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STEAM 수업 시연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Demonstration of STEAM Lesson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4, 2015년, pp.665 - 676  

최숙영 (서울대학교) ,  이재원 (서울대학교) ,  노태희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STEAM 수업 시연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사례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의 예비과학교사 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은 STEAM 교육에 대한 워크숍을 받은 후 STEAM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수업 실행전에 예비교사들이 제작한 모든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업을 관찰하면서 모든 수업 장면을 녹화하였으며, 수업 전후에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고 녹음하였다. 예비교사의 STEAM 수업 시연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PCK와 PDC의 측면에서 중점적으로 분석하였고, 어려움과 교육요구, STEAM 교육에 대한 견해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STEAM 교육의 목표와 특징을 수업에 충분히 반영하려고 노력하였고, 인터넷으로 검색되는 교수-학습 자료나 창의적인 내용을 배치하여 수업 자료를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이 가장 어렵다고 느낀 것은 STEAM 수업의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었다. 또한 자신의 수업에 만족한 1명의 예비교사는 STEAM 교육에 대해 긍정적 생각을 갖고 있는 반면, 나머지 2명의 예비교사는 학교현장에서 STEAM 수업이 적용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현장에서 STEAM 수업이 성공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를 위한 워크숍에서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대상 학년과 그에 맞는 주제, 수업 자료 제작 방법, 수업 실행 시 주의할 점 등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안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워크숍은 예비교사가 구성주의 학습 이론을 접한 후에 진행하고, 워크숍에서 예비교사가 성공적인 STEAM 수업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case study, we analyzed the processes of STEAM lessons conducted by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re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the workshop for STEAM education, they planned and practiced STEAM lessons. All o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DC란? 이러한 맥락에서 교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자료(curriculum material)를 활용하여 교수를 설계하는 능력인 PDC(pedagogical design capacity; Brown, 2002)는 예비교사의 교수활동 분석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PDC는 교사가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여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교수 목표와 관련된 교육과정 자료의 강점과 약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때 사용되는 교육과정 자료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수업지도안, 활동지, 멀티미디어 자료, 실험도구 등으로써, 교사가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나 타 교사에 의해 개발 및 제작된 일련의 자원을 뜻한다.
STEAM 교육은 무엇에 목적을 두고 있는가? STEAM 교육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높이기 위해 과학과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등의 다양한 교과목을 융합하여 접근함으로써 사회적, 과학적 문제들을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단순히 과학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식의 학문 간 융합을 통해 기존 지식을 자연스럽게 활용하는 STEAM 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중요한 교육패러다임이 될 수 있다(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KOFAC], 2012).
PDC를 활용 했을 때 사용되는 교육과정 자료는 무엇이 있는가? PDC는 교사가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여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교수 목표와 관련된 교육과정 자료의 강점과 약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때 사용되는 교육과정 자료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수업지도안, 활동지, 멀티미디어 자료, 실험도구 등으로써, 교사가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나 타 교사에 의해 개발 및 제작된 일련의 자원을 뜻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e, J., Yun, B., & Kim, J. (2013). The effects of science lesson applying STEAM education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557-566. 

  2. Brown, M. (2002). Teaching by design: Understanding the intersection between teacher practice and the design of curricular innovations. (Doctoral dissert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3. Charmaz, K. (2000). Grounded theory: Objectivist and constructivist methods.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pp. 509-535). Thousand Oaks, CA: Sage. 

  4. Gess-Newsome, J.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5. Geum, Y., & Bae, S. (2012).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STEAM educ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37(2), 57-75. 

  6. Han, J., Yoon, J., & Noh, T. (2008). The usefulness of coteaching as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strateg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5(1), 117-136. 

  7. Jonassen, D. H. (1991). Evaluating constructivistic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31(9), 28-33. 

  8. Kagan, D. M. (1992). Professional growth among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2), 129-169. 

  9. Kim, B., & Kim, J. (2013). Development of analysis framework for exploring PCK type in STEAM education.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3(2), 63-85. 

  10. Kim, D., Ko, D., Han, M., & Hong, S. (2014). The effects of science lessons applying STEAM education program on the creativity and interest levels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1), 43-54. 

  11. Koo, E., & Park, Y. (2011). An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faced by new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2), 153-163. 

  12.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2). STEAM education that can be taken in hand (STEAM guidebook). 

  13.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5). Development direction of science curriculum. 

  14. Kwak, Y. (2002). Impacts and task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revealed by preservice teachers/students' intact belief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4), 309-324. 

  15. Lee, J.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IPE model for STEAMbased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16. Lee, J., Park, H., & Kim, J. (2013). Primary teachers' perception analysis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1), 47-59. 

  17. Lee, J., & Shin, Y. (2014).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STEAM clas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3), 588-596. 

  18. Lee, S., Oh, P., Kim, H., Lee, G., Kim, C., & Kim, H. (2009). A review of research perspectives on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1), 27-57. 

  19. Lee, Y., & Lee, H. (2014). The effects of engineering design and scientific inquiry based STEAM education programs on the interest, self-efficacy and career choi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8(3), 513-540. 

  20. Lim, C.-H., & Oh, B.-J. (2015).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STEAM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8(1), 1-11. 

  2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No. 2011-361. 

  22. Noh, H., & Paik, S. (2014). STEAM experienced teachers' perception of STEAM in secondary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0), 375-402. 

  23. Noh, S.-G. (2014). The perception on STEAM program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gifted classes in primary schools. The Journal of Education, 34(3), 45-63. 

  24. Noh, T., Yang, C., Kim, Y., & Kang, H. (2012). A case study on the changes of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co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4), 655-670. 

  25. Oh, H. (2012). An analysis of changes on the science teachers' stages of concern on STEM education and STEM-PCK.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6. Paik, S., Kim, J., Choi, S., Lee, Y., Choi, J., Yang, K., Jeong, K., Choi, J., Lee, S., Jeon, M., & Kim, K. (2012).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of secondary school for STEAM education.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Report No. 2012-27. 

  27. Pajares, M. F. (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3), 307-332. 

  28. Park, J. (2004). A suggestion of cognitive model of scientific creativity (CMSC).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2), 375-386. 

  29. Porter, A. C., Youngs, P., & Odden, A. (2001). Advances in teacher assessments and their uses. In V. Richardson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4th ed.). New York: Longman. 

  30. Sherin, M. G., & Drake, C. (2009). Curriculum strategy framework: Investigating patterns in teachers' use of a reform-bas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1(4), 467-500. 

  31. Shin, D., Kim, J., Kim, R., Lee, J., Lee, H., & Lee, J. (2012).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teacher education program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6(1), 371-398. 

  32. Shin, Y., & Han, S., (2011).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in STEAM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514-523. 

  33. Shin, Y.-J., Han, S., Kim, H., & Ohn, J. (2012).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STEAM education.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Report No. 2012-28. 

  34. Son, Y. (2012).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STEAM education and analysis of science and art STEAM class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iology Education, 40(4), 475-493. 

  35. Yang, C., Bae, Y., & Noh, T. (2013). Analysis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uses of curriculum materials in curriculum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7), 1312-1328. 

  36. Yang, M., Min, B., Son, Y., & Kim, D. (2012). Analyzing the difficulty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 experiences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class: Centered on the application of science class models and inquiry process element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8(2), 143-1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