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림사지 창건시기 재고
Reconsiderat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Jeongnimsaji Temple Site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5 no.4, 2016년, pp.57 - 64  

탁경백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was believed that Jeongnimsa temple was built after the capital was moved from Gongju to Buyeo.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built A.D. $625{\pm}20$ by conducting a paleomagnetic analysis on the fireplace, which was recently found at the bottom of Jungmunji(middle gate). Consequent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글에서는 정림사의 창건연대가 7세기라는 점에 대해 다시 한 번 발굴조사 자료를 가지고 재검토 하여 7세기 창건이 타당한 것인지 재고해 보고자 한다.
  • 그러나 7세기에 정림사가 창건된 것으로 보기에는 대지 조성 방식, 목탑의 존재 여부 가능성을 통해 재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사역 전체가 일시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요 건물부터 순차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가정해보면 특정 시기에 전체적인 건물 배치를 논의하는 점에 대해 재고가 필요한 점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일시적으로 축조된 것이 아니라 상당히 오랜 시간동안 건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원래 오층석탑 자리에 목탑이 있었기 때문에 건립에 긴 기간이 필요했던 것으로 판단되며, 본고에서는 목탑의 존재 여부 가능성을 토층관계를 통해 제시하였다.
  • 이는 기존의 정림사가 백제가 사비로 천도하면서 거의 처음으로 창건 했던 기존의 견해와는 상당부분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정림사 발굴조사 내용의 검토를 통해 제시된 7세기의 창건연대를 재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고지자기 분석은 무엇인가? 고고지자기 분석은 불에 탄 흙(소토)에 포함되어 있는 자성(磁性) 광물의 냉각을 통해 열잔류자화를 획득하여 소토가 될 당시의 시기를 추정해내는 과학적인 조사방법이다. 이러한 자료들이 모여 하나의 고고지자기영년 변화곡선이 만들어지지만, 현재 한국은 시료분석 결과를 서남일본의 고고지자기영년변화곡선에 대입하여 검토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정림사 명칭이 처음 사용된 것은 언제부터인가? ‘정림사’ 사명은 1917년 야쓰이 세이이치(谷井濟一)가 평제탑2) 주변에서 수습한 ‘大平八年武辰定林寺大藏唐草’기와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공식적으로 정림사 명칭이 처음 사용된 것은 후지사와 가이지로(藤澤一夫)가 1942년의 발굴조사 후 1949년 『人文 』잡지에 ‘廢定林寺の硏究’를 내면서부터이고,3) 해방 이후 윤무병은 ‘大平八年武辰定林寺大藏唐草’ 기와 명문에 따라 사지에 대한 명칭을 정림사로 호칭하였다.4) 따라서 대평팔년이 1028년이고, 동 기와가 고려시대의 유물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로 정림사로 불리게 되었다.
고고지자기 분석 자료들을 모아 무엇을 만들 수 있는가? 고고지자기 분석은 불에 탄 흙(소토)에 포함되어 있는 자성(磁性) 광물의 냉각을 통해 열잔류자화를 획득하여 소토가 될 당시의 시기를 추정해내는 과학적인 조사방법이다. 이러한 자료들이 모여 하나의 고고지자기영년 변화곡선이 만들어지지만, 현재 한국은 시료분석 결과를 서남일본의 고고지자기영년변화곡선에 대입하여 검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藤澤一夫, 古代史院の構造に見る韓日の關係, アジア文化, Vol.8, No.2, アジア文化硏究所, 1971 

  2. 尹武炳, 定林寺址發掘調査報告書, 忠南大學校博物館.忠淸南道廳, 1981 

  3. 金正基, 彌勒寺址塔과 定林寺址塔-建立時期의 先後에 관하여-, 考古美術, 164號, 韓國美術史學會, 1984 

  4. 白承忠, 任那復興會議의 전개와 그 성격, 釜大史學, 第17輯, 효원사학회, 1993 

  5. 嚴基杓, 百濟石塔의 先後에 대한 考察, 文化史學, 第16號, 韓國文化史學會, 2001 

  6. 김덕문, 彌勒寺址石塔平面形式의 時代位置, 文化財, 37號, 2004 

  7. 성형미, 한국고고학 편년연구를 위한 고고지자기학의 기본원리 및 적용 , 한국고고학보, 55집, 2005 

  8. 이병호, 扶餘定林寺址出土塑造像의 製作技法과 奉安場所, 美術資料, 第72.73號, 國立中央博物館, 2005 

  9. 국립문화재연구소.부여군, 定林寺역사문화적 가치와 연구현황, 2008 

  10. 김경표.성상모, 왕흥사 목탑의 복원 연구, 건축역사연구, 19권, 3호, 2010 

  11. 박순발, 백제의 도성, 충남대학교출판부, 2010 

  12. 趙源昌, 百濟定林寺址石塔下部軸基部版築土의 性格, 韓國古代史探究, 第5券, 韓國古代史探究學會, 2010 

  13. 탁경백, 백제 사비기 불탑의 조형기술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6-77쪽 

  14.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扶餘定林寺址, 2011 

  15. 정자영, 부여 정림사지 가람배치와 편년적 검토, 韓國上古史學報, 第76號, 2012 

  1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백제사찰연구, 2013 

  17. 국립부여박물관, 부여정림사지(일제강점기 자료조사보고 15집),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