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19세기 말~20세기 여성용 쓰개 장식의 재질분석
Material Analysis of the late 19th century to 20th century Women's Hats Ornaments in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5 no.2, 2019년, pp.169 - 176  

이새롬 (국립민속박물관 보존과학실) ,  오준석 (국립민속박물관 보존과학실) ,  황민영 (국립민속박물관 보존과학실)

초록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19세기 말~20세기 여성용 쓰개에 사용된 장식 19점에 대하여 SEM-EDS로 조성을 분석하였다. 쓰개 장식 16점은 융제 성분인 $Na_2O$와 PbO를 함유하고 있어 한국의 고대부터 출토되거나 전승되어온 납유리와 조성이 다른 유형의 납유리였다. 쓰개 장식 2점은 $Na_2O$$K_2O$가 3% 혹은 5% 이상 함유한 알칼리혼합유리, 1점은 CaO를 5% 이상 함유한 포타쉬유리 III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납유리는 일제강점기 조선에 수입된 일본의 공예용 납유리와 조성이 유사하여, 19세기 말~20세기 여성용 쓰개 중 납유리를 사용한 장식은 원료를 일본에서 수입하였거나 조선 내 일본인 기술로 생산한 공예용 납유리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근현대에 들어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쓰개 장식의 사용된 옥이나 호박과 같은 보석이 일본에서 수입된 공예용 납유리로 대체되어 새롭게 사용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terial composition of 19 ornaments used for women's hats in the late $19^{th}$ century to $20^{th}$ century, which are kept at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was analyzed using SEM-EDS. Sixteen ornaments were composed of $Na_2O$ and PbO, which form adifferent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실제 쓰개 장식에 사용된 재료가 자연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검증된 것은 없었다. 본 논문은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19세기 말~20세기 여성용 쓰개를 중심으로 장식에 사용된 재료의 자연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쓰개 장식의 재질을 규명하고, 장식의 제조 및 재료 유입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한모를 남성용, 여성용, 남녀공용으로 분류하면?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부터 방한모는 조선 초기와 달리 계급과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로 사용되었다. 방한모를 남성용, 여성용, 남녀공용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남성용 방한모에는 만선두리와 휘항, 여성용 방한모로는 아얌과 조바위, 남녀 구별 없이 착용하던 방한모에는 남바위, 풍차, 볼끼, 굴레가 있다. 우리나라의 방한모는 대부분 머리 위쪽이 트여있는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고 겹으로 만들거나 안에 모피를 대어 사용했다(Kim, 2007).
쓰개는 어떻게 발생하여 발전했나? 쓰개는 머리를 보호하는 두의(頭衣)로서 발생하였으며 점차 장식적, 신분적의 표지 등으로 발전하였다. 개항기 조선은 신분을 막론하고 각양각색의 모자를 써 왔기 때문에 ‘모자의 나라’, ‘모자의 발명국’, ‘모자의 왕국’으로 불렸다(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11).
쓰개 장식의 특징은? 쓰개 장식은 여성용 쓰개에 부착되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었다. 쓰개의 앞뒤 상부 중앙에 주로 술과 매듭, 산호줄이나 금속줄 혹은 구슬로 연결된 끈, 비취, 옥, 진주, 호박 등의 보패류로 장식하였다. 이중 비취나 옥으로 사용된 장식은 꽃, 나비, 복숭아, 박쥐, 길상어문(吉祥語紋) 등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Kim,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