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학수사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orensic Science Program on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4 no.3, 2015년, pp.265 - 275  

강아라 (한국교원대학교) ,  이길재 (한국교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orensic science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in gifted elementary-school students. A program that consists of six sessions (18 hours) i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CPS model, which has been already prov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 수업 흐름은 CPS 모형의 단계를 따르며, 수업 내용은 과학수사의 요소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수업의 전략적 측면에서는 과학 탐구기능과 창의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초등 영재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과학수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과학수사의 교육 요소를 활용하여 초등 영재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과학수사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한가? 우리나라는 창의적 인재의 발굴과 양성을 위해 2002년 영재교육 진흥법 시행령을 공포하면서 영재교육이 21세기 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부상했다. 이런 영재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재교육의 목표를 정확하게 설정하고 인식하는 것이 중요 하다. 영재교육에서 창의성이 가장 중요한 주제이며, 영재의 자아를 실현하고 창의적인 개체가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Davis et al.
CPS 모형의 장점과 특징은 무엇인가? CPS(Creative Problem Solving) 모형은 일상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해결책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과정적 요소와 구체적 단계들이 문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첨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며, 각 단계별로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균형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지녔다(Isaksen et al., 1994). 이 모형이 과학 창의성 신장에 효과가 있다는 것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충분히 입증되었다(Kang & Lee, 2001; Ju et al.
CPS 모형은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가? CPS(Creative Problem Solving) 모형은 일상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해결책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과정적 요소와 구체적 단계들이 문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첨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며, 각 단계별로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균형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지녔다(Isaks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 Y. S., Seong, J. S. & Lee, H. J.(2008). Creativity educ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 Choi, S. Y. & Kang, H. K.(2006).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 for the selection of gifted scienc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1), 27-38. 

  3. Colgan, C. (2002). Teaching forensics, then and now. The Education Digest, 68(1), 59-61. 

  4. Davis, G. A., Rimm, S. B. & Siegle, D. (2010).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6th). London: Pearson Education. 

  5. Duncan, K. & Daly-Engel, T. (2006). Using forensic science problems as teaching tools. Science Teacher, 73(8), 38-43. 

  6. Durnal, E. W. (2010). Crime scene investigation (as seen on TV).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199(1-3), 1-5. 

  7. Gowan, J. C. (1978). Creativity and gifted child movement.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2(1), 1-13. 

  8. Han, K. S.(2000). Investigation of domain-specificity and domain-generality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0(2), 47-69. 

  9. Han, K. S. & Marvin, C. (2002). Multiple creativities: investigating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The Gifted Child Quarterly, 46(2), 98-109. 

  10. Hayes, J. R. (1989). Cognitive processes in creativity. In E. P. Torrance, J. A. Glover, R. R. Ronning & C. R. Reynolds (Eds.). Handbook of creativity (pp.135-146). New York: Plenum Press. 

  11. Hickey, I., Murphy, C., Beggs, J. & Carlisle, K. (2005). Murder in the classroom: how primary school children can carry out DNA fingerprinting. Primary Science Review, (90), 6-8. 

  12.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13. Isaksen, S. G., Dorval, K. B. & Treffinger, D. J. (1994). Creative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Iowa: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14. Jeong, M. S., Jung, H. I., Jung, S. Y. & Kim, Y. C. (2013). An integrative analysis of the creativity researches performed during 2001-2012. Korean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9(1), 1-26. 

  15. Ju, H. Y., Dong, H. K., Kim, S. H., Kim, H. B. & Lee, K. J. (2005). A development of developmental biology teaching program based on science history and CPS model. Biology Education, 33(3), 264-276. 

  16. Kang, C. Y. (1991). Gender differences in Korean children's responses to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from first to sixth grad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3, 241-281. 

  17. Kang, C. Y. & Lee, Y. A. (2001).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CPS model as a teaching method of elementary mathematics.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Studies, 8(2), 1-23. 

  18. Kang, S. W. (2004). The effect of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instructional module for scientific creativity improvement on elementary students' creativity and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s concerning weight and pressure in water.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 Kim, M. Y. (2006). Development of history of science-CPS model and its application of heredity teaching program for improvement of the gifted-in scienc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 Kim, S. H. (2004). Develop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cientific creativity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creativit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1. Lee, D. S.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orensics science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improvement of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2. Mardis, M. A. (2006). It's not just 'whodunnit' but how: the "CSI Effect," science learning, and the school library. Knowledge Quest, 35(1), 24-28. 

  23. Moon, C. S.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orensic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for improvement of gifted-in-science.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4. Murphy, C. & Beggs, J. (2003). Children's perceptions of school science. The School Science Review, 84(308), 109-116. 

  25. Park, I. S. (2010).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cience programs enhancing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pplying meta-cognition.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6. Park, I. & Kang, S. (2012).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to measure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2), 210-235. 

  27.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28. Richardson, I. (2005). The baker did it!: How forensic science activities can engage children in developing their science inquiry skills. Primary Science Review, 90, 4-5. 

  29.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3). Creative giftedness: A multivariate investment approach. The Gifted Child Quarterly, 37(1), 7. 

  30. Veermans, M., Lallimo, J. & Hakkarainen, K. (2005). Patterns of guidance in inquiry learning. Journal of Interactive Learning Research, 16(2), 179-194. 

  31. Williams, W. M., Papierno, P. B., Makel, M. C. & Ceci. S. J. (2004). Thinking like a scientist about real-world problems: The cornell institute for research on children science education program.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5, 107-1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