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명치전기(明治前期) 경찰복 연구
Study on the Police Uniform in Japan's Early Meiji Period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5 no.4, 2015년, pp.31 - 44  

노무라 미찌요 (장안대학교 관광일어과) ,  이경미 (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police uniform during Japan's early Meiji period, in order to get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uniform. The research method included a literature review of laws related to police uniform, which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시청 설치에 앞서 활동했던 나졸과 번인에게도 서양식 제복이 있었으며 그 내용은 Nomura(2013)에서 알 수 있는데, 본고에서 다룰 1874년 경시청 복제와 그 후 개정과정과 비교하면 디자인과 제도면에서 연결성이 희박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경시청 설치 후의 복제를 중심으로 제정과 개정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근대화시기 서양식 제복의 도입과 개정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서 일본 명치 전기 경찰복제도를 사례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근대화시기 제복 도입과 개정과정을 알아보기 위해서 근대적 조직 중 경찰을 대상으로 하여, 동양권에서 근대 경찰제도 도입이 시기적으로 앞섰던 일본의 경찰복 도입과 정비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찰은 전근대 시기에도 존재했던 관청과 군대 등과 달리, 근대에 들어 군대와 분리되어 새로 만들어진 근대적 조직이다(Obinata, 1992).
  • 본 연구는 동양에서 근대 서양식 제복 도입과 정비과정을 보여주는 사례연구로 의의가 있으며, 명치기 일본의 경찰복제도는 한국의 개화기 이후, 특히 일제시대 경찰복제도 연구의 필수적 기초자료가 된다. 또한 본 연구의 성과는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하는 각종 시각 · 예술표현의 고증자료가 될 수 있으며, 문화콘텐츠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 1874년에 제정된 ‘경시청 복제’는 여러 차례 개정 과정을 거치면서 정비되어 갔다. 여기에서는 그러한 개정 과정 중 특징적인 사항을 추출하여 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의 근대 경찰조직이 이루어지기까지 어떤 제도들이 있었는가? 일본에서 근대적 경찰조직의 시초로 볼 수 있는 것으로 나졸(羅卒)의 제도(1871)가 있었으며 그 후번인(番人) 제도(1873) 등의 시행착오를 거친 후 1874 년 동경경시청 설치로 본격적인 근대 경찰제도가 시작되었다. 이 경시청 설치와 함께 ‘경시청 복제’ (1874)도 제정되었다.
근대 서양식 제복의 특징은 무엇인가? 계급장의 형태와 색이 등급별로 상세히 나누어져 있어서 이들로 등급을 가시화시켰다. 의복의 기본형태는 동일하면서도계급장으로 등급을 나타내는 방식은 근대에 도입된 서양식 제복의 특징이다. 예를 들어 대만총독부 관리들의 제복은 견장(肩章)이나 단추, 수장 등으로 신분을 나타냈으며 그들은 상당히 화려했으므로 멀리서봐도 한눈으로 그 사람의 등급을 판별할 수 있었다고 한다(Okamoto, 2008).
경시청 복제에서 관등의 차이는 어떻게 구별되는가? 관등의 차이는 모표(帽標)와 선장(線 章)으로 구별된다. 모표와 선장은 경시장이하 권소경부까지는 금(金)모르로 만들고, 순사는 은모르로 만든다. 경시장의 모표는 너비 8푼9)의 넓은 줄 1줄을중앙에 수직으로 세우고, 거기에 너비 2푼의 줄이 사선으로 기대는 철교와 같은 모양이다. 모자 본체 주위를 두르는 선장(線章)[横筋]은 3푼 3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Gaang, B. (199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policeman's unifor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5, 85-104. 

  2. Hourei-zensyo[法令全書] (1870, 1871, 1874, 1877, 1879, 1880, 1881, 1890). 

  3. Jo, S. (2013). The system of official uniform of Kore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dankook.ac.kr/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76602 

  4. Keisicho-tassi-zensyo[警視?達全書] (1874, 1875, 1876, 1878, 1879, 1881, 1884, 1885). 

  5. Kim, J. (2012). A study on Police Uniform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765 

  6. Lee, K. (2010). Establishment of Western-style court dress and its formal characteristics in the Meiji period of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5), 71-87. 

  7. Lee, K. (2011). Study on the historical research of costume at the reenactment of diplomatic ministers' reception ceremony in the Korean empire,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56, 139-183. 

  8. Lee, Y. (2015). A study of police uniform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n government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dcollection.skku.edu/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4827 

  9. Mok, S. (2008). A study on the national visual symbol of Korea in modern transitional period(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rary.snu.ac.kr/search/DetailView.ax?sid6&cid3097920 

  10. Nomura, M. (2013). Introduction of Modern police system and initial police uniform in Japan, Journal of Jangan University, 34, 889-903. 

  11. Numata, R. (1926). Japan heraldry[日本紋章?]. Tokyo, Japan: Meiji Shoin. 

  12. Obinata, S. (1992). Establishment of Japan modern state and police[日本近代?家の成立と警察]. Tokyo, Japan: Azekura Shobo. 

  13. Obinata, S. (2000). Police and the community of Modern Japan[近代日本の警察と地域社?]. Tokyo, Japan: Chikuma Shobo. 

  14. Okamoto, M. (2008). Bureaucrats and its uniform under the General Government of Chosen and Taiwan, Journal of Asian cultures, 10, 667-682. 

  15. Ota, R. (1989). Clothing system history In Japan[日本服制史中]. Tokyo, Japan: Bunka Publishing Bureau. 

  16. Rhee, C. (1980). A study on the Korean police dress and ornaments during the "Ke-Hwa"(westernizing) Period(1880-1910), Journal of Yeungnam University, 14, 323-334. 

  17. Showa Women's University clothing Laboratory. (1971). Modern Japan Dress History[近代日本服?史]. Tokyo, Japan: Modern Culture Research Institute. 

  18. Tanno, K. (1980). Comprehensive fashion history encyclopedia[?合服飾史事典]. Tokyo, Japan: Yuzankaku. 

  19. Yui, M. & Obinata, S. (1990). Bureaucracy police[官僚制警察]. Tokyo, Japan: Iwanami Shot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