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영재들의 자연선택 개념 형성을 위한 논변활동 효과 분석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Argumentation Program to Conceptualize the Concept of Natural Selection for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4, 2016년, pp.591 - 606  

박철진 (한국교원대학교) ,  차희영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이 자연선택 개념에 대하여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기 위한 논변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했다. 이를 위해 자연선택 핵심 개념을 과잉생산, 제한된 자원, 개체군 안정, 경쟁, 변이, 변이의 유전, 차등적 생존, 개체군 변화, 종 분화의 9가지 개념을 선정하여 각각의 개념을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변경한 선다형 자연선택 검사지와 개방형 검사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투입 전 후 개념 변화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 과학영재 6학년 19명 학생에게 투입하였다. 소집단 논변활동 전 후 논변 글쓰기는 설명의 충분성과 설명의 개념적인 질 범주로 구분하여 채점하였다. 논변 글쓰기 점수 향상이 큰 소집단과 적은 소집단의 시각적 모델 및 담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선다형 자연 선택 검사지에서 19명 학생 모두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개방형 검사지에서도 자연 선택 핵심 개념은 증가하고 대안 개념은 줄어 들어 개발된 논변활동 프로그램은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연선택 개념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알았다. 논변 글쓰기 점수 향상이 큰 소집단에서는 반대 담화 및 엄격한 기준이 활용되어 논변에 대한 평가 및 수정이 이루어져 논변의 질을 향상 시킨 반면 논변 글쓰기 점수 향상이 적은 소집단에서는 반대 담화 비율이 낮고 엄격한 기준 보다 비형식적 기준이 더 많이 활용되었다. 또한 논변 글쓰기 점수 향상이 큰 소집단에서는 자료 분석에 많은 담화가 이루어 졌고 소집단 시각적 모델이 소집단 구성원들에 의해 공동 구성되어 소집단 간 토론에 활용되었고 다른 소집단에 의해 평가 및 수정이 이루어졌다. 반면, 논변 글쓰기 점수 향상이 적은 소집단에서는 특정 소집단 구성원의 시각적 모델이 소집단의 시각적 모델로 선택되었고 모델을 평가하고 선택하는 과정에 대한 담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소집단에서는 소집단 구성원들의 시각적 모델에 대한 이해가 낮았고 소집단 간 토론에 활용이 되지 못하여 평가 및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이 생명 현상에 대해 자연선택 핵심 개념을 활용한 진화적 설명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초등학교 교육과정내 진화적 관점을 반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rgumentation program to build scientific concepts on natural selection for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o know how to implement this program. For this study, nine key concepts about natural selection such as the overproduction of offspring, li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화론은 무엇인가? National Research Council(2011)는 생물학의 근간이 되는 개념 중 하나로 진화론을 선정했다. 진화론은 생명 현상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으로서 생물학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이론이므로 과학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이다(Ha, Cha & Ku, 2010; Dobzhansky, 1973; Rutledge & Warden, 2000). 생물의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변이, 변이의 유전, 경쟁, 과잉 생산, 제한된 환경, 차별적 생존과 번식, 자연 선택, 개체군 변이 등과 같은 개념들이 개인의 인지구조에 논리적으로 결합이 되어야 한다.
생물의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어떤 개념들이 개인의 인지구조에 논리적으로 결합이 되어야하는가? 진화론은 생명 현상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으로서 생물학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이론이므로 과학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이다(Ha, Cha & Ku, 2010; Dobzhansky, 1973; Rutledge & Warden, 2000). 생물의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변이, 변이의 유전, 경쟁, 과잉 생산, 제한된 환경, 차별적 생존과 번식, 자연 선택, 개체군 변이 등과 같은 개념들이 개인의 인지구조에 논리적으로 결합이 되어야 한다. 그래야 학습자들의 인지구조에 선개념으로 형성되어 있는 목적론, 용불용설, 의인화, 개체 내 적응과 같은 비과학적인 진화 개념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Nehm & Ha, 2011).
구성주의 교수가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관련된 경험을 대화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인 이유는? 구성주의 교수의 목적은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관련된 경험과 대화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Driver, Newton & Osborne, 2000). 논변활동이 과학지식의 습득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는 과정을 거쳐 개념을 학습할 수 있으며(Driver, Newton & Osborne, 2000), 설명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지식을 통합하고 연결시켜 내용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Chi et al.,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Anderson, D. L., Fisher, K. M., & Norman, G. J. (200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conceptual inventory of natural sele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10), 952-978. 

  2. Bishop, B. A., & Anderson, C. W. (1990). Student conceptions of natural selection and its role in evolu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 415-427. 

  3. Board on Science Education.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4. Boulter, C. J., & Buckley, B. C. (2000). Constructing a typology of models for science education. In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pp. 41-57). Springer Netherlands. 

  5. Buckley, B. C. (2000). Interactive multimedia and model-based learning in bi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9), 895-935. 

  6. Carey, S. (1985). Conceptual change in childhood. Cambridge, MA: MIT Press. 

  7. Chi, M. T. H., de Leeuw, N., Chiu, M., & Lavancher, C. (1994). Eliciting self-explanations improves understanding. Cognitive Science, 18, 439-477. 

  8. Cho, H., Yang, I., Lee, H., & Song, Y. (2008). An Analysis on the Level of Evidence used in Gifted Elementary Students' Debat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5), 495-505. 

  9. Cho, H. (2013). Epistemic level in middle school students' small-group argumentation using first-hand or second-hand dat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10. Cho, H. (2014). Development and effect of argument-based modeling strategy as teaching method in middle school student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11. Dobzhansky, T. (1973). Nothing in biology makes sense except in the light of evolution.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35(3), 125-129. 

  12.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13. Evans, E. M. (2000). The emergence of beliefs about the origins of species in school-age children. Merrill-Palmer Quarterly, 46, 221-254. 

  14. Ferrari, M., & Chi, M. T. H.(1998). The nature of naive explanations of natural sele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0), 1231-1256. 

  15. Furtak (2012). Linking Progression for Natural Selection to Teachers' Enactment of Formative Assess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 1181-1220 

  16. Gutheil, G., Vera, A., & Keil, F. C. (1998). Do houseflies think? Patterns of induction and biological beliefs in development. Cognition, 66, 33-49. 

  17. Ha, M., & Cha, H. (2006). Analysis of Mis-conceptualizations regarding Evolution Originating from TV Animation and Science Books for Childre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4), 352-362. 

  18. Ha, M., Lee, J., & Cha, H. (2006). A Cross-Sectional Study of Students' Conceptions on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cept Formation about It in Terms of the Subjects: Human, Animals and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7), 813-825. 

  19. Ha, M. (2007). Development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of evolution based on The cross-sectional analysis of evolution concep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 Ha, M., Cha, H., & Ku, S. (2010). A Study of Conceptions, Interest and Acceptance of Evolution, and Religiosity between Biology Majors and Non-majors in Colleges,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38(3), 467-475. 

  21. Hand, B., & Choi, A. (2010). Examining the impact of student use of multiple modal representations in constructing arguments in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class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0(1), 29-44. 

  22. Hubber, P., Tytler, R., & Haslam, F. (2010). Teaching and learning about force with a representational focus: pedagogy and teacher chang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0, 5-28. 

  23. Inagaki, K., & Hatano, G. (2002). Young children's naive thinking about the biological world. Psychology Press : New York. 

  24. Inagaki, K., & Hatano, G. (2006). Young children's conception of the biological world.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5(4), 177-181. 

  25. Jang, W. (2014). Research on the preconceptual type and the cause of conceptual formation of biological adaptation in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6. Jeffery, K. R. (1994) A study of the presence of evolutionary protoconcepts in pre-high school textbook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5), 507-518. 

  27. Jimenez-Aleixandre, M., & Erduran, S. (2008).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An overview. In S. Erduran & M. Jimenez-Aleixandre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pp.3-28). Dordrecht London: Springer. 

  28. Jo, J. (2014).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rspectives about biological meanings of competition and adapta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9. Jung, J., & Kim, H. (2010). Influence of ACESE on high school students' argumentative structure and evolutionary conception. Biology Education. 38(1), 168-183. 

  30. Kuhn, L., & Reiser, B. (2006). Structuring activities to foster argumentative discours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31. Kwon, J., & Cha, H. (2015) Analyzing the effect of argumentation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conceptions of evolu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4), 691-707. 

  32. Lee. G., Kwon. Y., Kim. Y., Baek. S., Shin. D., Yun. Y., Jang. Y., & Cho. M (2013). Life ScienceI. Seoul: Sangsangacademy Co. 

  33. Lee. J., Lee. B., Ku. H., Oh. H., Ryu. H., & Kang. H. (2012). Life Science II. Seoul: Chunjae Education Co. 

  34. Lee. M., Oh. S., & Lee. G. (2005).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oncepts in Evolution Based on Science History.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2), 145-159. 

  35. Mayer, R. E., Bove, W., Bryman, A., Mars, R., & Tapango, L. (1996). When is less more: meaningful learning from visual and verbal summaries of science textbook less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8(1), 64-73. 

  36. Mayr, E. (1997). This is biolog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7. McNeill, K. L., Lizotte, D. J., Krajcik, J., & Marx, R. W. (2006). Supporting students' construction of scientific explanations by fading scaffolds in instructional material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5(2), 153-191. 

  38. Medin, D. L., & Atran, S. (2004). The native mind: Biological categorization and reasoning in development and across cultures. Psychological Review, 111, 960-983. 

  39. Nehm, R. H., Ha, M., Rector, M., Opfer, J., Perrin, L., Ridgway, J., & Mollohan, K. (2010). Scoring guide for the open response instrument (ORI) and evolutionary gain and loss test (EGALT). Technical Report of National Science Foundation REESE Project 0909999. Accessed online 10 Jan 2011 at: http://evolutionassessment.org. 

  40. Nehm, R. H., & Ha, M. (2011). Item feature effects in evolution assess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3), 237-256. 

  41. NRC(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y Press. 

  42. Oh. P., & Lee. J. (2014). Criteria for Evaluating Scientific Models Us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2), 135-146. 

  43.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ience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44. Poling, D. A., & Evans, E. M. (2002). Why do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 Developmental change in the use of multiple explanations: Intention, teleology, essentialism.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 89-112. 

  45. Reece, J. B., Urry, L. A., Cain, M. L., Wasserman, S. A., Minorsky, P. V., & Jackson, R. B. (2012). Campbell Biology, 9th Eds. Pearson Education, Inc. 

  46. Rutledge, M. L., Warden, M. A. (2000). Evolutionary theory, the nature of science & high school biology teachers: critical relationships.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2(1), 23-31. 448-484. 

  47. Sampson, V. & Clark, D. (2008). The Impact of collaboration on the outcome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93(3), 448-484. 

  48. Sampson, V., & Clark, D. (2009). The effect of collaboration on the outcomes of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93(3), 448-484. 

  49. Sampson, V., & Clark, D. (2011). A comparison of the collaborative scientific argumentation practices of two high and two low performing group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1, 63-97. 

  50. Sampson, V., & Grooms, J. (2010). Generate an argument: an instructional Model. Science Teacher, 77(5), 32-37. 

  51. Sampson, V., Grooms, J., & Walker, J. P. (2011). Argument-driven inquiry as a way to help students learn how to participate in scientific argumentation and craft written arguments: An exploratory study. Science Education, 95(2), 217-257. 

  52. Schwarz, C. V., Reiser, B. J., Davis, E. A., Kenyon, L., Acher, A., Fortus, D., Schwarz, Y., Hug, B., & Krajcik, J. (2009). Develop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scientific modeling: Making scientific modeling accessible and meaningful for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632-654. 

  53. Smith, M. U. (2010). Current status of research in teaching and learning evolution: II. padagogical issues. Science & Education, 19(6-8), 539-571. 

  54. Walton, D. M. (1990). What is reasoning? what is an argument?. The Journal of Philosophy, 87, 399-419. 

  55. Yang. I., Kim. H., Park. K., Lim. S., Kim. J., Shin. H., Eum. A., & Baek. S. (2013).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 book 6-1. Seoul: Mira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