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도선로용량 부족에 따른 지체발생 연구 - 경부선 서울~금천구청 구간을 대상으로
Arrival Delay Estimation in Bottleneck Section of Gyeongbu Line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8 no.4 = no.89, 2015년, pp.374 - 390  

이장호 (Dept. of Railroad Facility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표적 선로용량 부족구간인 경부선 서울~금천구청 구간을 분석대상으로 열차운행횟수에 따른 열차 지연도착 발생확률을 추정하고, 이를 통해 정시성 개선 편익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코레일의 열차운행자료를 기초로 연도별/월별/시간대별 지체발생수준을 분석하였고, 고속 및 일반열차의 열차운행횟수에 따른 지연발생확률을 선형회귀분석으로 모형화하였다. 분석결과, 해당구간 지연발생확률에 일반열차 운행횟수가 고속열차 운행횟수 보다 1.4~2.8배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정시성 개선 편익의 산정방법론을 제시하였고, 실제 서울~금천구청간 선로용량 확충사업에 대하여 사례분석을 수행한 결과, 연간 42~45억원 규모의 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선로용량 부족구간에 대한 용량확충사업의 편익과 경제적 타당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rains and the probability of trains with arrival delay and suggests way to estimate the benefits of improved punctuality in a bottleneck section of the Gyeongbu Line. The arrival delays of high-speed and conventional trains were estimated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속 및 일반열차의 운행횟수 변화에 따른 정시성 개선 편익을 계량화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추정된 지체발생확률에 평균 지체시간과 통과수요를 곱하고 다시 통행시간 신뢰성 가치를 곱하여 편익을 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전술한 연구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철도 선로용량과 지체간의 관계를 규명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국내 철도망 중 대표적 선로용량 제약구간인 경부선 서울~금천구청간을 대상으로 선로이용률 수준에 따른 지체발생 빈도와 발생수준을 분석하였다. 또한, 열차운행횟수와 지체발생확률에 대한 모형구축결과를 기초로 선로용량 확충에 따른 정시성 개선 편익을 계량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분석결과 혼잡구간에서의 정시성 개선을 위해서는 승객의 승하차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고, 혼잡하지 않은 단선구간은 열차교행의 관리가 중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정시성 개선을 위한 여유시분(slack) 전략의 유용성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 우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철도 선로용량의 결정하는 주요한 변수로 열차구성, 열차운행횟수, 요구되는 정시성 수준 등이 있고, 노선간 합류지점에서 병목구간이 발생하고 이 구간이 전체 노선의 선로용량을 결정짓게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시성을 악화시키고 지체를 발생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열차운행횟수와 열차의 수요규모(승하차인원)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장수은[23]의 연구에서와 같이 열차운영계획 상의 예상 도착시각과 실제 도착시각과의 차이를 지체로 정의하고, 경부선 서울~금천구청간을 대상으로 상행선 열차의 종착역의 지체수준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철도 선로용량 확충사업의 경제적 편익으로 열차운행횟수 증가에 따른 편익 이외에 열차운행횟수 변화에 따른 정시성 개선 편익을 계량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상에서 열차종별 운행횟수에 따른 지체발생확률을 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모형화하였다. 본 절에서는 앞선 모형구축결과를 기초로 정시성 개선 편익의 계량화 방안을 검토한다.
  •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철도의 선로용량 분석, 열차의 지체, 정시성 개선에 따른 편익산정방안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본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제3장에서는 경부선 서울~금천구청간 열차운행자료를 기초로 연도별, 월별, 시간대별 지체발생수준을 살펴본다.
  • 지체의 정의는 장수은[23]의 연구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열차운행계획 상 도착시간과 실제 지연도착시간의 차이로 정의하고, 선로이용률(열차운행횟수)에 따라 지체수준이 달라지는 것을 밝히고, 열차운행횟수 변화에 따라 지체수준을 계량화하여 편익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사업 미시행시 고속철도 열차운행횟수는『수도권 고속철도 건설사업 실시설계 보고서 중 열차운영계획』(한국철도시설공단, 2010)에서 제시한 수치를 적용하였으며, 주말 열차운행횟수는 해당 보고서에 별도로 제시되지 않아 현재의 주중 대비 주말 열차운행횟수 비율의 차이를 반영하여 12% 정도 추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반열차 운행횟수는 현재와 동일하다고 가정하였고, 사업 시행 후 고속 및 일반열차의 운행횟수는 사업 미시행 시와 동일하지만, 고속전용선에는 고속열차만, 기존 경부선에는 일반열차만 운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사업 미시행시 고속철도 열차운행횟수는『수도권 고속철도 건설사업 실시설계 보고서 중 열차운영계획』(한국철도시설공단, 2010)에서 제시한 수치를 적용하였으며, 주말 열차운행횟수는 해당 보고서에 별도로 제시되지 않아 현재의 주중 대비 주말 열차운행횟수 비율의 차이를 반영하여 12% 정도 추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반열차 운행횟수는 현재와 동일하다고 가정하였고, 사업 시행 후 고속 및 일반열차의 운행횟수는 사업 미시행 시와 동일하지만, 고속전용선에는 고속열차만, 기존 경부선에는 일반열차만 운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철도의 선로용량 분석과 관련된 대표적인 연구에서 제시한 것은? 철도의 선로용량 분석과 관련된 대표적인 연구로는 Abril et al.[1]의 연구를 꼽을 수 있는데, 여기서는 철도 선로용량 분석에 있어서 주요한 개념과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우선 선로용량을 이론적 용량(theoretical capacity)과 실용적 용량(practical capacity)로 구분하고, 이론적 용량은 수학적으로 완벽한 조건에서 최소운행시격으로 운행할 수 있는 열차운행횟수로 정의하였다.
경부선 서울∼금천구청 구간에서 운행되는 열차들은? 2004년 경부고속철도 개통 이후 경부선 서울∼금천구청 구간은 고속열차(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화물열차 등 다양한 종류의 많은 열차들이 운행을 하게 되면서 대표적인 선로용량 부족구간이 되고 있다.「2013 철도통계연보」를 보면, 해당구간은 선로용량 171회 중 188회를 운행하고 있다.
서울∼금천구간이 선로용량 부족구간이라 일어나는 문제의 예는? 「2013 철도통계연보」를 보면, 해당구간은 선로용량 171회 중 188회를 운행하고 있다. 또한, 중앙선 청량리~망우구간도 중앙선 열차와 경춘선 열차가 합류하는 구간으로 선로용량 부족으로 인해 경춘선 운행열차 중 준고속열차인 ITX-청춘만 청량리를 경유하여 용산역까지 운행하고, 일반 수도권 전철은 청량리역으로 진행하지 못한 채 경원선 광운대역까지 운행 중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 Abril, F Barber, L. Ingolotti, M.A. Salido, et al. (2008) An assessment of railway capacit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44, pp. 774-806. 

  2. R.L. Burdett, E. Kozan (2006) Techniques for absolute capacity determination in railway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40, pp. 616- 632. 

  3. E.R. Kraft, E (1982) Jam capacity of single track rail lines, Proceedings of Transportation Research Forum, 23(1), pp. 461-472. 

  4. L.G. Mattsson (2007) Railway Capacity and Train Delay Relationships, Critical Infrastructure: Reliability and Vulnerability, Springer Berlin Heidelberg, New York, pp. 129-150. 

  5. A. Landex, A.H. Kaas, B. Schittenhelm, J. Schneider-Tilli (2006) Practical use of the UIC 406 capacity leaflet by including timetable tools in the investigations, Computers in Railway X, pp. 643-652. 

  6. S. Mitra, D. Tolliver, S. Mitra (2010) Estimation of railroad capacity using parametric methods,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Forum, 49(2), pp. 111-126 

  7. S. Harrod (2009) Capacity factors of a mixed speed railway network,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45, pp. 830-841. 

  8. A. H. Kaas (2000) Punctuality model for railways,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s in Railways, Bologna, Italy, pp. 853-860. 

  9. J. Skjaeret (2002) Kapasitetsberegninger, En revisjon, NSB Bane Ingeniørtjenesten, Oslo, Norway, pp. 47-50. 

  10. P. Murali, M. Dessouky, F. Ordonez, K. Palmer (2010) A delay estimation technique for single and double track railroad,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46, pp. 483-495. 

  11. N.O.E. Olsson, H. Haugland (2004) Influencing factors on train punctuality - results from some Norwegian studies, Transport Policy, 11, pp. 387-397. 

  12. W. Heinz (2000) Passagerutbyte I tag. Matningar av av-och pastigningstider samt ansats till modell for att beskriva samband, TRITA IP AR 00-86,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Sweden. 

  13. NEA (2003) BOB Railway Case - Benchmarking Passenger Transport in Railways, NEA Transport Research And Training, Rijswijk, The Netherlands, pp. 37-46. 

  14. Riksrevisionsverket (1986) Tagtrafiken-Punktlighet, Revisionsrapport, Dnr. 1986:1091, Riksrevisionsverket, Stockholm, Sweden. 

  15. N.G. Harris (1992) Planning Passenger Railways: A Handbook, Transport Publishing Co. UK, pp. 130-142. 

  16. Banverket (2001) Tagtrafiken-Punktlighet och forseningar, Forstudie FoU-projekt 2001, Rapport 2001:1, Banverket, Borlange, Sweden. 

  17. S. Gibson, G. Cooper, B. Ball (2002) The evolution of capacity charges on the UK rail network,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36(2), pp. 341-354. 

  18. J. Yuan, I.A. Hansen (2007) Optimizing capacity utilization of stations by estimating knock-on train delay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41, pp. 202-217. 

  19. M. Vromans, R. Dekker, L. Kroon (2006) Reliability and heterogeneity of railway service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72, pp. 647-655. 

  20. P. Rietveld, F.R. Bruinsma, D.J. Van Vuuren (2001) Coping with unreliability in public transportation chains: a case study for Netherlands, Transporation Research Part A, 35, pp. 539-559. 

  21. R. van Loon, P. Rietveld, M. Brons (2011) Travel time reliability impacts on railway passenger demand: a revealed preference analysi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9, pp. 917-925. 

  22. E. Kroes, H. Duchateau, L. Phillipart, M. Kouwenhoven (2006) Benefits of punctuality improvements for the Paris suburban railway network, Technical report, RAND Europe. 

  23. J.S. Chang (2010) Assessing travel time reliability in transport appraisal,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8, pp. 419-425. 

  24. J. Lee, D.S. Moon, S.J. Park (2009) Assessment of railway delay costs, Proceedings of 2009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Jeju, Korea, pp. 2938-29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