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접 방사법으로 합성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기계적 특성 향상
Enhancemen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NT Fibers Synthesized by Direct Spinning Method with Various Post-Treatments 원문보기

Composites research = 복합재료, v.28 no.4, 2015년, pp.239 - 243  

김진석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박준범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승민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곽이구 (Department of Carbon Convergence Engineering, Jeonju University) ,  황준연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탄소나노튜브 (CNT) 고유의 특성을 충분히 발현하면서, 섬유화를 통해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 섬유 합성 방법 및 후처리 공정들이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그러나 개별 탄소나노튜브가 다발형태로 집속되어지는 과정 중, 탄소나노튜브 상호간 약한 계면결합력과 전단특성으로 인하여 원하는 섬유 물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Direct Spinning 방법을 통한 탄소나노튜브의 연속적인 합성과 다양한 후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플라즈마 후처리를 통하여 측정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기계적 물성은 본래의 섬유보다 최대 40%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studies regarding the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CNT) have made remarkable progress in CNT fibers research. However no CNT fibers showed the properties of CNTs because CNTs in fibers have weak interfacial bonding with low shear modulus in the pristine form. Thus, it is upmost interest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 고유의 특성을 충분히 발현하면서, 섬유화를 통해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 섬유 합성 방법 및 후처리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조건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기계적 강도 변화와 표면개질에 대해 연구한 결과 플라즈마 처리에 따라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결함이 발생하지만, 플라즈마를 처리할 경우 CNT 섬유의 표면 특성에는 큰 변화시키지 않고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소나노튜브의 특성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우수한 특성은 전기전자, 에너지, 바이오, 우주항공, 스포츠, 국방 등 다양한 산업 전반에서 그 응용이 주목되고 있다[1]. 탄소나노튜브는 1차원 구조로 탄소원자간의 강한 공유결합으로 구성되어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순수한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은 길이가 짧고, 반데르발스 결합 때문에 유기 용매내에서 분산이 어려워 복합소재로써의 응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탄소나노튜브를 섬유 형태로 합성하여 탄소나노튜브 고유의 문제점을 극복한다면 다양한 나노복 합소재에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탄소나노튜브 섬유가 이론적으로 계산된 고유 물성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수천~만개의 탄소나노튜브의 집합체인 탄소나노튜브 섬유는 이론적으로 계산된 탄소나노튜브 고유 물성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섬유상의 집합체로 이루어진 탄소나노튜브간 약한 전단특성과 계면결합력이 좋지 않아 순수 탄소나노튜브 섬유로써 응용이 제한적 이기 때문이다[3].
탄소나노튜브 섬유는 어떤 산업에서 응용이 주목되고 있는가? 탄소나노튜브 섬유는 기존의 탄소섬유보다 초경량, 고강도 뿐만 아니라 고전도성까지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우수한 특성은 전기전자, 에너지, 바이오, 우주항공, 스포츠, 국방 등 다양한 산업 전반에서 그 응용이 주목되고 있다[1]. 탄소나노튜브는 1차원 구조로 탄소원자간의 강한 공유결합으로 구성되어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순수한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은 길이가 짧고, 반데르발스 결합 때문에 유기 용매내에서 분산이 어려워 복합소재로써의 응용이 제한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Lu, W., Zu, M., Byun, J.H., Kim, B.S., and Chou, T.W. "State of the Art of Carbon Nanotube Fiber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dvanced Materials, Vol. 24, No. 14, 2012, pp. 1805-1833. 

  2. Li, Y.L., Kinloch, I.A., and Windle, A.H. "Direct Spinning of Carbon Nanotube Fibers from Chemical Vapor Deposition Synthesis", Science, Vol. 304, No. 5668, 2004, pp. 276-278. 

  3. Filleter, T. and Espinosa, H.D. "Multi-scale Mechanical Improvement Produced in Carbon Nanotube Fibers by Irradiation Cross-linking", Carbon, Vol. 56, 2013, pp. 1-11. 

  4. Vilatela, J.J., and Windle, A.H., "A Multifunctional Yarn Made of Carbon Nanotubes", Journal of Engineered Fibers and Fabrics, Vol. 7, 2012, pp. 23-28. 

  5. Sears, K., Skourtis, C., Atkinson, K., Finn, N., and Humphries, W., "Focused Ion Beam Milling of Carbon Nanotube Yarn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and Strength", Carbon, Vol. 48, No.15, 2010, pp. 4450-4456. 

  6. Liu, K., Sun, Y., Zhou, R., Zhu, H., Wang, J., Liu, L., and Jiang, K., "Carbon Nanotube Yarns with High Tensile Strength Made by a Twisting and Shrinking Method", Nanotechnology, Vol. 21, No. 4, 2010, pp. 045708. 

  7. Babu, D.J., Yadav, S., Heinlein, T., Cherkashinin, G., and Schneider, J.J., "Carbon Dioxide Plasma as a Versatile Medium for Purification and Functionalization of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s",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C, Vol. 118, No. 22, 2014, pp. 12028-12034. 

  8. Wei, H., Wei, Y., Wu, Y., Liu, L., Fan, S., and Jiang, K., "Highstrength Composite Yarns Derived from Oxygen Plasma Modified Super-aligned Carbon Nanotube Arrays", Nano Research, Vol. 6, No. 3, 2013, pp. 208-215. 

  9. Yu, H., Cheng, D., Williams, T.S., Severino, J., De Rosa, I.M., Carlson, L., and Hicks, R.F., "Rapid Oxidative Activation of Carbon Nanotube Yarn and Sheet by a Radio Frequency, Atmospheric Pressure, Helium and Oxygen Plasma", Carbon, Vol. 57, 2013, pp. 11-21. 

  10. Xu, T., Yang, J., Liu, J., and Fu, Q., "Surface Modific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by $O_2$ Plasma", Applied Surface Science, Vol. 253, No. 22, 2007, pp. 8945-8951. 

  11. Gspann, T.S., Smail, F.R., and Windle, A.H., "Spinning of Carbon Nanotube Fibres Using the Floating Catalyst High Temperature Route: Purity Issues and the Critical Role of Sulphur", Faraday Discuss., Vol. 173, 2014, pp. 47-65. 

  12. Zhong, X.H., Li, Y.L., Liu, Feng, Y., Liang, J., and Li, J.Y. "Continuous Multilayered Carbon Nanotube Yarns", Advanced Materials, Vol. 22, No. 6 2010, pp. 692-6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