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29 인체 대장암 세포에서 검정콩 된장의 in vitro 항암 효과
Anticancer Effects of Black Soybean Doenjang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9, 2015년, pp.1270 - 1278  

박의성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재양 ((주)인산가)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료 된장의 pH, 아미노태, 암모니아태 수치는 각 군 간 특별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검정콩 된장이 가장 높은 폴리페놀 농도,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된장 추출물은 0.1~0.5 mg/mL 범위까지는 RAW 264.7 cells의 증식을 억제하지 않았으며, HT-29를 이용한 MTT에서 BD 군이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율을 보였다. HT-29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alpha}$, IL-6와 염증관련 인자 COX-2의 mRNA 발현은 시료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BD군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p21, p53과 cyclin D1의 mRNA 발현은 p21과 p53가 BD군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cyclin D1은 BD군에서 낮아졌다. Apoptosis 관련 유전자인 Bcl-2는 BD군이 가장 낮은 발현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BD군은 CD, SD군에 비해 높은 폴리페놀 농도, 항산화 효과, 대장암세포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s과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유전자 등을 조절한다. 이 결과는 아마도 서목태 된장의 높은 총 페놀화합물의 양과 안토시아닌의 함량으로 얻어진 결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vitro anticancer effects of black soybean doenjang o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were studied. SD (soybean doenjang prepared with nine-time baked bamboo salt) and BD (black soybean doenjang prepared with nine-time baked bamboo salt) were compared with CD (commercial doenjang). There were no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만들어진 cDNA를 주형으로 이용하여 TNF-α, IL-6, iNOS, COX-2, p21, p53, cyclin D1, Bcl-2 유전자를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방법으로 특정 유전자 부위를 증폭하였다. Internal control은 housekeeping 유전자인 GAPDH(glyceral 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를 이용하여 이들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고, 각 유전자의 primer sequence는 Table 1에 표기하였다. PCR은 automatic Bioneer thermocycler(Bioneer, Daejeon, Korea)로 증폭시키고, 증폭된 DNA 산물들을 2% agaros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하고 ethidium bromide(EtBr, Sigma-Aldrich Co.
  • Pratt과 Birac(21)의 실험을 변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된장을 동결 건조시킨 후 건조된 된장 시료를 파쇄하여 가루로 만든 뒤 시료에 20배(w/v)의 메탄올을 혼합하여 24시간 교반을 한 번 실행한 뒤 여과하고, 10배(w/v)의 메탄올을 혼합하여 24시간 교반을 한 번 더 실행한 뒤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 RT-PCR을 이용한 TNF-α, IL-6, COX-2의 mRNA 발현 분석: TNF-α, IL-6와 COX-2의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Fig. 4).
  • RT-PCR을 이용한 TNF-α, IL-6, iNOS, COX-2, p21, p53, cyclin D1, Bcl-2의 mRNA 발현 분석: HT-29 인체 대장암세포를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하여 6 well plate 에 well당 1.5×106 cells/mL로 분주하고 된장 추출물을 배지에 일정 농도를 희석하여 암세포에 처리한 후 상층액을 모아 원심분리기(1,200 rpm, 3 min, 4°C)로 세포와 배지를 분리하였다.
  • pH는 SevenEasy pH meter(8603, Mettler-Toledo AG, Schwerzenbach,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증류수로 10배 희석한 된장 시료를 사용해 실온에서 측정하였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 측정을 위해 10배 희석한 된장 시료 5 mL에 중성 formalin 용액 5 mL를 가한 후, 0.
  • 각각의 된장은 콩을 세척하고 불린 후 가마솥에서 장작불로 삶고 나서 분쇄하여 일정한 크기의 육면체 모양(3kg, 10×15×20 cm)의 메주를 제조한 후 볏짚을 깔아둔 선반에 진열하여 메주를 띄웠다(40°C).
  • Pratt과 Birac(21)의 실험을 변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된장을 동결 건조시킨 후 건조된 된장 시료를 파쇄하여 가루로 만든 뒤 시료에 20배(w/v)의 메탄올을 혼합하여 24시간 교반을 한 번 실행한 뒤 여과하고, 10배(w/v)의 메탄올을 혼합하여 24시간 교반을 한 번 더 실행한 뒤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추출액을 회전식 진공농축기(EYELA, Tokyo Rikakikai Co.
  • 만들어진 cDNA를 주형으로 이용하여 TNF-α, IL-6, iNOS, COX-2, p21, p53, cyclin D1, Bcl-2 유전자를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방법으로 특정 유전자 부위를 증폭하였다.
  • 각각의 된장은 콩을 세척하고 불린 후 가마솥에서 장작불로 삶고 나서 분쇄하여 일정한 크기의 육면체 모양(3kg, 10×15×20 cm)의 메주를 제조한 후 볏짚을 깔아둔 선반에 진열하여 메주를 띄웠다(40°C). 메주 성형 후 60일이 지난 뒤 햇빛에 말리고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9회 죽염(Insanga, Hamyang, Korea)을 첨가한 20%의 소금물에 1:2(메주 : 소금물)의 비율로 항아리에 담았다. 4개월 후 간장과 된장을 분리하고 분리된 된장은 따로 항아리에 담아 1년간 발효시켰다.
  • 메탄올로 용해 희석한 150 μM DPPH(1,1-diphenyl-2- picrylhydrazyl) 용액 100 μL를 농도별로 준비된 시료 100μL에 가하여 96-well plate에 혼합해 3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뒤, UV-VIS spectrophotometer(Jasco)로 53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Louis, MO, USA) 2 mL를 가한 후 30분 동안 실온(20~25°C)에서 방치하여 반응을 시켰다. 반응 후 UV-VIS spectrophotometer(Jas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로 gallic acid를 사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시료 L당 mg gallic acid equivalent(GAE)로 나타내었다.
  • 본 실험은 검정콩된장과 노란콩된장, 일반 된장을 이용하여 pH, 암모니아태 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 및 항산화 효과, RAW 264.7 cells에서 된장 추출물의 독성 확인, HT29 인체 대장암세포를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RT-PCR을 이용해 대장암의 inflammation 관련 유전인자 TNF-α, IL-6, iNOS, COX-2와 대장암세포의 cell cycle에 영향을 주는 유전인자인 p21, p53, cyclin D1과 apoptosis와 관련된 유전인자 Bcl-2의 발현 정도도 살펴보았다.
  • 분리된 RNA를 정량한 후 Oligo dT primer(Invitrogen Co.)와 AMV reverse transcriptase를 이용하여 2 μg의 RNA를 reverse transcription(역 전사) 하여 sscDNA로 만들었다.
  • 샘플은 세포를 배양했던 조건에서 4시간 동안 incubator에서 배양한 다음, DMSO를 100 μL 첨가하였다.

대상 데이터

  • MTT assay: 한국세포주은행에서 HT-29 인체 대장암 세포를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암세포 배양을 위해 RPMI 1640 medium(GIBCO)에 100 unit/mL의 penicillinstreptomycin, 10%의 FBS가 함유된 배지를 사용하여 37°C, 5% CO2 incubator(Model 3154, Forma Scientific Inc.
  • 4개월 후 간장과 된장을 분리하고 분리된 된장은 따로 항아리에 담아 1년간 발효시켰다. 메주를 이용하여 전통식으로 제조 후 1년을 발효하고 정제염이 첨가된 일반(노란콩)된장(commercial doenjang, CD)은 농협마트(Hamyang, Korea)에서 구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인산가(Hamyang, Korea)에서 메주를 이용하여 전통식으로 제조 후 1년을 발효하고 9회 죽염이 첨가된 노란콩(대원콩)된장(soybean doenjang, SD)과 검정콩(서리태)된장(black soybean doenjang, BD)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된장은 콩을 세척하고 불린 후 가마솥에서 장작불로 삶고 나서 분쇄하여 일정한 크기의 육면체 모양(3kg, 10×15×20 cm)의 메주를 제조한 후 볏짚을 깔아둔 선반에 진열하여 메주를 띄웠다(40°C).
  • 세포 배양을 위해 DMEM medium(GIBCO, Grand Island, NY, USA)에 100 unit/mL의 penicillin-streptomycin, 10%의 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배지를 사용하여 37°C, 5% CO2 incubator(Model 3154, Forma Scientific Inc., Marietta, OH, USA)에서 배양하였다.
  • 이화학적 실험에 사용된 된장은 동결 건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는데 시료를 -80°C, vacuum gauge 10(Sanwon Freezing Engineering Co., Busan, Korea)의 조건에서 일주일간 동결 건조한 다음 파쇄하여 가루로 만든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 된장을 동결 건조시킨 후 건조된 된장 시료를 파쇄하여 가루로 만든 뒤 시료에 20배(w/v)의 메탄올을 혼합하여 24시간 교반을 한 번 실행한 뒤 여과하고, 10배(w/v)의 메탄올을 혼합하여 24시간 교반을 한 번 더 실행한 뒤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추출액을 회전식 진공농축기(EYELA, Tokyo Rikakikai Co., Tokyo, Japan)로 농축해 추출물을 얻었으며, 이들을 dimethylsulfoxide(DMSO, Kanto Chemical Co., Tokyo, Japan)에 용해하여 적당한 농도로 희석한 후 각 실험에 사용하였다.
  • 한국세포주은행(Seoul, Korea)에서 RAW 264.7 세포를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세포 배양을 위해 DMEM medium(GIBCO, Grand Island, NY, USA)에 100 unit/mL의 penicillin-streptomycin, 10%의 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배지를 사용하여 37°C, 5% CO2 incubator(Model 3154, Forma Scientific Inc.

데이터처리

  •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b) above the ba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n the same concentration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c) above the ba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n the same concentration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대조군과 각 시료로부터 얻은 실험 결과들의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분산분석(ANOVA)을 행한 후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평균(mean)±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표시하였다.

이론/모형

  • 5×106 cells/mL로 분주하고 된장 추출물을 배지에 일정 농도를 희석하여 암세포에 처리한 후 상층액을 모아 원심분리기(1,200 rpm, 3 min, 4°C)로 세포와 배지를 분리하였다. 6 well plate에 부착된 세포는 Trizol reagent(Invitrogen Co., Carlsbad, CA,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정량한 후 Oligo dT primer(Invitrogen Co.
  • 각각 된장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Dewanto 등(20)의 방법에 따라 Folin-Ciocalteu reagent가 시료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에 의해 환원된 결과 몰리브덴 청색으로 발색하는 것을 원리로 측정하였다. 동결 건조된 각각의 된장을 1.
  •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10배 희석한 된장 시료를 이용하여 AM-505-Kit(Asan Parmaceuticals, Hwaseong, Korea)에 의한 Indophenol법으로 측정하였다(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검정콩 서리태 된장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일반 노란콩 및 대원콩 된장보다 높게 측정되는 이유는? 4 mg/L를 나타내었다. BD군이 CD군과 SD군보다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검정콩 종피의 총 페놀화합물 양이 노란콩 종피의 총 페놀화합물 양보다 많아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16). 또한 이러한 총 페놀화합물의 양으로 인해 각 된장마다 다른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검정콩 중 흑태의 특징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먹는 검정콩 중 흑태는 검은콩 가운데서도 크기가 크고 콩밥이나 콩자반 등에 사용되며 서리태는 껍질이 검은색이지만 속이 파랗다고 하여 속청이라고 불린다. 서목태는 다른 검은콩보다 크기가 작아 마치 쥐 눈처럼 보인다고 하여 쥐눈이콩이라고 부른다(11).
노란콩보다 검정콩 종피에 더 많이 함유된 anthocyanin의 효과는? 검정콩은 일반콩과 비교하여 노화방지 성분이 4배나 많으며(13),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4). 검정콩이 일반적인 노란콩과 다른 점 중 하나는 종피에 anthocyanin이 함유되어 있는 것인데, anthocyanin은 수용성 플라보노이드 색소로 항산화 효과 등의 생리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5), 검정콩 종피에는 노란콩보다 많은 anthocyanin을 함유하고 있어 높은 항산화(16) 및 항암(17)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Kwak EJ, Park WS, Lim SI. 2003. Color and quality properties of doenjang added with citric acid and phytic acid.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55-460. 

  2. Kim MH, Im SS, Yoo YB, Kim GE, Lee JH. 1994. Antioxidative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 4. Separ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J Korean Soc Food Nutr 23: 792-798. 

  3. Kim MJ, Rhee HS. 1990. Studies on the changes of taste compounds during soy paste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6: 1-8. 

  4. Jeong JK. 2012. Improvement of quality and probiotic effect of meju and doenjang prepared with mixed starter cultures.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141-151. 

  5. Shim JH, Park ES, Kim IS, Park KY. 2015.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effects of doenjang prepared with bamboo salt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524-531. 

  6. Jeong JK, Chang HK, Park KY. 2012. Inhibitory effects of meju prepared with mixed starter cultures on azoxymethane and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on carcinogenesis in mice. J Carcinog 11: 13. 

  7. Coward L, Barnes NC, Setchell KDR, Barnes S. 1993. Genistein, daidzein, and their β-glycoside conjugates: antitumor isoflavones in soybean foods from American and Asian diets. J Agric Food Chem 41: 1961-1967. 

  8. Hamalainen M, Nieminen R, Vuorela P, Heinonen M, Moilanen E. 2007.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lavonoids: genistein, kaempferol, quercetin, and daidzein inhibit STAT-1 and NF- ${\kappa}B$ activations, whereas flavone, isorhamnetin, naringenin, and pelargonidin inhibit only NF- ${\kappa}B$ activation along with their inhibitory effect on iNOS expression and NO production in activated macrophages. Mediators Inflamm 2007:45673. 

  9. Ungar Y, Osundahunsi OF, Shimoni E. 2003. Thermal stability of genistein and daidzein and its effect on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1: 4394-4399. 

  10. Guo JM, Xiao BX, Liu DH, Grant M, Zhang S, Lai YF, Guo YB, Liu Q. 2004. Biphasic effect of daidzein on cell growth of human colon cancer cells. Food Chem Toxicol 42: 1641-1646. 

  11. Lim SY, Park KY, Bae MS, Kim KH. 2009. Effect of doenjang with black soybean on cytokine production and inhibition of tumor metastasis. J Life Sci 19: 264-270. 

  12. Son JH, Choung MG, Choi HJ, Jang UB, Son GM, Byun MW, Choi C. 2001. Physiological effect of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64-768. 

  13. Liao HF, Cou CJ, Wu SH, Khoo KH, Chen CF, Wang SY. 200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ctive compound from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 and its effect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leukemic U937 cells. Anticancer Drugs 12: 841-846. 

  14. Kwon SH, Ahn IS, Kim SO, Kong CS, Chung HY, Do MS, Park KY. 2007. Anti-obesity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black soybean anthocyanins. J Med Food 10: 552-556. 

  15. Khan HMS, Akhtar NAVEED. 2012.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anthocyanin. Asian J Chem 24:2829-2830. 

  16. Zilic S, Akıllıoglu HG, Serpen A, Peric V, Gokmen V. 2013. Comparisons of phenolic compounds, isoflavones, antioxidant capacity and oxidative enzymes in yellow and black soybeans seed coat and dehulled bean. Eur Food Res Technol 237: 409-418. 

  17. Hangen L, Bennink MR. 2002. Consumption of black soybeans and navy beans (Phaseolus vulgaris) reduced azoxymethane-induced colon cancer in rats. Nutr Cancer 44: 60-65. 

  18. Park SK, Seo KI, Shon MY, Moon JS, Lee YH.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me-made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Korean J Soc Food Sci 16: 121-127. 

  19.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 25-30. 

  20.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21. Pratt DE, Birac PM. 1979. Source of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s and soy products. J Food Sci 44: 1720-1722. 

  2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3. Park KT, Kim MY, Chun S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wet noodles with pomegranate cortex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5: 128-136. 

  24. Kim HL, Lee TS, Noh BS, Park JS. 1999. Characteristics of the stored samjangs with different doenjangs. J Korean Food Sci Technol 31: 36-44. 

  25. Kim YS, Kim JY, Choi H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rice soybean paste. Korean J Food Preserv 18: 853-858. 

  26. Cho KM, Hong SY, Math RK, Lee JH, Kambiranda DM, Kim JM, Islam SMA, Yun MG, Cho JJ, WJ Lim WJ, Yun HD. 2009. Biotransformation of phenolics (isoflavones, flavanols and phenolic acids) during the fermentation of cheonggukjang by Bacillus pumilus HY1. Food Chem 114:413-419. 

  27. Hong Y, Park S, Yoon BY, Choi BD, Choi YJ. 2011. Screen of functional activity of polysaccharide and glycosaminoglycan from sea hare (Aplysia kurodai) by cell l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4-19. 

  28. Yoon HH, Kim IC, Chang HC. 2012.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Doenjang, prepared with various solar salts, on cancer cells. Korean J Food Preserv 19: 278-286. 

  29. Zhao X. 2011.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amboo salt and Rubus coreanus Miquel bamboo salt.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65-75. 

  30. Prasad S, Phromnoi K, Yadav VR, Chaturvedi MM, Aggarwal BB. 2010. Targeting inflammatory pathways by flavonoid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Planta Med 76: 1044-1063. 

  31. Watanabe K, Kawamori T, Nakatsugi S, Wakabayashi K. 2000. COX-2 and iNOS, good targets for chemoprevention of colon cancer. Biofactors 12: 129-133. 

  32. Cosme R, Lublin D, Takafuji V, Lynch K, Roche JK. 2000. Prostanoids in human colonic mucosa: effects of inflammation on PGE2 receptor expression. Hum Immunol 61: 684-696. 

  33. Kim KB, Lee EG, Choi OH, Song CH, Jeong JM. 2007. Inhibitory effects of phyto-extract mixture (PEM381) on type I allergic rea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55-162. 

  34. Kim JM, Kim JS, Yoo H, Choung MG, Sung MK. 2008. Effects of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 seed coats and its anthocyanidins on colonic inflammation and cell proliferation in vitro and in vivo. J Agric Food Chem 56: 8427-8433. 

  35. Pietenpol JA, Stewart ZA. 2002. Cell cycle checkpoint signaling: cell cycle arrest versus apoptosis. Toxicology 181-182: 475-481. 

  36. Shim JH. 2015. The colon cancer preventive effect of bamboo- salt doenjang in C57BL/6J mice.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68-70. 

  37. Lazze MC, Savio M, Pizzala R, Cazzalini O, Perucca P, Scovassi AI, Stivala LA, Bianchi L. 2004. Anthocyanins induce cell cycle perturbations and apoptosis in different human cell lines. Carcinogenesis 25: 1427-1433. 

  38. Wang LS, Stoner GD. 2008. Anthocyanins and their role in cancer prevention. Cancer Lett 269: 281-290. 

  39. Park DH, Lee ST, Jun DY, Lee JY, Woo MH, Kim KY, Seo MC, Ko JY, Woo KS, Jung TW, Kwak DY, Nam MH, Kim YH. 2014. Comparative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their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selected miscellaneous cereal grains. J Life Sci 24: 26-38. 

  40. Shin DY, Lee WS, Lu JN, Kang MH, Ryu CH, Kim GY, Kang HS, Shin SC, Choi YH. 2009.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HCT-116 cells by anthocyanins through suppression of Akt and activation of p38-MAPK. Inter J Oncol 35: 1499-15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