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웃음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aughter Therapy on Happiness,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8 no.2, 2015년, pp.111 - 119  

서혜영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대체의학과.백석중학교) ,  오자영 (아주대학교 간호학과) ,  이도영 (경복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aughter therapy programs on middle school students' happiness,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Methods: In total, 60 students (Experimental group= 30. Control group=30) were recruited to answer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감정기복이 심하고 불안한 정서적 변화를 겪고 있는 중학생에게 웃음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행복감,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청소년을 심신 건강을 위한 교과 개발의 기초가 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웃음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웃음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실험군은 인천소재 B중학교로 선정하여 준비 단계(5분), 도입 단계 (5분), 본론 단계(30분), 정리 단계(5분)로 구성되어 8주 동안주 1회, 45분간 시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대상으로 정신건강관리 차원 중 웃음 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시행 전과 후에 중학생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며, 이는 중학생의 웃음치료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감정기복이 심하고 불안한 정서적 변화를 겪고 있는 중학생에게 정신건강관리 중 하나로 웃음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행복감,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청소년을 심신 건강을 위한 교과개발의 기초가 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특징은? 청소년기는 인생의 전환기이자 과도기로, 성숙을 위한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심리적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중 ‧ 고등학교시기에 들어서면서 자기 존재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며(Lee & Cheon, 2003), 특히 초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중학생 시기에는 신체적 ‧ 생리적 측면은 급격히 발달하는데 비해 인지적 ‧ 정서적 측면은 미성숙하여 초등학생이나 고등학생과는 달리 감정기복이 심하고 불안한 정서적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 이다(Moon, 2008).
자아존중감은 무엇인가? 한편 자아존중감은 자신을 존경하는 정도와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로, 자신에 대한 부정적 또는 긍정적 평가와 관련된다(Rosenberg, 1979). 자아존중감이 높은 청소년들은 긍정적인 사고방식으로 인간관계 및 학업수행 등을 하며 자신감을 가지고 건강한 선택을 할 수 있다(Seo, 2004).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는 학생의 자아존중감의 관계는? 그러나 학교생활적응에 실패한 학생들은 교사와 또래집단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반항, 학업기피, 음주, 가출등과 같은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며, 결과적으로 자아개념형성과 가치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Shin & Kim, 2010). 타인과의 원만한 관계 속에서 학교생활적응이 잘 이루어진 청소년과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청소년일수록 더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Yoon, Jung, Yoon, & Roh,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nnett, M. P., & Lengacher, C. A. (2006). Humor and laughter may influence health. I. History and background.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3(1), 61-63. 

  2. Choi, B. G., & Jeon, G. Y. (199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elf-esteem inventory].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1(2), 41-54. 

  3. Hills, P., & Argyle, M. (2002).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A compact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 1073-1082. 

  4. Hymovitch, D. P., & Chamberlin, R. W. (1980). Child and family development. New YORK: McGraw-Hill. 

  5. Jeong, C. B. (2010). The influence of laughter therapy on subjective happiness of adult.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 Ji University, Seoul. 

  6. Jung, J. S. (2011). The effect of laughter therapy on sleep and self-esteem in senior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 Ji University, Seoul. 

  7. Kim, D. H. (2011).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the depression, self-esteem and stress of female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8. Kim, G. M., & Yang, B. H. (2003). The factor structure of school adjustment: Gyeongnam elementary school students. Gyeongnam Education Research, 8, 147-164. 

  9. Kim, H. Y. (2014). The influence of the laughing activity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daily stress and positive think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10. Kim, M. S. (2009).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ompliment and laughing program for schizophenic patient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1. Kim, N. Y. (2012). The Influence of laugh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 Ji University, Seoul. 

  12. Kim, Y. S. (2010). The effect of laughing activity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3. Lee, H. L., & Cheon M. S. (2003).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ego-identity adolescents and school life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0(4), 511-541. 

  14. Lee, I. S. (2010). Laughtertherapy to heal the body and mind. Seoul: Hanan Publisher. 

  15. Lee, M. L. (2003). Daily contextual variations in levels of adolescent happines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6(4), 193-209. 

  16. Lee, S. J. (2011). Th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humor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Focusing on elementa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 Ji University, Seoul. 

  17.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se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 803-855. 

  18. Moon, S. W. (2008).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social-support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of Middle-school students: Seoul, Cheonnam reg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19. Park, C. S. (2010). A study on the changes in happiness index through laughter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 Myung Univerity, Seoul. 

  20.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Malabar, FL: Robert E. Krieger. 

  21. Ryff, C. D., & Singer, B. (1998). The contours of positive human health. Psychological Inquiry, 9(1), 1-28. 

  22.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1), 5-14. 

  23. Seo, H. Y. (2012). Th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humor program on self-esteem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 Ji Univerity, Seoul. 

  24. Seo, M. K. (2004). Comparative study on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s self-esteem perceived delinquent and normal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unju. 

  25. Shin, I. S. (2010). The influence of laughing program on subjective happi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cou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 Ji University, Seoul. 

  26. Shin, S. J., & Kim, K. S. (2010). The influence of self-identity for middle school student on the adaption to school. Journal of the Education and Science Research, 16, 103-137. 

  27. Wikipedia. (2014). September 15, 2014, from the web site: https://ko.wikipedia.org/wiki/%EC%A4%912%EB%B3%91 

  28. Yoo, S. J., Lee, J. E., & Lee, G. R. (2005).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vital sign and emotional state in homes for the aged.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4(1), 55-63. 

  29. Yoon, J. D., Jung, C. K., Yoon, P. K., & Roh, M. R. (2009).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type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3(2), 125-134. 

  30. Youm, Y. S., Kim, K. M., Lee, M. R., & Lee, J. A. (2013). Collection of Korean child well-being index and its international comparison with other OECD Countries at http://www.korsofa.or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