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기 여성 웃음치료 프로그램이 낙관성,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Optimism,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Laughter Therapy of Menopausal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8 no.4, 2012년, pp.248 - 256  

차미연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나연경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홍해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of optimism, self-esteem and depression to verify an effect of laughter therapy program for menopausal women. Methods: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 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n=57) were 28 in the experimental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총 2주간 10회를 시행한 폐경기 여성 웃음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낙관성,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변화를 확인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2주 동안의 폐경기 여성 웃음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검정되었다.
  •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 웃음치료 프로그램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후 낙관성,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변화를 파악하는 유사 실험설계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실험설계(no-u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이다.
  •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 웃음치료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도한 연구로, 45세에서 64세의 폐경기 여성실험군 28명 대조군 29명을 대상으로 낙관성,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점수는 동질한 상태에서 실험군에서 낙관성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의 낙관성,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폐경기 여성 웃음치료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 폐경기 여성 정신심리적 건강관리 방법으로 폐경기여성 웃음치료 프로그램은 낙관성과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이로 인해서 폐경기 여성 우울저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폐경기 여성 웃음치료 프로그램 효과를 검정하여 지역사회 가족의 구심점인 폐경기 여성의 정신심리적 건강관리계획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웃음치료 프로그램은 경제적, 시간적으로 제약이 적어 접근성이 높은 간호중재 방법인데도 불구하고 웃음치료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노인이나 특정질환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있으나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폐경기 여성의 정신심리적 문제인 우울을 통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폐경기 여성 웃음치료 프로그램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폐경기 여성 정신심리적 건강관리 방법으로 폐경기여성 웃음치료 프로그램은 낙관성과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이로 인해서 폐경기 여성 우울저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폐경기 여성 웃음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대조군은 시간에 따라 낙관성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폐경기 여성 웃음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대조군은 시간에 따라 우울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폐경기 여성 웃음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대조군은 시간에 따라 자아존중감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계청에 의하면 2020년에 전체 여성인구 중 45세 이상의 여성인구의 수가 어떻게 될 것으로 추정되는가? 통계청(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에 의하면, 2008년도 한국 여성의 평균 수명은 83.29세로 폐경기 진입 시기인 약 45세 이후부터 약 35여년 이상의 삶이 지속되며, 전체 여성인구 중 45세 이상의 여성인구가 2020년에는 1,240만 명으로 50.4%에 도달 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폐경기 이후 여성의 삶이 길어짐에 따라 폐경기 여성의 건강문제는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중년여성의 폐경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중년여성의 폐경은 난소의 기능이 약해져 배란과 여성호르몬의 생산이 감소, 정지되는 것을 의미하며 중년여성에게 정신적 상실감, 좌절감과 우울이 나타나며 정신심리적인 건강변화뿐만 아니라 중년 후기의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Bae, 2006). 폐경기는 불규칙한 월경과 호르몬의 불안정한 상태인 폐경 전기(premenopause)와 월경이 완전히 끝나는 시기인 폐경 후기(postmenopause)를 의미하며, 여성의 약 50%는 45~50세에서 폐경 전기인 이행기(premenopause)가 시작된다(Lee et al.
폐경기 여성의 낙관성,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폐경기 여성 웃음치료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어떤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가? • 폐경 이행기 증상으로 과거보다 월경의 양과 기간이 감소한 여성 • 생리가 불규칙하거나 갱년기 증상이 있는 여성 • 자궁 수술로 인한 폐경이나 자연적 폐경 후기 인 여성 • 사회활동이 가능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45세에서 64세의 여성 • 웃음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는 폐경기 여성 •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폐경기 여성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G. Y. R. (1988). Sex difference in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depression related to stress.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from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Seoul. 

  2. Bae, K. E. (2006). Instrument development for adaptation of women in the menopause peri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Korea, Seoul. 

  3. Beth, D. S., & Robert, G. R. (1994). Basic & clinical biostatistics. (2nd ed.). Prentice-Hall International Inc. 

  4. Cronch, M. A. (1983). Enhancement of self-esteem through their life span. Family and Community Health, 6 (2): 11-28.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 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6. Cho, E. A., & Oh, H. E. (2011).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quality of life, resilience and immune responses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3 ), 285-293. http://dx.doi.org/10.4040/jkan. 2011.41.3.285. 

  7. Fry, W., & Savin, W. (1988). Mirthful Laughter and blood pressure Humor. International Journal of Humor Reserch, 1, 49-62. 

  8. Go, H. J. (2008).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and cognition in a community for the ag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9.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Journal, 11 (1), 107-130. 

  10. Jung, J. S. (2011). The effect of laughter therapy on sleep and self esteem in senior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11. Kim, C. K. (2010). A qualitative study on depression experiences of middle aged depressed wome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1 (4) 1783-1806. 

  12. Kim, D. H. (2011).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the depression, self-esteem and stress of female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3. Kim, O. S. (2005).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Y. J. Sakano, Trans). Hana Medical Publishers. (Original work published 1988). 

  14. Kim, Y. S. (2006). Influence of laughter on stress response in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University, Busan. 

  15. Kim, H. S., & Lee, E. J. (2006). A study on the relation of laughter index,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9 (2), 126-133. 

  16. Kim Rachelle, L. (2002). The effects of humor on cardiopulmonary function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ealth status among older adul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USA. 

  17. Kim, S. H. S. (2010). The effectiveness of a laughter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nxiety, depression, and low self-esteem in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ren Nursing, 31 (2). 

  18. Kim, J. H., Choi, H. L., & Lee, C. Y.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recreation program for decrease of depression and stress, improving self-esteem of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3 , 907-916. 

  19. Korea Laughter Clinic Academy. (2007). http://www.hahaclinic.co.kr 

  20. Korea National Statistcal Office. (2010). View statistics of women's lives: Average life http://www.kostat.go.kr/wnsearch/search.jsp 

  21. Lee, M. S. (2008). Laughter, Power to heal me. Seoul: Random House. 

  22. Lee, Y. S., Go, M. S., Kim, H. J., Sim, M. J., Oh, H. M., & Lee, E. S. (2001). Women's Health Nursing. Seoul: hyeonmunsa. 

  23. Matsuzaki, T., Nakajima, A., Ishigami, S., Tanno, M., & Yoshino, S. (2005). Mirthful laughter differentially affects serum proand anti-inflammatory cytokine levels depending on the level of disease activity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Rheumatology, 45:182-186. doi: 10.1093/rheumatology/kei 081. 

  24. Park, H. M., Ahn, M. O., Choi, H., & Hur, M. (2004). Climacteric women's attitude toward management of menopause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0 (2), 121-127 

  25. Park, H. S. (1997).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8 (2), 3999-410. 

  26. Park, H. S.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health promoting behavior, self-esteem, and optimism in middle-ag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 352-362. 

  27.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28.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Ryu, C. H. (2009). A study on effectiveness comparison betwee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and Laughter Therapy (LT) for juvenile offend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30. Scheier, M. F., Carver, C. S., & Bridge, M. W. (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1063-1078. 

  31. Seligman, M. E. P. (2007). Joy of psychology. (J. S. Yu, Trans). Phoenix Academy.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32. Yoon, J. (2007). The Effect of Optimism on Depression and Well-being: Social Support and Coping as a Mediating variab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