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전거 사고예측모형 개발 및 개선방안 제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Bicycle Accident Prediction Model and Suggestion of Countermeasures on Bicycle Accidents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5, 2015년, pp.1135 - 1146  

권성대 (전남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  김윤미 (전남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  김재곤 (전남도청 건절방재국 지역계획과) ,  하태준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무동력 비탄소 교통수단 중 하나인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 자전거교통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에 현재 설치 운영되고 있는 자전거도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자전거 교통사고 자료를 토대로 자전거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그에 대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자전거도로의 현황 및 사고 자료를 제시하고 최근 3년(2009년~2011년)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자전거교통사고를 수집하여 자료를 토대로 자전거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전라남도 자전거 사고 자료를 사고 특성 분석을 통해 자전거 사고건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선정하고, 'SPSS Statistics 21'의 중회귀분석을 이용해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때 자전거사고건수는 도로형태(교차로, 횡단보도, 기타단일로)별 연장에 따른 사고건수를 사용하였다. 도출된 사고예측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1년도 광주광역시에서 발생한 자전거 사고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예측값과 실제 사고건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부 자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실제사고건수와 일치하는 것을 통해 사고예측모형의 신뢰성이 확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전거도로 문제점 분석을 위해 자전거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자전거도로 계획 및 재정비 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되며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sis aims to improve the safety of bicycle traffic for activating the use of bicycle, main means of non-powered and non-carbon transportation in order to cope with worldwide crisis such as climate change and energy depletion and to implement sustainable traffic system. In this regard, I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자전거 교통사고 특성 분석을 통해 교통사고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독립변수로 선정하여 종속변수인 자전거사고 건수(건/년)에 대한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자전거 이용자 만족도 설문조사와 실제 자전거도로 현장조사를 통해 자전거도로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자전거교통 안전성 향상을 위한 자전거도로 개선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자전거 사고예측모형 개발시 사용된 자료는 전라남도에서 발생한 사고자료이므로 전라남도의 도로유형별 비율을 적용하여야 하나, 전라남도의 교차로 및 횡단보도에 대한 자료는 구축되어 있지 않으며, 본 장에서 제시된 전라남도 자전거 교통사고 자료는 전라남도의 도시부 도로에서 발생한 자전거사고이므로 광주광역시 총 연장에 대한 각 도로유형의 비율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자동차 차로 폭이나 차로 수 축소를 통해 자전거 전용도로를 확보하는 것이다.
자전거 전용도로의 단점은? 도로의 양쪽 차로를 하나씩 감소시킬 경우 3m 정도의 전용도로 설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차로수 감소로 인해 차량의 지체도가 높아지며 경제성도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전거 도로 분리 기준은? 자전거 도로의 분리는 일반적으로 자전거 교통량, 보행자 교통량, 자동차 교통량의 규모를 기준으로 하여 자전거와 자동차 또는 자전거와 보행자로 분리할 수 있다. 단, 자전거와 자동차의 분리는 주행속도를 추가로 고려하여야 한다.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편측 1시간당 자전거 교통량(N)은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Kim, C. R. (2012). "Analysis of SPSS." 21C Book. 

  2. Kim, S. S. (2009). "A study on the promotion plan and effect factors of riding a bicycl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7, No. 4, pp. 17-30. 

  3. Kim, Y. H. (2013). "Development of analysis model for user satisfaction by the type of bicycle roads." Gachon University. 

  4. Kim, Y. J. (2009). "Study for bicycle parking areas with connecting public transport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 4, No. 1, pp. 51-59. 

  5. Kwon, Y. S. (2006). "A study for benefit calculation of bicycle roadway construction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6, No. 6, pp. 945-950. 

  6. Ministry of Land (2009).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acility Criteria and Management Guidelines of Bicycle Road." 

  7. Ministry of Land (2010).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stalling and Management Guidelines of Bicycle Utilization." 

  8. Nho, H. J. (2007). "Analysis of categorical of SPSS." HyoShan Book. 

  9. Shin, H. C. (2010). "Estimating potential impact of bike lane imple­mentation (Case study of Seoul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8, No. 4, pp. 97-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