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만·어항개발사업의 해역이용협의서 작성실태 평가 및 개선방안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Documentation Status on the Statements for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according to the Project of Ports and Fishery Harbors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1 no.4 = no.69, 2015년, pp.361 - 371  

탁대호 (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오현택 (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김귀영 (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이대인 (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3년간의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에 따른 해역이용협의서 91건을 분석하여 그 작성실태(평가항목별 조사현황과 영향예측 등)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요약 제시하였다. 9개 평가항목 중에서 해양화학, 해양퇴적물 및 해양생태계 부분에서는 현장조사 비율이 높았으나(70 % 이상), 조사자료를 활용한 영향예측은 미흡하였다. 반면, 해양물리의 경우는 현황조사 비율은 낮았지만(조석 7.7 %, 조류 24.2 %), 영향예측 수행비율은 높아 예측결과를 뒷받침할 만한 근거와 검증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조사와 예측에 대한 평가가 연관성이 낮아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었다.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에 있어 영향예측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주요 외력(조석, 조류 및 파랑 등) 및 중점평가사항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이 필요하나, 현재는 사업유형을 고려하지 않는 일반적인 평가방법과 자료인용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향후 사업규모와 지역특성 등을 고려한 중점평가항목과 구체적 평가사항(조사시기, 정점선정)을 사전에 스코핑해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현장조사자료의 신뢰성 강화를 위해 해양화학 및 해양퇴적물의 분석에 관한 정도관리체계의 적용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91 cases of the statements for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projects of ports and fishery harbors for 2012 2014 and the status of the record of document,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way to go. The marine environmental timpact assess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은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에 따른 합리적인 평가방향과 유형별 평가지침 정립을 위한 목적으로, 현재 제시되고 있는 해역이용협의서를 분석하여 현장조사 및 영향예측 등에 관한 작성실태를 파악하고, 노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최근 3년간(2012-2014년) 해역이용영향검토기관인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에서 검토된 항만 및 어항개발관련 일반해역이용협의서 91건을 대상으로 9가지 평가항목에 대해서 현황조사 및 영향예측기법 등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평가단계에서 중점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 등을 진단하였다. 부유생태계, 저서생태계, 어류 및 수산자원에 대한 평가항목들은 검토건수에 대해 조사현황 및 생태지수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비율이 동일해서 해양생태계로 통합하여 내용을 파악하였다.
  • 본 평가항목은 구조물 설치 등으로 인해 폐쇄성 수역이 형성되거나, 사업완료 후 발생되는 점오염원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예측하고 저감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한 측면이다. 주요 평가내용은 ① 작업공정별 발생 오염원 분석, ② 사업시행에 따른 해양화학적 환경요소의 변화 관계, ③ 수치모형실험을 통한 해양수질 예측 및 분석결과에 따른 대책, ④ 해양환경기준과의 적합 여부 등이다(MOF, 200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경우 항만 및 어항을 어떻게 구분하는가? 우리나라의 경우 항만 및 어항은 「항만법」 및 「어촌ㆍ어항법」에 의해 관리되며, 무역항(International trade port), 연안항(Coastal port), 국가어항(State-owned fishery harbor), 지방어항(Local fishery harbor), 어촌정주어항(Fishery harbor located in a fishing village) 등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그 수는 무역항 31개, 연안항 29개, 국가어항 109개, 지방어항 285개, 어촌정주어항 595개로 총 1,049개의 항이 분포해 있다(MOF, 2014b). 주요 기능은 선박의 안전한 입출항 및 화물의 안전한 하역과 악 기상 시 피항의 역할 제공이다.
해역이용협의제도란 무엇인가? 해역이용협의제도는 해양공간에서의 개발사업과 이용행위에 대한 사전 예방적 환경관리를 위한 정책수단으로 「해양환경관리법」에 의해 시행되는 제도이며(MOF, 2014a), 크게 해역이용협의와 해역이용영향평가로 구분되고 있다. 해역이용협의 대상은 일정규모 이상의 공유수면을 점용ㆍ사용 및 매립 등이며, 평가방향은 해양환경영향 및 계획의 적정성이다.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대상인 9가지 평가항목은 무엇인가? 해양환경영향적 측면에서 해역이용협의서의 작성은 9가지 평가항목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평가항목에는 해양물리, 해양화학, 해양지형ㆍ지질, 해양퇴적물, 부유생태계, 저서생태계, 어류 및 수산자원, 경관 및 위락 그리고 보호종 및 보호구역 등이 있으며, 이를 사업유형에 따라 평가자가 선정하여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즉, 평가자는 해당 개발사업에 대해서 9가지 평가항목을 일괄적으로 모두 평가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사업 특성에 맞게 평가항목 및 방법 등을 선정하고 그 사유를 협의서에 제시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D. K. and J. W. Lee(2002), Finite Element Analysis of Flow and Water Quality in the New Harbor site,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port Research, Vol. 26, No. 1, pp. 137-145. 

  2. DROFA(2014), Donghae regional oceans & fisheries administration, A document of consultation on utilization of sea area of donghae phase 3 construction, pp. 168-182. 

  3. Eom, K. H., D. I. Lee, G. Y Kim and S. S. Yoon(2013), Assessment of Documentation Status of the Statement on the Sea Area Utilization according to Artificial Structure Installation in Public Water, Jou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2, No. 3, pp. 265-276. 

  4. ESFMS(2012), East sea fisheries management service, A document of consultation on utilization of sea area of cheonseong port construction, pp. 57-301. 

  5. IPA(2012), Incheon Port Authority, A document of consultation on utilization of sea area of incheo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docks and construction, pp. 171-176. 

  6. Jeong, J. H., D. J. Han, B. H. Shon and J. S. Yoon(1997),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article Tracking Model for Predicting Water Quality in the Sea Area, J.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 Society, Vol. 6, No. 3, pp. 239-247. 

  7. Joo, Y. H., J. H. Maeng and K. W. Cho(2007),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Water-Friendly Space in port and Harbour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16, No. 2, p. 2, pp. 177-186. 

  8. KHOA(2014),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Long period analysis and forecast of sea water level change and sea water temperature, pp. 1-28. 

  9. Kim, I. S., J. H. Park, S. W. Han, E. Y. Lee, H. S. Kim and E. J. Lee(2007), A Study on Application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 to Environment-Friendly the Harbour Pl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16, No. 2, pp. 107-120. 

  10. Kim, I. C., G. Y. Kim, K. A. Jeon, K. H. Eom, D. I. Lee, Y. T. Kim and H. J. Kim(2013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time Environment & Safety, Vol. 19, No. 2, pp. 111-118. 

  11. Kim, J. K. and T. S. Kang(2002), Long-term Monthly Variations of Tide in Pusan Harbour,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16, No. 2, pp. 6-9. 

  12. Kim, Y. T., G. Y. Kim, K. A. Jeon, D. I. Lee, J. Yu, H. J. Kim, I. C. Kim and K. H. Eom(2013b), Improvements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Seawater and Sediment Qualities for Coastal Dredging Project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9, No. 2, pp. 119-128. 

  13. Lee, D. I., K. H. Eom, K. Y. Kwon, G. Y. Kim, S. S. Yoon and J. H. Jang(2008), Analysis of Coastal Area Utilization by Consultation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lated-System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17, No. 2, pp. 97-103. 

  14. Lee, D. I., G. Y. Kim, K. H. Eom and J. H. Moon(2011), The Policy Review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tional Fishing Harbours and Designated Ports in East Coast of Kore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4, No. 4, pp. 213-223. 

  15. MLTM(201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Guidelines for practitioners on the system of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s, p. 115. 

  16. MLTM(2013),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Operation of the Appraisal Authority to Assess Environmental Impact on the Sea Area Utilization in Year 2012, pp. 21-34. 

  17. MOF(2008),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egulations regarding the sea area utilization conference. 

  18. MOF(2014a),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19. MOF(2014b),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Oceans and Fisheries statistics, p. 138, p. 141, p. 377. 

  20. Park, B. S., C. R. Ryu and J. H. Kim(1998), Seawater Exchange by the particle Tracking Model in a Basin, Bulletin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ol. 34, No. 4, pp. 410-4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