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수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전통 된장의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Made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alt Solu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0, 2015년, pp.1525 - 1530  

변명우 (우송대학교 외식조리영양학부) ,  남탄공 (우송대학교 외식조리영양학부) ,  이규희 (우송대학교 조리과학연구센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통 된장이 최근 혈전용해능력, 피부병, 혈관질환 예방, 면역강화, 항산화 효과, 항암 효과 등의 우수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지만 식염 함량이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염 된장 제조를 목적으로 염수 농도를 13, 14, 15, 16, 17, 18%로 하여 전통 된장을 제조한 후 수분 함량, 식염 함량, 아미노태 질소 함량, pH 및 적정산도, 환원당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관능평가 묘사분석을 통해 농도별 특성의 강도와 기호도를 측정하였다. 소금물 농도를 달리하여 된장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염수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분 함량과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소금 함량과 환원당 함량은 염수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처리구별 된장의 pH 값은 염수의 농도가 낮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적정산도 값은 염수의 농도가 낮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소금물 농도를 달리하여 된장을 제조하였을 때 정량묘사분석 결과 된장은 18%가 가장 높은 짠맛을 냈는데 15%, 16%, 17% 처리구가 18%와 짠맛에서 유의적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기호도 평가로 보면 된장은 17%와 18%가 유의적으로 가장 많이 선호되었다. 결론적으로 전통 된장은 된장 숙성 시작 3개월 후까지 결과를 측정한 바로는 물리화학적 특성이나 관능특성 강도 측면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는 농도는 16% 이상의 염수로 된장을 제조하였을 때로 16%의 염수를 이용하여 전통 된장을 제조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호도 평가 결과와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oenjang made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alt solution such as 13, 14, 15, 16, 17, and 18% for making low-salt Doenjang.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made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alt solu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salt contents of Doenjang made with var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um과 Han(10)은 숙성과정 중의 된장의 pH 감소 및 산도의 증가는 미생물 대사작용으로 생성되는 유기산의 축적에서 기인된 결과라고 보고하였고, Lee와 Mok(17)은 식염 농도가 낮을 경우 젖산균의 증식과 효모에 의해 생성된 알코올이 초산으로 산화되어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여 본 실험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는 염도를 낮추어 된장을 제조할 수 있는 염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었다. 따라서 산도가 낮아 신맛을 소비자들이 느낀다면 제품으로서 가치가 하락할 수 있어 적정산도 값이 높지 않은 값을 비교하였다.
  • 따라서 전통 된장만의 독특한 특성을 갖는 저염 전통 된장의 개발은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식염의 농도를 일반적으로 제조하는 최종 된장의 12% 식염의 농도보다 낮게 전통 된장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여 전통 된장 제조 시 식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가설 설정

  • 2)Means with the same letter at same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Park SK, Seo KI, Shon MY, Moon JS, Lee YH.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me-made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Korean J Soc Food Sci 16: 121-127. 

  2. Eum BW, Kwak BY, Kim SY, Shon DH, Lee KH. 2003. Enhancement of chitooligosaccharides in doenjang (soybean paste) and kanjang (soy sauce) using Bacillus subtilis koji and Rhizopus oryzae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91-296. 

  3. Mok C, Song K, Lee JY, Park YS, Lim SB. 2005.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enzyme activity of low salt soybean paste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Food Eng Prog 9: 112-117. 

  4. Cao XH, Katoh H. 1993. On the quality of soy sauce made by Chinese method of low salt-solid fermentation - Evaluation by analytical data -. J Brew Soc Japan 88: 811-817. 

  5. Yamamoto Y, Higashi K, Yoshi H. 1984.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on food spoilage bacteria. Part II. Studies on growth inhibition of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for low salt food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1: 531-535. 

  6. Shim KH, Seo KI, Kang KS, Moon JS, Kim HC. 1995. Antimicrobial substances of distilled components from mustard seed. J Korean Soc Food Nutr 24: 948-955. 

  7. Kim JS, Choi SH, Lee SD, Lee GH, Oh MJ. 1999. Quality changes of sterilized soybean paste during its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69-1075. 

  8. Chae SK, Kang GS, Ma SJ, Bang KY, Oh MH, Oh SH. 2000. Standard food analytics.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21-222. 

  9. Chae SK, Kang GS, Ma SJ, Bang KY, Oh MH, Oh SH. 2000. Standard food analytics.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p 460-463. 

  10. Kum JS, Han O. 1997.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and doenjang prepared with extrudated wheat flour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601-605. 

  11. Ju HK, Ro SK, Im MH. 1982. Studies on the fermentation of soy sauce by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4: 276-284. 

  12. Stone H, Sidel JL. 1993. Sensory evaluation. 2nd ed.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p 202-242. 

  13. Byun MW, Nam TG, Chun MS, Lee GH. 2014.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made by traditional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543-1548. 

  14. Meilgaard M, Civille GV, Carr BT. 1987.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161-170. 

  15. Park JS, Lee MY, Lee TS. 1995. Compositions of sugars and fatty acids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J Korean Soc Food Nutr 24: 917-924. 

  16. Kang JE, Choi HS, Choi HS, Park SY, Song J, Choi JH, Yeo SH, Jung ST. 2013.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deonjang certified for traditional food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4: 537-542. 

  17. Lee JY, Mok C. 2010. Change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w salt soybean paste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Food Eng Prog 14: 153-158. 

  18. Cho KM, Kang JR, Kim GM, Kang MJ, Hwang CE, Jeong YS, Kim JH, Lee CK, Shin J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salted garlic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21: 627-635. 

  19. Lee S, Kim DH. 2012.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w-salt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592-599. 

  20. Ogasawara M, Yamada Y, Egi M. 2006. Taste enhancer from the long-term ripening of miso (soybean paste). Food Chem 99: 736-741. 

  21. Baardseth P, Blom H, Skrede G, Mydland LT, Skrede A, Slinde E. 2006. Lactic acid fermentation reduces acrylamide formation and other Maillard reactions in french fries. J Food Sci 71: C28-C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