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 산출물 활동이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reative Product Performance on the Scientific Attitude, Scientific Self Efficac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1 no.3, 2018년, pp.193 - 202  

정희진 (경운초등학교) ,  이형철 (부산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창의 산출물 활동이 초등 과학 영재의 과학적 태도,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도에 위치한 G초등학교 과학영재반 학생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본 수업에 앞서 모의 창의 산출물 활동 수업을 진행하였다. 모의 수업 후 창의 산출물 활동 본 수업을 8차시 5주 동안 진행하였으며 사전 사후의 검사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창의 산출물 활동은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창의 산출물 활동은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창의 산출물 활동은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기존 수업 방법과는 달리 학생 주도적 개방형 탐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잦은 실패와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고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하였지만 동료와 함께 주제에 대해 직접 실험을 설계하면서 의견을 나누고 탐구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이 즐겁고 만족스러웠다고 진술하였다. 앞으로 과학영재교육 대상자들을 위해 창의 산출물 활동 수업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서 교육 현장에 널리 보급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eative product performance on scientific attitude, scientific self efficac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science-gifted class of G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검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과학영재 학급 지도교사 2인과 함께 문제의 구성에 대해 논의하고 채점의 과정에서 이견을 합의하는 절차를 거쳤다. 본 검사의 신뢰도(Cronbach's α)는 .
  • 본 연구에서는 창의 산출물 활동이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이 수행하는 창의 산출물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 등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고 또 그러한 활동에 대해 학생들은 어떤 느낌을 받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첫째, 본 연구에서는 창의 산출물 활동이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앞으로 영재 학생의 특성 및 능력 계발을 위해 좀 더 다양한 종속 변인의 영역에서 창의 산출물 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현철 등이 주장한 영재교육에서 다뤄야할 중요한 사항은 무엇인가? 전은선과 이형철(2015)은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이 선호하는 수업 형태의 비교에 대한 연구에서 과학영재는 난이도가 높고 복잡한 사고를 요구하는 수업과 스스로 학습 내용을 정리하고 자기주도적으로 해결방법을 찾는 수업 형태를 선호한다고 하였다. 정현철 등(2004)은 자율연구능력을 계발하는 기회의 제공은 영재교육에서 중요하고 시급한 사항이라고 주장 하였고, 영재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영재교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수업의 형태가 자율연구라고 주장하였다. 이대원 등(2012)은 영재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에 비해 새로운 과제와 실험 및 토론, 프로젝트 학습 등 창의적이고 문제해결력을 키워주는 수업을 선호한다고 하였다.
영재교육기관에서 운영되어 온 자율 탐구 결과를 R&E 형식으로 발표하는 프로그램은 어떤 탐구 방법인가? 그러나 이러한 자유 탐구가 교육과정에 도입되기 전부터 영재교육기관에서는 영재들의 자율적인 탐구의 결과를 R&E(Research and Education) 형식으로 발표하는 등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왔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과학자들이 연구를 발표하는 과학 학회를 벤치마킹한 것으로서, 영재들이 자신의 탐구 결과물을 발표하고 의사소통하는 과정을 통하여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거나 더 발전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볼 수 있는 적절한 탐구 방법으로 볼 수 있다(황선우, 2016). 양일호와 박선옥(2015)은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영재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았을 때 주제를 스스로 찾아 자기 주도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프로젝트 학습이 좋은 과학 영재 수업이라고 했으며, 특히 좋은 수업 활동의 형태는 ‘과학자처럼’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의한 창의 산출물 활동이란 무엇인가? 김숙경 등(2010)은 과학 학습에서의 산출물의 의미를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찾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기 주도적으로 탐구 방법을 설계하여 정보를 수집, 해석하여 결론을 도출한 것을 발표 또는 보고서 형태의 구체적인 결과물로 표현한 것이라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창의 산출물 활동이란 스스로 과학자가 되어 주변의 생활 속에서 겪는 궁금증이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찰, 탐구, 자료 분석 등 모든 해결 과정을 자율적으로 해결하는 자유탐구 형태의 학습 방법을 의미한다. 창의 산출물에 대한 연구로는 황선우(2016)의 초등 과학영재들이 수행한 창의 산출물 특징에 대한 연구, 강정하 등(2014)의 과학 분야 창의적 산물 발현과정에 대한 연구, 이종희와 김기연(2010)의 수학 분야 창의적 산출물 평가 준거에 대한 연구 등 다수가 있으나, 연구자가 과학영재반 학생1)을대상으로 창의적 산출물 활동을 실시했을 때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 변인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정하, 조선희, 김미진(2014). 과학 분야 창의적 산물 발현과정 연구. 영재교육연구, 24(1), 113-147. 

  2. 고용철, 강경희(2014). 과학탐구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중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59, 25-43. 

  3. 교육부(2018). 3-4학년군 과학과 교사용지도서. 비상교육. 

  4. 교육인적자원부(2007). 과학과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김숙경, 정진수, 천재순(2010). 초등학생의 자유 탐구 활동 보고서의 평가 준거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29(1), 69-85. 

  6. 김아영, 박인영(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39(1), 96-123. 

  7.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양일호, 김영신(1998).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특성 추이 분석을 통한 종단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194-203. 

  8. 서진나(2011). 과학영재의 과학학습동기, 과학적 태도 및 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병행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심규철, 소금현, 김현섭, 장남기(2001).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에 대한 흥미 연구1 - 영재와 일반 학생의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22-134. 

  10. 안희정, 이준호, 문두호(2013). 과학교사의 자유탐구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및 과학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2(3), 529-544. 

  11. 양일호, 박선옥(2015). 과학실험수업에 대한 초등 과학영재들의 인식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164-182. 

  12. 윤미경(2013). 중학교 과학 영재의 자기 효능감 원천의 특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윤초희, 정현철(2006). 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관련 변인에 대한 경로 분석: 숙달 목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전략 및 탐구수업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0(2), 321-339. 

  14. 이대원, 고호경, 유미현(2012). 고등학교 영재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학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영재교육연구, 22(1), 23-37. 

  15. 이수진, 배진호, 김은진(2007).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성. 초등과학교육, 25(5), 567-581. 

  16. 이종희, 김기연(2010). 수학 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준거 개발과 적용. 학교수학, 12(3), 301-322. 

  17. 이화정, 권치순(2014).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진로 인식과 사회적 기여의식 수준 비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10-118. 

  18. 전영석, 전민지(2009). 과학 자유탐구를 지도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 한국초등교육, 20(1), 105-115. 

  19. 전은선, 이형철(2015). 수업형태와 수업환경에 대한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의 선호도 비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8(3), 346-354. 

  20. 정우경, 이준기, 오상욱(2011). 중학교 학생들의 자유탐구 활동 중 주제 선정 단계에서 나타난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199-1213. 

  21. 정현절, 조석희, 서혜애, 신명경, 허남영(2004). 영재의 자율연구능력 기초 탐색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2. 진정환, 이석희(2014).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다중지능과 사회적 적응행동과의 관계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24-33. 

  23. 최선영, 강호감(2006). 초등학교 과학영재학급 학생선발을 위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개발. 초등과학교육, 25(1), 27-38. 

  24. 탁민아(2011).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과 과학태도 및 과학학업성취도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센터(2014). 국가영재교육 프로그램기준(안) 개발 초.중학교 과학. CR 2014-73, 한국교육개발원. 

  26.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센터(2015). 대한민국의 영재교육. CRM 2015-148, 한국교육개발원. 

  27. 황선우(2016). 초등 과학영재들이 수행한 창의 산출물의 특징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황현정, 전영석(2009).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유탐구 수행 능력 분석. 초등과학교육, 28(4), 404-414. 

  29. Meador, K. S. (2003). Thinking creatively about science. Gifted Child Today Magazine, 26(1), 25-30. 

  30. Redding, R. E. (1990). Learning preferences and skill patterns among underachieving gifted adolescents. Gifted Child Quarterly, 34(1), 72-75. 

  31.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ation of the defini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Bentura, CA: Bentura County Superintendent of the Schools Offic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