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통한 만 5세 유아의 수학적 사고 변화 탐구
Exploring the Process of Change in 5-year-olds' Mathematical Thinking through Mathematical Process-focused Instruction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5 no.4, 2015년, pp.581 - 605  

김은영 (명지대학교) ,  정가윤 (명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통한 수학적 사고 변화에 대하여 관찰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와 현장 관찰을 통한 상황분석을 실시하여 구성한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서울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12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문제해결하기, 추론과 증명하기, 연계하기, 표상하기, 의사소통하기의 다섯 가지 수학적 과정이 교사-유아, 유아-유아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체화되어 유아의 수학적 사고를 자극하고 변화를 창출하였다. 또한 수학적 지식이 내재되고 통합된 문제 상황을 교사가 제시하고 수학적 과정에 중점을 두어 유아들이 또래와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면서 수학적 과정과 수학적 태도에 변화가 일어났다. 즉 유아의 수학적 사고는 수학적 지식이 내재된 수학적 과정을 통해 수학적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과정 안에서 통합되어 증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n instruction method focused on the mathematical process and apply it to 12, 5-year-olds from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with a view to explore the changes in their mathematical thinking. In addition, surveys with parents and teachers, as well as those con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교수학습법에서는 수학적 사고 증진을 위해 유아가 일상생활 속의 여러 상황에 따라 문제 해결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학적 지식을 수학적 과정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환경을 교사가 제공하여 유아의 정신적 조작(minds-on)을 향상시키고, 유아에게 의미 있고 깊이 있게 수학적 관계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수학적 경험의 기회를 주고자 하였다. 수학적 사고의 증진을 위한 교사의 발문은 모든 수학적 과정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졌고, 수학적 사고 증진을 위해 교사는 그림책의 맥락과 연결된 수학적 지식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해 유아들에게 제시한 교수매체와 문제상황은 표 1과 같다.
  • 또한 현장에서 수학을 가볍게 다루거나 유아교육 프로그램에서 너무 많은 주제를 다루고 있어서 수학교육이 피상적으로 되지 않도록 유아들이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수학 활동에 참여하기 위한 여건을 마련하고 교사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도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기본 교육과정으로 수학교육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교사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현장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학적 사고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구성하여 만 5세 유아의 수학적 사고 변화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 수학적 과정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은 교사가 유아의 행동과 맥락을 관찰하고 발문을 한 결과로 유아가 주어진 문제 상황을 인식하여 객관적인 준거에 대해 소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유아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또래와 협력적으로 실행하면서 수학적 사고가 증진될 수 있도록 교사가 그림책과 같은 교수 매체를 제공하였다. 또한 그림책의 맥락과 연계된 ‘어떻게’라는 개방적 문제와 인지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발문을 활용하였다.
  • 여기에 그림책의 내용에서 나온 순서 짓기만을 답습하는데서 끝나지 않도록 추가적인 문제를 통해 유아가 그림책에서 나온 순서의 흐름뿐만 아니라 앞에서 배운 내용, 또한 일상생활의 사물들을 가지고 유아 나름의 기준으로 순서 짓기를 하는 확장 활동으로 연결하였다. 또한 이 활동을 소집단 활동으로 제시하여 유아-유아 간 의사소통하며 서로 다른 기준으로 순서를 짓는다는 것이 무엇인지 토의하고 생각해 보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활동이었다.
  • 즉 유아교육 현장의 기본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수학교육 활동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수학적 사고 증진을 목적으로 하여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통해 변화를 이끌고자 한다. 또한 현장에서 수학을 가볍게 다루거나 유아교육 프로그램에서 너무 많은 주제를 다루고 있어서 수학교육이 피상적으로 되지 않도록 유아들이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수학 활동에 참여하기 위한 여건을 마련하고 교사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도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기본 교육과정으로 수학교육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교사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현장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학적 사고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구성하여 만 5세 유아의 수학적 사고 변화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당면한 유아 수학교육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유아 수학교육 현장의 개선을 위해 시의적절하며 그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즉 유아교육 현장의 기본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수학교육 활동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수학적 사고 증진을 목적으로 하여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통해 변화를 이끌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 당면한 수학교육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수학습법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그 변화 과정을 질적 분석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수학적 사고 증진을 목적으로 한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은 유아교육현장의 수학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수학습법과 운영 방안에 대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유아 교사들이 수학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의 기본 교육과정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학활동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유아의 수학적 사고 증진을 위해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구성하여 그 변화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수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육현장의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유아 교사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현장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여 유아의 수학적 사고 변화를 이끌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학교육에 대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유아의 수학적 사고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기초 작업인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수집을 위해 현장 관찰을 하였다. 즉 설문 조사와 현장 관찰을 통해 상황 분석을 하여 연구의 필요성과 시사점을 도출하여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의 최종안을 구성하였다.
  • 수학적으로 추론을 하고 증명을 하는 것은 수학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과정으로 이를 통해 새로운 수학적 발견이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추론과 증명하기 기술을 강조하기 위해 다양한 구체물을 통한 활동들을 도입하였다. 수학적 내용과 기술적 맥락에 적합한 구체물로서의 그림책 선정 또한 그 외의 다양한 구체물 제공이 유아의 추론과 증명하기 기술을 강화해 주었다.
  • 유아들이 구체물을 통한 활동에서 추론과 증명하기 기술을 발휘한 예시로서 10차시에서 12차시에 걸쳐 활동으로 이루어졌던 ‘함께 세어보아요’라는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활동을 소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의 기본 교육과정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학활동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유아의 수학적 사고 증진을 위해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구성하여 그 변화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수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육현장의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유아 교사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현장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여 유아의 수학적 사고 변화를 이끌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당면한 유아 수학교육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유아 수학교육 현장의 개선을 위해 시의적절하며 그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즉 유아교육 현장의 기본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수학교육 활동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수학적 사고 증진을 목적으로 하여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통해 변화를 이끌고자 한다. 또한 현장에서 수학을 가볍게 다루거나 유아교육 프로그램에서 너무 많은 주제를 다루고 있어서 수학교육이 피상적으로 되지 않도록 유아들이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수학 활동에 참여하기 위한 여건을 마련하고 교사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도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적 사고는 무엇인가? 국가 경쟁력으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수학적 힘, 즉 수학적 사고(mathematical thinking)는 어떤 문제 상황에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능의 원동력으로, 수학적 사고를 이끌어내려면 수학적 태도가 그 바탕이 된다(片桐 重男, 2013). 즉 수학적 사고는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수학적 지식을 주어진 문제 상황과 서로 관련지을 수 있으며,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수학적 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이끌어 내는 사고를 말한다. 이러한 수학적 힘은 유아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문제를 수학적 사고에 따라 해결해 본 수학적 경험에 의해 도출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방향 정립과 질적 내실화가 필요하다.
수정 보완된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은 어떤 교수법을 기반으로 하는 교수학습법인가? 수정 보완된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은 문제 해결하기 기술, 추론과 증명하기 기술 연계하기 기술, 표상하기 기술, 의사소통하기 기술이라는 다섯 가지 구성 요소의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교수학습법을 의미한다. 이는 인지적으로 안내된 교수법(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 CGI)을 기반으로 하여 교사는 동일한 그림책을 활용하여 2차 또는 3차에 걸쳐 연계할 수 있는 문제 상황과 문제 구성 상황을 제시하고, 유아들은 협력적 의사소통을 통해 추론과 증명하고, 연계하는 과정과 자신의 전략을 표상하는 과정 거쳐 문제를 해결하는 교수학습법이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제공되는 수학 교수활동은 무엇이 부족한가? 유아교육현장에서 제공되는 수학 교수활동은 통합적인 경험 형태로 다양하고 폭넓게 다루기는 하지만, 그 활동 과정에서 수학적 의사소통과 탐색 등으로 촉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수학적으로 깊이가 부족하다(홍혜경, 2004). 이제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놀이나 활동중심의 수학교육으로부터 유아의 수학적 사고 증진을 위한 도전적인 수학경험의 제공이 필요하다는 인식 전환의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홍혜경,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 권유선, 최혜진 (2010).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 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63-84. 

  3. 김경희 (2007). 사회적 구성주의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수학적 과정,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측정영역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4. 김선영, 최혜진 (2011). 수학적 추론 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221-247. 

  5. 김소향 (2004). 수학 게임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지식,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에 대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6. 김연옥, 이영환 (2004). 구성주의 유아과학프로그램이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14(2), 19-47. 

  7. 김영명, 안소영, 서영숙 (2011).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고양: 공동체. 

  8. 류혜숙 (2003).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9. 문병환 (2013).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0. 백경미, 정정희, 정주희 (2009). 대수적 사고 증진 수학활동이 유아의 대수적 사고 능력 및 수학적 과정 기술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1-22. 

  11. 이지현, 김정주 (2012).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수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논문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3), 47-67. 

  12. 전순환 (2010).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 성취, 수학적 과정 기술,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13. 조용환 (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14. 홍혜경 (2004). 유아 수학능력 발달과 교육. 서울: 양서원. 

  15. 홍혜경 (2009). 수학동화를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에서의 수학적 담화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175-203. 

  16. 홍혜경 (2010). 영유아수학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14(4), 29-51. 

  17. 홍혜경 (2011). 수학동화책의 반복적 읽기방법이 유아의 수학화 과정과 수학태도 및 수학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3), 5-29. 

  18. 황정숙 (1996). 유아 수학교육의 효과적 지도: 구체물 조작에 의한 활동중심과 학습지에 의한 교사중심 교수방법의 비교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9. 片桐 重男 (2013). 수학적인 생각의 구체화와 지도- 수학의 진정한 학력 향상을 지향하여 [이용률, 정동권 역]. 서울: 경문사. (원전출간년도: 2004). 

  20. Carpenter, T. P., Franke, M. L., & Levi, L. (2003). Thinking mathematically: Integrating arithmetic & algebra in elementary school. Portsmouth, NH: Heinemann. 

  21. Charlesworth, R., & Lind, K. K. (2003). Math and science for young children (4th ed.). Clifton Park, NY: Delma Learning. 

  22. Empson, S. S., & Levi, L. (2011). Extending children's mathematics: Fractions and decimals, innovations in 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 Portsmouth, NH: Heinemann. 

  23. Spradley, J. P. (1988). 문화 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이희봉 역].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원전출간년도: 1980). 

  24. Ward, C. S. (1993). Developmental versus academic mathematics education: Effects on problem-solving performance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 kindergarten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Peabody College for Teachers of Vanderbilt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