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예측변인과 종단적 변화 :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 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The Predictive Factor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Longitudinal Trajectories : With a Focuse on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yles and Toddlers' Peer Interruptive Behavior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6 no.4, 2015년, pp.209 - 227  

이희정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maternal parenting stress trajectories, using data gathered from the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Four factors-monthly income, maternal depression levels, infants' negative emotionality, marital conflict-which were taken from reports made by the mothers' used in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사용된 또래 방해행동 척도를 포함하는 또래 놀이행동 척도를 사용한 Fantuzzo, Mendez와 Tighe(1998)는 미국 저소득층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요인은 또래 방해행동이었으며, 이는 공격성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Choi와 Shin(2011)이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를 대상으로 담당 교사가 평정한 결과, 또래 방해행동 척도는 우리나라에도 사용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또래 방해행동은 학령기 또래 괴롭힘과 같은 공격 행동과 관련되는 것으로 사료되므로, 다른 문제행동 중 이후 사회성 발달에 있어서 집단생활 유지에 있어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제행동 중 또래 방해행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이상과 같은 선행연구들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는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가, 그리고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를 예측하는 변인이 무엇이며, 이같은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 모형은 양육 행동과 유아의 또래 방해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고, 그러한 변화를 예측하는 요소들이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더 나아가 또래 방해행동에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자녀를 가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 궤적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종단적 변화 궤적을 예측하는 변인들이 3세 유아의 어머니 양육 행동과 4세 유아의 또래 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고, 보육정책을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이상과 같은 선행연구들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는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가, 그리고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를 예측하는 변인이 무엇이며, 이같은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 모형은 양육 행동과 유아의 또래 방해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고, 그러한 변화를 예측하는 요소들이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더 나아가 또래 방해행동에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와 연구모형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란? 일반적으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란, 부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로, 가족발달의 과정 중 나타나게 되는 스트레스를 말한다(Mulsow, et al., 2002).
양육 스트레스를 연구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 왜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와 예측변인을 연구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 Deater-Deckard(1998)는 양육 스트레스는 어머니 자신의 정서적 상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고, 실제 양육 행동 뿐 아니라, 유아기 이후의 또래 방해행동을 포함한 문제행동을 예측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최근 한국의 어머니들은 사회문화적으로 자녀교육에 대한 몰입이 더욱 강화되고 있으며, 자녀의 세속적 실패는 전적으로 부모 책임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Park, 2014).
우리나라에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줄어들기 어려운 이유는? 왜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와 예측변인을 연구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 Deater-Deckard(1998)는 양육 스트레스는 어머니 자신의 정서적 상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고, 실제 양육 행동 뿐 아니라, 유아기 이후의 또래 방해행동을 포함한 문제행동을 예측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최근 한국의 어머니들은 사회문화적으로 자녀교육에 대한 몰입이 더욱 강화되고 있으며, 자녀의 세속적 실패는 전적으로 부모 책임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Park, 2014). 또한 자녀의 교육비 지출은 지난 10년간 크게 줄지 않고 있으며, 가구소득이 증가하면 교육투자는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여성의 성역할에 대한 규범은 매우 모순적인데, 여성의 취업을 인정하면서도 전통적 여성상이나 여성의 자녀양육 역할은 계속 주장되고 있다(Park,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bidin, R. R. (1990a).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e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0, 298-301. 

  2. Abidin, R. R. (1990b). The stresses of parenting [Special issu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 297-400. 

  3.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4. Abidin, R. R. (1995). Parenting Stress Index Professional Manual, 3r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5. Anthony, L. G., Anthony, B. J., Glanville, D. N., Naiman, D. Q., Waanders, C., & Shaffer, S.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s in the classroom.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 133-154. 

  6. Baek, S. (2015). The analysis of financial contribution issues relating to childcare policy from a gender perspective: Focusing on the free childcare services. Feminism Research, 15(1), 299-334. 

  7.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8. Belsky, J., Bakermans-Kranenburg, M. J., & Van IJzendoorn, M. H. (2007). For better and for wors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environmental influence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 300-304. 

  9. Brock, & Lawrence, E. (2008).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stress spillover in marriage: Does spouse support adequacy buffer the effect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1), 11-20. 

  10. Brody, G. H., Chen, Y., Kogan, S. M., Murry, V. M., Logan, P., & Luo, Z. (2008). Linking perceived discrimination to longitudinal changes in African American mothers' parenting practic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0(2), 319-331. 

  11. Cardoso, J. B., Padilla, Y. C., & Sampson, M. (2010). Racial and ethnic variation in the predictor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36, 429-444. 

  12. Chang, Y. F., & Fine, M. A. (2007). Modeling parenting stress trajectories among low-income young mothers across the child's second and third years: Factors accounting for stability and change.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1(4), 584-594. 

  13. Choi, J., & Pyun, H. (2014). Nonresident fathers' financial support, informal instrumental support, mothers'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 in single-mother families with low income. Journal of Family Issues, 35(4), 526-546. 

  14. Choi, H. Y., & Shin, H. Y. (2011). Validation of the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for Korean young children with a special focus 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2(2), 35-52. 

  15. Choi, H., Yeon, E. M., Jin, K. S., & Hong, Y. J. (2013). Perception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 care, value of childr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ress.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7(2), 21-45. 

  16. Conger, R. D., & Donnellan, M. B. (2007). An interactionist perspective on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human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8, 175-199. 

  17. Cook, G. A., Roggman, L. A., & D'zatko, K. (2012). A person-oriented approach to understanding dimensions of parenting in low-income moth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7, 582-595. 

  18. Crnic, K., & Booth, C. L. (1991).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daily hassles of parenting across early child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 1042-1050. 

  19. Crnic, K. A., Gaze, C., & Hoffman, C. (2005).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 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u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 117-132. 

  20. Curran, P. J., & Hussong, A. M. (2003). The use of latent trajectory models in psychopathology research.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2(4), 526-544. 

  21. Deater-Deckard, K. (1998). Parenting stress and child adjustment: Some old hypotheses and new question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5, 314-332. 

  22. Emmen, R. A., Malsa, M., Mesman, J., van IJzendoorn, M. H., Prevoo, M. J., & Yenial, N. (2013). Socioeconomic status and parenting ethnic families: Testing a minority family stress model.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7(6), 896-904. 

  23. Eom, S. (2014). The effect of infant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The mediating effects of paternal parenting involvement.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87, 29-49. 

  24. Errazuriz Arellano, P. A., Harvey, E. A., & Thakar, D. A. (2012).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parenting practices. Family Relations, 61(2), 271-282. 

  25. Fantuzzo, J. W., Mendez, J., & Tighe, E. (1998). Parental assessment of peer play: Development and valisation of the parent version of the Penn Interactive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4), 659-676. 

  26. Fantuzzo, J., Sutton-Smith, B., Coolahan, K. C., Manz, P. H., Canning, S., & Debnam, D. (1995).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s in young low-income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1), 105-120. 

  27. Han, J., Cho, Y., & Kim, J. (2014). Effects of preschool children's gender, temperament,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overt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3(4), 599-611. 

  28. Kim, H. (2014). Outcome and tasks of child protection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46, 239-266. 

  29. Kim, Y., & Jang, Y. A. (2013).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on preschool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on Korea and China.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3(24), 99-118. 

  30. Kim, N., Kang, M., Park, K., Jeon, B., & Kang, M. (2014). Korea Women Manager Panel. Seoul: Korean Women Development Institute. 

  31. Kim, D., Kim, Y., & Chung, J. (2013). Work family conflict and health impact among Korean Women in Dual earner families focused on working hours. Seoul: Korean Women Development Institute. 

  32. Kim, N., Kim, J., Lee, T., & Kang, M. (2013). Korea Women Manager Panel. Seoul: Korean Women Development Institute. 

  33. Kim, H., & Ryu, S. (2015).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child's behavior problem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yl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9(2), 193-209. 

  34.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2). Scales profil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09 (Wave II). Retrieved August 2, 2014, http://panel,kicce.re.kr/kor/publication/01_02.jsp. 

  35. Kouros, C. D., Merrilees, C. E., & Cummings, E. M. (2008).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emotional security in the context of parental depress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0(3), 684-697. 

  36. Krishnakumar, A., & Buehler, C. (2000). Interparen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s: A meta-analytic review. Family Relations, 49, 25-44. 

  37. Lee, H. (2014a). A study of longitudinal changes and the variables predict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Soonchunhyang Journal of Humanities, 33(2), 87-115. 

  38. Lee, H. (2014b). A longitudinal changes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in low-income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46, 115-141. 

  39. Lee, H. M., Park, S. Y., & Seo, S. J. (2008).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yle and sensitivity on infant development.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6(2), 97-111. 

  40. Lee, I. H., Park, J. E., & Choi, S. Y. (2010).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Infants. Journal of Child Education, 19(4), 81-91. 

  41. Lipscomb, S. T., Leve, L. D., Harold, G. T., Neiderhiser, J. M., Shaw, D. S., Ge, X., & Reiss, D. (2011). Trajectories of parenting and child negative emotionality during infancy and toddlerhood: A longitudinal analysis. Child Development, 82(5), 1661-1675. 

  42. McCartney, K., Burchinal, Clarke-Stewart, A., Bub, K., Owen, M. T., Belsky, J., & the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10). Testing a series of causal propositions relating time in child care to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46(1), 1-17. 

  43. Min, H., & Moon, Y. (2013). Relationship among mot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maternal parenting stress,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1), 43-56. 

  44. Mulsow, M., Caldera, Y. M., Pursley, M., & Reifman, A. (2002).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tres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 944-956. 

  45. Rhoades, K. A., Leve, L. D., Harold, G. T., Neiderhiser, J. M., Shaw, D. S., & Reiss, D. (2011). Longitudinal pathways from marital hostility to child anger during toddlerhood: Genetic susceptibility and indirect effects via harsh parenting.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5(2), 282-291. 

  46. Park, J. S. (2014). A Study of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of Childbirth and Childrearing.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47. Park, M. S., & Kim, J. (2013). A Causal Study of Parenting Efficacy based on the effect of Parental Resources and Parenting Stress in Low income family.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Quarterly, 17(1), 179-198. 

  48. Suh, J., & Kim, J. (2012). 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infancy maternal parenting stres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73, 101-121. 

  49. Williford, A. P., Calkins, S. D., & Keane, S. P. (2007). Predicting changes in parenting stress across early childhood: Child and maternal factor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5, 251-26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