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일 고대 나막신의 유형별 특징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Types on Ancient Wooden Shoes(Namagsin) of Korea and Japa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5 no.6, 2015년, pp.1 - 14  

이호정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조우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s to study the background of how the shape of the wooden shoes developed and worn by Koreans and Japanese in the ancient times by sorting and examining the types and shapes. Relevant bibliography, which are mainly related to the excavated wooden shoes from 3 B.C.E to C.E. 8., were 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의 평면형 나막신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된 이유는 무엇인가? 일본의 평면형 나막신은 한국에 비해 출토되는 양 이 많고, 현재에도 착용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 가 진행되었다. 그 동안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일본 내의 평면형 나막신은 5C(古墳시대)부터 다수의 유물들이 출현하였고, 근세 시기에 이르러서 일반 대중들의 신발로 보급되었다고 한다(Akita, 2002).
나막신은 주로 어떤 상황에서 착용하였는가? 신발은 각 지역의 자연환경 및 사회·문화요소들을 반영하며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생성되고 발전되어 왔다. 본 연구의 대상인 나막신은 일반적으로 나무로 제작된 신발이며, 주로 비가 오는 날이나 습지에서 착용하였다.
한일 고대 나막신의 평면형 나막신에서 차이점이 나타난 부분은 어디인가? 한편 나막신의 유형별 특징을 고찰한 결과, 양국 의 평면형 나막신은 연치형 나막신이며, 끈 구멍을 통해 고정하여 착용한다는 특징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판자의 형태, 끈 구멍의 숫자나 위치에 따른 착용방법, 굽의 측면 모양에서는 차이점이 나타 났다. 운두형 나막신은 장방형의 나무의 안쪽을 파서 전체 형태를 제작하였고, 굽이 없다는 공통점이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kita, H. (2002). Japanese wooden shoes - footwear of a god [下?-神のはきもの]. Tokyo, Japan: Hosei University Press. 

  2. Bokcheon Museum (2010). Ancient Korean footwear. Busan, Republic of Korea: Bokcheon Museum. 

  3. Buyeo National Museum (2003). Weights & measures in Baekje [百濟의 度量衡]. Buyeo, Republic of Korea: Buyeo National Museum. 

  4. Cho, G. D. (198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lower-vase the form of clogs(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5. Daegu National Museum (2000). The ancient culture of the Apdok people [압독 사람들의 삶과 죽음]. Daegu, Republic of Korea: Daegu National Museum. 

  6. Dongbang Institute of Heritage (2013). The excavation report of Ssangbuk-ri site, Buyeo [부여 사비119 안전센터 신축부지내 쌍북리 173-8번지 유적]. Chungnam: Dongbang Institute of Heritage. 

  7.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8). The antient wooden container of Korea - Focused on Haman Seongsan mountain fortress- [한국의 고대목기-함안 성산산성을 중심으로-]. Gyeongnam, Republic of Korea: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8. HanBeak Reasearch Institute for Culture Heritage (2010). Ansung Jukjusanseong fortress 4th excavation instruction committee meeting materials [안성 죽주산성 4차 발굴조사 지도위원 회의자료][PDF document]. HanBeak Research Institute for Culture Heritage. Retrieved from http://www.hbmy.or.kr/filedownload/sub03_1/%ec%95%88%ec%84%b1%20%ec%a3%bd%ec%a3%bc%ec%82%b0%ec%84%b1%204%ec%b0%a8%20%eb%b0%9c%ea%b5%b4%ec%a1%b0%ec%82%ac%20%ec%a7%80%eb%8f%84%ec%9c%84%ec%9b%90%20%ed%9a%8c%ec%9d%98%ec%9e%90%eb%a3%8c.pdf 

  9. In, B. S. (2005). Ancient wooden shoes research of Korea, China and Japan.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38, 109-128. 

  10. Jang, Y. S. (2010). Imdang ruins representing the gyeongsan area [경산지역을 대표하는 임당유적]. 2010 Adult class museum ancient footwear and story of excavation, Bokcheon Museum (pp. 119-142). Busan, Republic of Korea: Bokcheon Museum. 

  11. Kim, M. J. (2003). A study on the Namakshin in Chosun dynasty: Focused on relation to 'Hamel'. Journal of Fashion Business, 7(2), 82-96. 

  12. Korea Folk Dictionary (1994). Seoul, Republic of Korea: Minjokmunhwasa. 

  13. Lee, B. (1994). Tae-Pyeong-Eo-Ram [태평어람]. (REN, M., Ruiping, Z., & Li, J. G., Trans.). Hebei, China: Hebei Education Publishing House (Original work published 983). 

  14. Lee, H. J., Kim, M. J., Seo, H. J., Jo, E. H., Park, S. H., Jo, J. H,.... An, H. K. (2007). The Galmae-ri (Locality III) site: Text. Chungnam, Republic of Korea: Institute for Archaeology and Environment Korea University. 

  15. Motomura, M. (2010). About the footwear culture in Japan and South Korea: Acceptance and deployment of wooden footwear in Japan and South Korea. The Paekche Yonku, 52, 29-48. 

  16. Nam, S. W. (1987). Study on Namagsin: Focus on origin, kind, production process.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Education Sadeahakbo [師大學報], 22, 23-38. 

  17. New Age Korean Dictionary (2001). Seoul, Republic of Korea: Kyohaksa. 

  18. Ogawa, Y. (1981). The Principles of Costume transition [服飾?遷の原則]. Tokyo, Japan: Bunka Publishing Bureau. 

  19. Oh, W. C. (2013).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excavated wood products in The Asan Galmae-ri(Locality III) site, International Symposium of Korea -Japan Ancient Wooden Artifacts (pp. 171-190). Changwon, Republic of Korea: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 Park, M. I. (1983). A study on the Namaksin(Mokgeuk) in Korea: Centering on Cho-sun dynasty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1. Pyeongyang-myeongseung-gujeok-bojonhoe (1936). Nangnang Chae Hyeopchong [樂浪彩?塚]. Tokyo, Japan: Pyeon-li-dang. 

  22. Seo, H. J. (2009). Baekje and ancient Japan [백제와 고대일본] [PDF document]. Bokcheon Museum. Retrieved from http://bcmuseum.busan.go.kr/05study/03_01.jsp?amodeview&id201002051101080052&cpage3 

  23. Shinya, S. (2007). I. Wooden relics, The Galmae-ri (Locality III) site: analysis and/or study (pp. 1-4). Chungnam, Republic of Korea: Institute for Archaeology and Environment Korea University. 

  24. Shuichi, Y. & Sasaki, Y. (2007). II. Wooden type analysis, The Galmae-ri (Locality III) site: analysis and/or study (pp. 5-28). Chungnam, Republic of Korea: Institute for Archaeology and Environment Korea University. 

  25. University of Ulsan Museum (2008). The Ga-dong site I: Gijang-gun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Ulsan, Republic of Korea: University of Ulsan Museum. 

  26. University of Ulsan Museum (2008). The Ga-dong site II: Gijang-gun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Ulsan, Republic of Korea: University of Ulsan Museum. 

  27. Woo, B. C. (2013). Review of Gyeongsan Imdang-dong wetlands old ruins excavated wood products. International Symposium of Korea-Japan Ancient Wooden Artifacts (pp. 99-116). Changwon, Republic of Korea: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8. Zhao, Y. (2012), On the wooden remains of early Liangzhu Culture [初?良渚文化木??存]. Cultural Relics in Southern china, 4th, 74-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