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FP로 제작된 두꺼운 복합재료 스파의 제작 및 구조 해석
Manufacturing and Structural Analysis of Thick Composite Spar Using AFP Machine 원문보기

Composites research = 복합재료, v.28 no.4, 2015년, pp.212 - 218  

김지현 (School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한준수 (Aerospace center, Gyeongnam Technopark) ,  배병환 (Aero-structure Production Engineering Section, Korea Aerospace Industries) ,  최진호 (School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권진회 (School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for Aircraft Parts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AFP 장비를 이용하여 대형 복합재 스파 구조를 제작하고, 스파 구조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인 코너부(Corner radius)에 대한 굽힘강도 시험과 해석을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AFP를 이용한 제품 제작기술이 보편화되지 않은 초기단계임을 고려하여, 복합재 스파 제작을 위한 맨드릴 설계 및 해석에서 구조 검증시험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요약, 정리하였다. 맨드릴 설계에서는 자중과 장비 하중에 의한 처짐, 응력, 열변형, 고유진동수 등을 고려하였다. 대상 시제품은 대형 C-스파이고 AFP로 제작한 후 오토클레이브에서 성형하였다. 제품의 성능 확인을 위해 스파 코너부에서 시편을 채취하여 4점 굽힘시험과 비선형 강도해석을 수행하여 제작된 구조물이 이론적 구조강도에 근접하는 강도를 보이는지 점검하였다. 연구결과, 제안된 공정을 사용하여 제작한 대형 C-스파의 코너부는 최초층 파손이론을 사용한 이론적 강도대비 20% 이내의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향후 양산용 대형 복합재 구조물 제작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arge composite spar was manufactured using an automatic fiber placement (AFP) machine. To verify its structural performance, the weakest part of the structure, which is called 'corner radius', was tested under bending and examin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Since the application of AFP machin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경상대학교와 한국항공, 경남 TP 등에서는 AFP를 이용한 복합재 구조물 개발[4] 연구의 연속사업으로 민항기용 대형 복합재 C-스파를 AFP로 제작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AFP로 대형 스파를 제작하기 위한 맨드릴(Mandrel)의 설계와 제작에서부터, 이를 이용해 제작한 복합재 구조물의 강도평가에 이르기까지의 전체 과정을 정리하였다.
  • 따라서 맨드릴의 변형은 복합재 구조물의 최대 허용공차 이내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맨드릴의 처짐 및 응력 해석은 세가지 하중조건, 즉 자중, 자중과 장비에 의한 집중하중의 조합하중, 자중과 장비에 의한 분포하중의 조합하중에 대해 수행하였다. 맨드릴의 자중은 총 17,000 kg이며, 이를 유한요소의 모든 절점들에 균일하게 가하였다.
  • 따라서 국내의 기업들이 복합재 구조 개발 분야에서 선진국을 따라 잡기 위해서는 AFP를 이용한 제작 기술을 서둘러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경상대학교와 한국항공, 경남 TP 등에서는 AFP를 이용한 복합재 구조물 개발[4] 연구의 연속사업으로 민항기용 대형 복합재 C-스파를 AFP로 제작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AFP로 대형 스파를 제작하기 위한 맨드릴(Mandrel)의 설계와 제작에서부터, 이를 이용해 제작한 복합재 구조물의 강도평가에 이르기까지의 전체 과정을 정리하였다.

가설 설정

  • 총 175,089개의 10 절점 3차원 고체요소를 사용하였고, 절점의 수는 340,867개이다. 맨드릴 양단은 AFP에 의해 지지되며, 원형 지지부를 따라 총 18개의 볼트로 고정되므로 유한요소모델에서의 경계조건은 고정지지(Fixed)로 가정하였다.
  • 오토클레이브 밖 상온은 25°C로 가정하였다.
  • 맨드릴의 자중은 총 17,000 kg이며, 이를 유한요소의 모든 절점들에 균일하게 가하였다. 장비에 의한 집중하중은 AFP의 헤드가 복합재 테이프를 맨드릴에 적층하면서 누르는 힘인데, 본 연구에서는 제작사에서 제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2,940 N으로 가정하였다. 분포하중은 실제 AFP의 헤드가 복합재 테이프를 적층할 때 한 절점에 집중되는 집중하중이 아닌 면적에 가해지는 특징을 고려한 조건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FP장비의 사용이 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복합재료 구조물은 중간재인 프리프레그(Prepreg)를 여러 각도로 적층하여 제작한다. 그런데 프리프레그를 손으로 적층할 경우 원하는 위치에 정확한 각도로 적층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작 과정 중에 오염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1]. 이러한 이유로 인해 최근에는 1 cm 내외의 폭을 가진 복합재 테이프를 다축제어가 가능한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와 각도를 정확히 제어하는 AFP(Automatic Fiber Placement) 장비의 사용이 늘고 있다[2,3].
맨드릴의 처짐 및 응력 해석에 적용된 3가지 하중조건은 무엇인가? 따라서 맨드릴의 변형은 복합재 구조물의 최대 허용공차 이내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맨드릴의 처짐 및 응력 해석은 세가지 하중조건, 즉 자중, 자중과 장비에 의한 집중하중의 조합하중, 자중과 장비에 의한 분포하중의 조합하중에 대해 수행하였다. 맨드릴의 자중은 총 17,000 kg이며, 이를 유한요소의 모든 절점들에 균일하게 가하였다.
AFP 장비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이유로 인해 최근에는 1 cm 내외의 폭을 가진 복합재 테이프를 다축제어가 가능한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와 각도를 정확히 제어하는 AFP(Automatic Fiber Placement) 장비의 사용이 늘고 있다[2,3]. AFP 장비를 사용할 경우 항공기의 동체나 날개의 외피와 같이 두께가 변하면서도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컷아웃(Cutout)이 존재하는 구조물을 정확한 치수로 제작할 수 있고, 제작 과정상의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uklinski, M., "Influence of Void and Layers Number on Mechanical Properties of Hand Lay-up Bended Laminates," Journal of Polish CIMAC, 2011. 

  2. Kim, Y.I. and Choi., S.M., "Application of Composites on Korean Aircraft Program," Composite Research, No. 1, 2003, pp. 68-74. 

  3. Shim, J.Y., Jung, K.W., Lee, H.Y., Lee, S.K., Hwang, G.C., and Ahn, S.M., "KC-100 Full-scale Airframe Static Test,"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ciences, Vol. 42, 2014, pp. 67-75 

  4. Kumar, D., Ko, M.K., Roy, R., Kweon, J.H., Choi, J.H., Jeong, S.K., Jeon, J.W., and Han, J.S., "AFP Mandrel Development for Composite Aircraft Fuselage Skin,"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ciences, Vol. 15, 2014, pp. 32-43. 

  5. Akabarzadeh, A.H., Arian, N.M., and Pasini, D., "The Role of Shear Deformation in Laminated Plates with Curvilinear Fiber Paths and Embedded Defects," Composite Structures, Vol. 118, 2014, pp. 217-218. 

  6. Mack, J., McGregor, O., and Mitschang, P., "Prepreg Lay-up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of Lattice Structure Fuselage Sections," Proceeding of the 16th European Conference on Composite Materials, 2014, pp. 22-26. 

  7. Rob, F., Justin, N., and Todd, R., "Production Implementation of Multiple Machine, High Speed Fiber Placement for Large Structures," 2010 SAE International, Paper No. 2010-01-1877. 

  8. Todd, R., Guy, F., John, N., and Andrew, P., "One Piece AFP Spar Manufacture," 2011 SAE International, Paper No. 2011-01-2592. 

  9. McCallum, S., "The Influence of Preload and Boundary Conditions on Pre-damaged Composite Plates Subject to Soft-body Impact," Material & Design, Vol. 83, 2015, pp. 848-857. 

  10. MSC Nastran 2012 Linear Static Analysis User's Guide, Nov. 2011. 

  11. Narender, K., Rao, A.S.M., Rao, K.G.K., and Krishna, N.G., "Temperature Dependence of Density and Thermal Expansion of Wrought Aluminum Alloys 7041, 7075 and 7095 by Gamma Ray Attenuation Method," Journal of Modern Physics, Vol. 4, 2013, pp. 331-336. 

  12.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ing the Curved Beam Strength of a Fiber-Reinforced Polymer-Matrix Composite, ASTM Standard D6415 / D6415M. 

  13. Ye, L, "Role of Matrix Resin in Delamination Onset and Growth in Composite Laminate," Journal of Composite Science and Technology, Vol. 33, 1988, pp. 257-277. 

  14. Ever, J.B., "Introduction to Composite Materials Design", Second Edition, pp. 233-2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