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력밴드와 단축발 운동이 중등도 이하 무지외반증환자의 발가락 휨 각도와 족저압,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s of Elastic-Band and Short Foot Exercise on Plantar Foot Pressure, Toe Angle and Balance for Patients with Low to Moderate Hallux Valgu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3 no.3, 2015년, pp.73 - 88  

이형수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은주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박인서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배민식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신재원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지운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장요윤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조호진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최근옥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최하림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장선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ther the empirical evidence regarding exercise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surgery for treating patients with low to moderate hallux valgus. Method: A total of 20 students with low to moderate hallux valgu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six week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측정 결과로는 정적 균형능력의 항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족저압의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기존에 있는 연구들은 무지외반증 환자에게 운동을 시켰을 때 각도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으나, 본 연구는 각도의 변화보다는 탄력밴드와 단축발 운동을 통해 족저압은 낮추고 균형 능력은 향상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그러나 위의 결과로 보아 중등도 이하의 무지외반증 환자에게 탄력밴드와 단축발 운동을 적용했을 때 족저압을 변화시키기에는 큰 효과가 없었다고 판단된다.
  • 이와 같이 무지외반증에 대한 다양한 치료 방법들이 중재법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운동치료를 통한 족저압과 신체 균형의 변화와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발의 내측 아치와 발목 안정화에 관여하는 근육과 인대의 운동과 무지에 직접적으로 신장과 근력을 함께하는 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족저압과 신체 균형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탄력밴드와 내재근 강화 운동을 적용하여 나타나는 발의 각도와 족저압, 균형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무지외반증의 다양한 원인 중 앞정강근, 뒤정강근, 긴종아리근, 셋째종아리근 등의 외재근과 엄지발가락 벌림근과 같은 내재근의 이완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관련 근육들을 직접적으로 강화하기 위하여 발 강화 운동을 실시하였다. 다리의 근력의 약화가 발과 다리의 구조적 변화를 불러 일으켜 발바닥활의 저하를 불러일으킴으로 다리의 근력을 강화시킨다면 발바닥 활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이동수 등, 1996; 정명균, 2007; 이상용, 2002).
  •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 사후 설계로서 실험에 동의한 무지외반증 환자 성인 1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탄력밴드 운동과 단축발 운동을 병행하여 실시하였을 때 족저압과 신체 균형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Foot-print를 통해 선발된 대상자들은 실험 참여 동의서를 작성한 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고 각 집단의 신체 기능 및 일상생활 정도를 0주, 6주에 걸쳐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foot-print를 사용하여 첫 번째 발허리뼈와 무지의 각도가 15° 이상인 남, 녀 20명을 선발하였으나 개인사정으로 인한 중도포기 3명을 제외한 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탄력밴드와 내재근 강화 운동을 적용하여 나타나는 발의 각도와 족저압, 균형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무지외반증의 다양한 원인 중 앞정강근, 뒤정강근, 긴종아리근, 셋째종아리근 등의 외재근과 엄지발가락 벌림근과 같은 내재근의 이완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관련 근육들을 직접적으로 강화하기 위하여 발 강화 운동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탄력밴드와 단축발 운동이 중등도 이하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휨 각도와 족저압,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 결과로는 정적 균형능력의 항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족저압의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본 예에서도 수술 전에 보존적 치료를 실시하였으나 호전되지 않았으며 계속적인 동통을 호소하였다. 수술적 치료는 보존적 치료에 효과가 없을 경우 주로 동통을 제거시킬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 테이핑요법 또한 무지외반증의 각도 및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전미양 등, 2004). 이와 같이 무지외반증에 대한 다양한 방법들이 중재방법으로 나와 있으나 이 연구는 운동치료를 통한 무지외반증의 예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 최근 ‘삶의 질’이라는 개념이 사회에 등장하면서 인간은 여러 방면에서 행복을 추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지외반증의 내적 요인은 무엇인가? 무지외반증의 외적 요인은 굽이 높고 폭이 좁은 하이힐과 같은 서양식 신발을 신게 되면서 증가하였는데(Lee, 2000), Tanaka 등(1999)은 발허리발가락관절이 신발 또는 체중부하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적인 힘들을 견디지 못하여 무지외반증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내적 요인으로는 경사진 첫 번째 발허리뼈-쐐기뼈 관절(Mann과 Coughlin, 1981), 뒤정강근, 앞정강근, 종아리근, 셋째 종아리근 등의 외재근과 무지외전근 같은 내재근(Connor와 Hamil, 2004), 발바닥근막 등의 구조물 이완이 있으며(David, 2008) 발 안쪽세로활이 소실되어 발생하며 유연성 편평발이 동반될 수 있다(Inman, 1974; Shaw, 1974). 또한 유전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Geissele과 Stanton, 1990) 양쪽 발 모두에서 주로 발생한다고 하였다(Helal, 1981).
무지외반증의 발생은? 발의 구조 중 안쪽발바닥활은 보행하거나 달릴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첫 번째 발허리뼈 먼쪽 및 중간 부분은 신체의 움직임 시 스프링과 같이 체중을 지탱하여 균형을 유지해 주는데(Donatelli, 1996), 이 문제를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질환이 무지외반증이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의 가쪽 휨과 첫 번째 발허리뼈의 안쪽 휨이 있으면서, 첫 번째 발허리-발가락관절의 안쪽에 융기가 발생한다(Arinci, 2003).
무지외반증의 외적 요인은 무엇인가? 무지외반증의 외적 요인은 굽이 높고 폭이 좁은 하이힐과 같은 서양식 신발을 신게 되면서 증가하였는데(Lee, 2000), Tanaka 등(1999)은 발허리발가락관절이 신발 또는 체중부하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적인 힘들을 견디지 못하여 무지외반증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내적 요인으로는 경사진 첫 번째 발허리뼈-쐐기뼈 관절(Mann과 Coughlin, 1981), 뒤정강근, 앞정강근, 종아리근, 셋째 종아리근 등의 외재근과 무지외전근 같은 내재근(Connor와 Hamil, 2004), 발바닥근막 등의 구조물 이완이 있으며(David, 2008) 발 안쪽세로활이 소실되어 발생하며 유연성 편평발이 동반될 수 있다(Inman, 1974; Shaw, 197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4)

  1. 구영미(2011). Short foot운동과 toe spread 운동 시 여러 자세에 따른 엄지벌림근의 근전도변화. 인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김순자, 이광재(2012). 토구 운동이 자세균형과 족저압 분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19(1), 9-15. 

  3. 김연희(2009). 하지복합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영호, 박시복, 양길태 등(1997). 엄지발가락 외반증 환자의 발바닥 압력분포 특성. 의공학회지, 18(4), 439-446. 

  5. 김용재, 지진구, 김정태(2004). 20세 여성의 신발종류에 따른 족저압 영역별 비교 연구. 한국운동역학회지, 14(3), 83-98. 

  6. 김은호(2012). 복지관 이용 노인의 발 건강 상태와 발관리 수행 실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정태, 박성현(2005). 성인 여성의 체중별 족저압 중심 이동분석. 창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10(3), 59-65. 

  8. 김현정(2003). 소아 편평족 환자에서 구두 보조기의 족부 골격 배열과 족저압력에 대한 효과. 을지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1), 쪽57-166.. 

  9. 박진현(2010). 몸통과 발 강화 운동이 유연성 편평발과 엄지발가락 가쪽휨증을 가진 성인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학위 논문. 

  10. 문재호, 이한수, 정광익 등(1996). 정상군과 무지외반증 및 편평족 환자군의 족저압 분포. Annals of Rehabil Med, 20(3), 778-786. 

  11. 배지용(2014). 인체 하지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생체 역학적 분석.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서동현(2013). 8주간 슬링운동과 요부안정화운동이 중년 여성의 척추형태와 요부근력 및 정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서지선(2005). Thera-Band 운동이 발목 염좌 환자의 유연성과 근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 스포츠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신성우(2002). 군집분석을 통한 발의 유형별 특성. 경북과학대학 논문집, 9(1), 69-80. 

  15. 신혁수, 옥정석, 노미현(2013). 중장년층의 균형력과 근적성과의 관계. 운동학학술지, 15(4), 117-127. 

  16. 오봉석(2012). 발 교정구를 착용한 걷기 운동이 무지외반증 노년기 여성의 TNF-a, Anti-CCP 및 체형 균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0(2), 945-956. 

  17. 윤형덕(2006). 등척성 운동과 탄성밴드를 이용한 등장성 운동이 만성 슬골 관절염 환자의 근력,관절 가동범위, 균형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이경섭, 조효구(2011). 평형성 운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보행 시 족저압에 미치는영향. 용인대학교 특수체육연구소, 8, 13-38. 

  19. 이동수, 문재호, 이한수 등(1996). 정상군과 무지외반증 및 편평족 환자군의 족저압 분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재활의학교실, 20(3), 778-786. 

  20. 이상용(2002). 기립자세에서 발의 변화가 슬개대퇴골각과 종경골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이영숙(2004). 세라밴드를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이 건강 관련 체력 및 균형감각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진환(2011). 발목관절의 근력 강화 훈련과 정적근육 신장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족저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3. 이진환, 이재홍, 권원안 등(2012). 발목관절의 근력강화 훈련과 정적 근육 신장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족저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3(3), 1153-1160. 

  24. 이창욱(2007). 발 보조기와 요부 안정화 운동이 편평족을 가진 척추 부정렬 환자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이청무, 이주희(2014). 고등학교 발레 전공생의 해부학적 족부 변형에 따른 족관절 가동범위, 기능수행능력, 거골경사각 및 족부 상해 비교. Korean J Health Promot, 14(2), 74-81. 

  26. 이형수, 신영일, 안승헌(2004). 탄력밴드 훈련이 척수손상인의 이동기능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6(3), 321-328. 

  27. 임성태(2001). 무지 외반증 환자의 hard insole 착용에 의한 중족지절관절 각도의 변화.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임하얀(2013). 무용전공 여대생의 자기 주도적 기초체력 운동 및 준비.정리운동이 무용 상해 예방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정도영, 고은경(2009). 발가락 감기 운동 시 지절관절 자세에 따른 무지외전근의 근 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6(2), 9-15. 

  30. 전미양, 정현철, 정미숙 등(2004). 테이핑 요법이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 변형 각도와 통증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4(5), 690-691. 

  31. 정명균(2007). 신장과 근력운동에 따른 무지외반증 여성의 발 변형 각도 변화.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정영준(2006). 치료면의 질이 편마비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가천의과학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3. 정임숙(2004).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평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정지추(2005). 30-40대 여성 직업군의 발 변형 비교와 신발 착용 실태 연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조세진(2002). 무용 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채서일(1996).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비앤엠북스. 

  37. 최홍택(2014). 족저압 지수와 동적 불균형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한상민(2014). 족궁 형성 운동이 유연성 편평족 농구선수의 하지 정렬과 체력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9. 한진태, 류태범, 이해정(2008). 정상성인의 보행중 방향 전환에 따른 족저압 분석. 한국운동생리학회지, 17(4), 515-523. 

  40. 황명중(2008). 4주간의 근력 운동과 평형 운동이 발목 불안정성 지표와 기능적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1. 황병연(1986). 관절낭외 V형절골술 및 연부조직 교정을 병용한 무지 외반증의 치료 경험.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99-102. 

  42. 황성재(2005). 다체절 발 모델 개발을 통한 보행 시 정상인과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의 세부 운동특성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3. 황수진, 우영근, 전혜선(2008). 바로 선 자세에서 발목과 무릎관절의 고정이 자세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5(1), 30-37. 

  44. 형인혁, 김형수, 이건철(2008). 회내발에 대한 관절가동술과 능동운동이 근 활성도와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7(2), 1023-1032. 

  45. Arinci IN, Genc H, Erdem HR, et al(2003). Muscle imbalance in hallux valgus: an electromyographic study. Am J Phys Rehabil, 82(5), 345-349. 

  46. Chun SY, Choi OJ(2009). The ankle joint position sense, strength and Functional ability of the soccer player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Korean J Sports Sci, 18(3), 1119-1130. 

  47. Coughlin MJ, Jones CP(2007). Hallux valgus: Demographics, etiology, and radiographic assessment. Foot Ankle Int, 28(4), 448-455. 

  48. David JM(2008). Orthopedic physical assessment. London, Saunders Elsevier. 

  49. Donatelli R(1996). The biomechanics of the foot and ankle. Philadelphia, F.A. Davice company. 

  50. Edwards WT(2007). Effect of joint stiffness on standing stability. Gait Posture, 25(3), 432-439. 

  51. Fiolkowski P, Brunt D, Bishop M, et al(2003). Intrinsic pedal musculature support of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an electromyography study. J Foot Ankle Surg, 42(6), 327-333. 

  52. Franco AH(1987). Pes cavus and pes planus. Analyses and treatment. Phys Ther, 67(5), 688-694. 

  53. Geissele AE, Stanton RP(1990). Surgical treatment of adolescent hallux valgus. J Pediat Orthop, 10(5), 642-648. 

  54. Headlee DL, Leonard JL, Hart JM, et al(2008). Fatigue of the plantar intrinsic footmuscles increases navicular drop. J Electromyographic Kinesiol, 18(3), 420-425. 

  55. Helal B(1981). Surgery for adolescent hallux valgus. Clin Orthop, 157, 50-63. 

  56. Inman VT(1974). Hallux valgus: a review of etiologic factors. Orthop Clin North Am, 5(1), 59-66. 

  57. Karen P, Michael E, Bruce M, et al(2005). Effect of pronated and supinated foot posture on static and dynamic posture stability. J Athletic Train, 40(1), 40-46. 

  58. Kim CH(2006). The effect of strengthening leg muscular power in 8 weeks on middle-aged women's body composition, peak torque and peak torque per body weight in leg. Korean Sport Res, 17(5), 783-790. 

  59. Krisen KH, Berfer C, Stelzig S, et al(2002). The SCARE osteotomy for the correction of hallux valgus deformities. Foot Ankle Int, 23(3), 221-229. 

  60. Laluya JP, Nicola T, McDade S(2000). Sports medicine: Conservative approach benefits athletes with hallux valgus. BioMechanics. 

  61. Lee WC(2000). Surgery of the foot. Seoul, Koonja. 

  62. Lowell SW Jr, Wendy BW(1998). Postoperative hallux valgus exercises. J Foot & Ankle Surg, 37(4), 355. 

  63. Lynn SK, Padilla RA, Tsang KK(2012). Differences in static and dynamic-balance task performance after 4 weeks of intrinsic-foot-muscle training: the short-foot exercise versus the towel-curl exercise. J Sport Rehabil, 21(4), 327-333. 

  64. Mann RA, Coughlin MJ(1981). Hallux valgus-etiology, anatomy, treatment, and surgical consideration. Clin Orthop, 157, 31-41. 

  65. Menz HB, Lord SR(2005). Gait instability in older people with hallux valgus. Musculoskeletal Res Centre, L Trobe University, 26(5), 483-489. 

  66. Moon DC, Kim K, Lee SK(2014). Immediate effect of short-foot exercise on dynamic balance of subjects with excessively pronated feet. J Phys Ther Sci, 26(1), 117-119. 

  67. O' Connor KM, Hamill J(2004). The role of selected extrinsic foot muscles during running. Clin Biomech, 19(1), 71-77. 

  68. Page P(2006). Developing resistive exercise programs using thera-band elastic bands & tubing. Akron, Thera-Band Academy-The Hygenic Corporation. 

  69. Page P, Frank C, Lardner R(2010).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The Janda Approach. Champaign (IL), Human Kinetics. 

  70. Ryu JY(2011). A study on physical strength and foot deformation of professional dancers and ordinary peopl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71. Shaw AH(1974). The biomechanics of hallux valgus in pronatedfeet. J Am Podiatry Assoc, 64(4), 193-201. 

  72. Shumway-Cook A, Woolloacott MH(2006).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73. Sarah J, Helen B, Roozbeh N, et al(2012).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toe props on plantar pressure and patient comfort. J Foot Ankle Res, 5(1), 1-22. 

  74. Tanaka Y, Takamura Y, Fujii T, et al(1999). Hindfoot alignment of hallux valgus evaluated by a weightbearing subtalar X-ray view. Foot Ankle Int, 20(10), 640-6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