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황룡사 서금당 전축기단 연구
A Study on the Brick-constructed Platform of the West hall in Hwangnyongsa temple site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4 no.4, 2015년, pp.55 - 64  

김숙경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황룡사복원정비사업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architectural historical meaning of the brick-constructed platform of the west hall in Hwangnyoungsa buddhist temple site based on studying published the excavation survey report and comparing with other platforms of Silla remains. Mass and height of the building has a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때 석조 부재이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전형적이고 일반적인 석조 가구식 기단으로 추정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황룡사 서금당의 전축기단이 갖는 특징을 재검토하고 각 건물지 기단의 유일한 유구인 지대석의 속성을 재조명해 보면서, 황룡사 전축기 단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 본 연구는 황룡사지 기단 유구에 대한 일차적인 조사와 신라 유적지의 기단 유구를 비교·검토5)하여 전축기단의 구성, 축조기법 등 건축적 특징을 밝히고, 그 결과 황룡사 서금당의 전축기단이 갖는 건축사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기단에서 전축조가 남아있는 유적은 사천왕사지, 고선사지, 법광사지 등이며 이들 사례를 통해 다양한 전축기단 축조법을 검토할 수 있다. 이 외 발해 및 고려시대 유구에서 전축기단 사례도 참고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지대석과 면석의 결구를 확인할 수 있는 가구식 기단은 사천왕사지, 감은사지, 불국사의 주요 건물지이며 그 외에는 대부분 지대석만 남아있는 실정이다.

가설 설정

  • 34) 석조 가구식 기단 부재는 간략화 되고 결구법이 단순해지는 방식의35) 발달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천 죽죽리 폐사지는 어느 시대의 불교유적지인가? 합천 죽죽리 폐사지는 통일신라시대 불교유적지이다. 가구식 전축기단이 남아있는 A건물지는 통일신라시대 건물을 고려시대에 증축한 것이다.
황룡사지 각 건물지의 기단 유구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황룡사지 각 건물지는 기단토 토층단면 조사를 통해 수차례 중건 또는 중수한 흔적이 발견되나, 남아있는 기단 유구는 최종시기의 것이며 기단의 선대 유구는 대부분 확인하기 어렵다.6)
황룡사지 각 건물지에 남아있는 기단 지대석은 어떠한 특징이 나타나는가? 각 건물지에 남아있는 기단 지대석은 대부분 한단 턱이 있는 장대석이며 상면은 평활하였다. 즉 부재를 받기 위한 홈이나 조출흔적은 없었다.7) 한단 턱이 있는 지대석은 신라 유적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서 보통 턱은 폭 5~6㎝, 높이 10~11㎝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Bureau(文化財管理局) Gyeongju HIstorIc SIte Management OffIce(慶州史蹟管理事務所), ExcavatIon Survey Report of Gosunsa temple sIte(高仙寺址 發掘調査報告書), 1977 

  2.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Bureau(文化財管理局)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文化財硏究所), ExcavatIon Survey Report of the Hwangnyoungsa I(皇龍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 I), 1984 

  3.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ExcavatIon Survey Report of Gameunsa temple sIte(감은사 발굴조사보고서), 1997 

  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Ity of Gyeong-Ju,, ArchItectural research on the Hwangnyoungsa features(황룡사 유적의 건축학적 고찰)SerIes of Hwangnyoungsa research 1(황룡사연구총서1), 2009 

  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Ity of Gyeong-Ju,, Research on the FoundatIon of MaIn hall In Hwangnyoungsa temple(황룡사 금당 기초 연구)SerIes of Hwangnyoungsa research 5(황룡사연구총서5), 2010 

  6.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Sacheonwangsa I : the sItes of maIn hall, excavatIon survey report(四天王寺 I : 金堂址 발굴조사보고서), 2012 

  7.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Sacheonwangsa II : the sItes of InsIde corrIdor, excavatIon survey report(四天王寺 II : 回廊內廓 발굴조사보고서), 2013 

  8.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Ity of Gyeong-Ju,, The 1st DeepnIng Research Report on the Hwangnyoungsa temple(황룡사 복원 제1차 심화연구)SerIes of Hwangnyoungsa research 11,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