nam KS. 2013. Survey on dietary behaviors and intakes of instant noodle (ramyeon) soup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8(4):365-371 

  10. Kim JA, Kim YH, Ann MY, Lee YK. 2012. Measurements of salinity and salt content by menu types served at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in Daegu. Korean J Community Nutr 17(5):637-651 

  11. Kim KH, Cho HS. 2012. Study on dietary habits and body composition in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salty taste preference J Korean Soc Food Culture 27(6):659-665 

  12. Kim SJ, Cho MH, Lee KH. 2009.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salinities of soups preferred by customers and provided at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3):445-450 

  13. Ko MS. 2007.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dietary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12(2):259-271 

  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Sodium intake of Koreans. Available from: 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Link.jsp?fid21&cid19415&ctype1. Accessed April 13, 2015 

  15. Lee JS, Oh HK, Choi KS. 2015. A study on utilization of processed foods and recognition of food labels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8(1):24-33 

  16. Lee KA. 2014.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buk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7):1122-1131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Korean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Seoul, Korea. p 52, p 369 

  18. Pak HO, Hong MS, Sohn CY. 2015. Survey on nutrition knowledge, food behaviors, and food frequency of sodium intake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1):12-19 

  19. Park YS, Son SM, Lim WJ, Kim SB, Chung YS. 2008.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 13(1):1-12 

  20. Shin EK, Lee HJ, Jun SY, Park EJ, Jung YY, Ahn MY, Lee YK.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sodium reduction in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Community Nutr 13(2):216-227 

  21. Son SM, Heo GY. 2000. Characteristic of anthropometric data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of hypertensive patients before treatment. Korean J Community Nutr 5(4):624-632 

  22.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eong YS. 2007.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12(5):545-558 

  23. Yim JE, Cho MR, Yin CS, Seo BK, Koh HG, Choue RW. 2005. Nutrients and salt consumption of hypertension patients according to treatment status. Korean J Nutr 38(9):706-716 

  24. Yoon SH. 2007. A study on estimating sodium intakes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of adults in the Jeonbuk province.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pp 1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