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이 시력과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nsmittance of Diffusive Blur on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0 no.3, 2015년, pp.355 - 362  

양석준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  최은정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이 시력과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방법: 평균연령 $22.83{\pm}0.50$세의 대학생 30명(남 13명, 여 17명)을 대상으로 Optec$^{(R)}$ 6500으로 시력과 대비감도를 측정하였다. 확산적 흐림의 도구로 백내장 시뮬레이터용 확산필름을 사용하였고, 백내장의 진행 정도나 안개의 농도가 반영될 수 있도록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을 변화시키면서 측정하였다. 결과: 시력과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은 비례식 $VA(T)=1.84{\times}10^{-2}T-0.65$으로 맞춤되었다. 대비감도는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감소하였는데, 고공간주파수 대역에서의 대비감도가 더 큰 영향을 받아 정상범위를 먼저 벗어났고 대비감도의 정점은 저공간주파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대비감도함수들의 교차점으로부터 대비감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 및 정점공간주파수의 이동을 산출한 결과, 투과율이 약 78.70%이 되면 대비감도의 정점이 6 cpd에서 3 cpd로 이동하는 것으로, 그리고 약 69.71%이 되면 모든 공간주파수에서의 대비감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의 감소는 시력의 저하와 더불어 대비감도의 감소, 정상범위의 이탈 및 정점대비감도 이동 등을 유발시켜 시각적 불편함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백내장이나 안개 운전 시에는 더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ransmittance of diffusive blurson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Methods: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were measured by using Optec$^{(R)}$ 6500 in Healthy 30 subjects aged $22.83{\pm}0.50$ (male 13, female 17) wh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Herse와 Bedell[2]은 인위적으로 유발된 확산적 흐림, 광학적 흐림, 망막 편심 등의 비교 연구에서 확산적 흐림을 유발시켰을 때는 문자시표와 격자시표, 두 경우 모두에서 대비감도가 유사하게 감소하지만, 광학적 흐림과 망막편심을 유발시켰을 때는 격자시표를 사용했을 때보다 문자시표를 사용했을 때 대비감도가 더 많이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액정윈도우는 유용한 셔터 및 휘도 필터의 역할을 하므로 백내장과 관련된 유용한 모델을 제공해줄 수 있다고도 제안하였다.[6] Vivekananda-Schmidt 등[7]은 정상인에게 확산적 흐림을 유발시켜 건물 내에서의 보행을 관찰한 후, 시기능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안전에 있어서 건물 내부의 디자인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렸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확산적 흐림에서의 대비감도 감소 현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 감소에 따른 대비감도의 정상범위 이탈 및 정점공간주파수 fp의 이동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 하지만 확산적 흐림에 있어서 시기능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대비감도의 정상범위 이탈이나 정점이동 현상 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확산적 흐림의 짙기 즉,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이 감소하는 과정에서 대비감도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정상범위 이탈과 정점이동 현상을 중심으로 조사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적 능력이 저하되는 현상은, 어떤 문제로부터 야기되는가? 미교정된 굴절이상, 부적절한 굴절교정, 백내장, 안개 등의 상황에서는 시력이 떨어지고 대비감도가 감소하는 등 시각적 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이러한 현상들은 망막이나 신경과 관련된 문제가 아닌 렌즈(각막, 수정체)나 빛을 전달하는 매체와 관련된 광학적 문제로부터 야기되는데, 미교정된 굴절이상이나 부적절한 굴절교정 등과 같은 경우를 광학적 흐림(dioptric blur)이라 하며, 백내장이나 안개 등과 같은 경우를 확산적 흐림(diffusive blur)이라 한다.[2] 이러한 경우들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지만 피검자 모집이나 다양한 변인의 일관성 있는 통제가 어렵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만족할 만한 실험 결과를 얻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그 상황을 모사해줄 수 있는 인위적 흐림을 유발시켜 시각적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들이 시도되어 왔다.
시력이 떨어지고 대비감도가 감소하는 등, 시각적 능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상황은? 미교정된 굴절이상, 부적절한 굴절교정, 백내장, 안개 등의 상황에서는 시력이 떨어지고 대비감도가 감소하는 등 시각적 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이러한 현상들은 망막이나 신경과 관련된 문제가 아닌 렌즈(각막, 수정체)나 빛을 전달하는 매체와 관련된 광학적 문제로부터 야기되는데, 미교정된 굴절이상이나 부적절한 굴절교정 등과 같은 경우를 광학적 흐림(dioptric blur)이라 하며, 백내장이나 안개 등과 같은 경우를 확산적 흐림(diffusive blur)이라 한다.
어떤 경우를 확산적 흐림이라 하는가? 미교정된 굴절이상, 부적절한 굴절교정, 백내장, 안개 등의 상황에서는 시력이 떨어지고 대비감도가 감소하는 등 시각적 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이러한 현상들은 망막이나 신경과 관련된 문제가 아닌 렌즈(각막, 수정체)나 빛을 전달하는 매체와 관련된 광학적 문제로부터 야기되는데, 미교정된 굴절이상이나 부적절한 굴절교정 등과 같은 경우를 광학적 흐림(dioptric blur)이라 하며, 백내장이나 안개 등과 같은 경우를 확산적 흐림(diffusive blur)이라 한다.[2] 이러한 경우들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지만 피검자 모집이나 다양한 변인의 일관성 있는 통제가 어렵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만족할 만한 실험 결과를 얻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그 상황을 모사해줄 수 있는 인위적 흐림을 유발시켜 시각적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들이 시도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ung ST, Jarvis SH, Cheung SH. The effect of dioptric blur on reading performance. Vision Res. 2007;47(12):1584-1594. 

  2. Herse PR, Bedell HE. Contrast sensitivity for letter and grating targets under various stimulus conditions. Optom Vis Sci. 1989;66(11):774-781. 

  3. Choi WS, Park SB. The variation of visual acuity for a artificial myopia concerned with the fogging techniqu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1996;1(2):43-47. 

  4. Shan Y, Moster ML, Roemer RA, Siegfried JB. Abnormal function of the parvocellular visual system in anisometropic amblyopia. J Pediatr Ophrhalmol Strabismus. 2000;37(2):73-78. 

  5. Han SH, Chung GW, Lee JB, Lee YG. The effect of diffusion blur on central and peripheral vision in normal adults. J Korean Ophthalmol Soc. 1996;37(5):80-84. 

  6. Herse PR. Physical and psychophysical properties of a liquid crystal diffuser. Optom Vis Sci. 1990;67(7):558-561. 

  7. Vivekananda-Schmidt P, Anderson RS, Reinhardt-Rutland AH, Shields TJ. Simulated impairment of contrast sensitivity: performance and gaze behavior during locomotion through a built environment. Optom Vis Sci. 2004;81(11):844-852. 

  8. Bedell HE, Patel S, Chung ST. Comparision of letter and vernier acuities with dioptric and diffusive blur. Optom Vis Sci. 1999;76(2):115-120. 

  9. McGwin G Jr, Chapman V, Owsley C. Visual risk factors for driving difficulty among older drivers. Accid Anal Prev. 2000;32:735-744. 

  10. Elliott DB, Hurst MA, Weatherill J. Comparing clinical tests of visual function in cataract with the patient's perceived visual disability. Eye. 1990;4:712-717. 

  11. Kim CJ, Choi EJ. Effects of Induced dioptric blur on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2):261-270. 

  12. Kim CJ, Kim HJ, Kim JM. Comparison of Contrast Sensitivity at Near Between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and Single Vision Lens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0;15(4):381-388. 

  13. Hohberger B, Laemmer R, Adler W, Juenemann AG, Horn FK. Measuring contrast sensitivity in normal subjects with OPTEC 6500: influence of age and glar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7;245(12):1805-1814. 

  14. Larsson E, Rydberg A, Holmstrm G. Contrast sensitivity in 10 year old preterm and full term children: a population based study. Br J Ophthalmol. 2006;90(1):87-90. 

  15. Choi EJ, Lee SU, Lee EJ, Yoon MJ, Jeong JH, Kim CJ, et al. Empirical fitting curve for luminous transmittance in teinted lenses using superposition of exponential decay curv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3):283-291. 

  16. Choi EJ, Jeong JH, Kim HJ, Seo W, Ju YJ. Tinted-time dependence of the total spectral transmittance in CR-39 plastics color lenses. Sae Mulli. 2009;59(3):272-277. 

  17. Skoog DA, Leary JJ. Principles of instrumental analysis, 4th ed. New York: Saunders College Publishing, 2004;123-127. 

  18. Ginsburg AP, Evans DW, Cannon MW Jr, Owsley C, Mulvanny P. Large-sample norms for contrast sensitivity. Am J Optom Physiol Opt. 1984;61(2):80-84. 

  19. Lee EJ, Yoon MJ, Kim SH, Yang GT, Jeong JH, Kim HJ, et al. Changes of contrast sensitivity with decreasing luminance in photopic condition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4):411-417. 

  20. Stereo Optical. Functional Acuity Contrast Test: Instruction Manual. Chicago: Stereo Optical Company, 2006;16. 

  21. Barten PGJ. Contrast sensitivity of the human eye and its effects on image quality. Washington: SPIE Optical Engineering Press. 1999;2-40. 

  22. Barten PGJ. Contrast sensitivity of the human eye and its effects on image quality. Washington: SPIE Optical Engineering Press. 1999;27-40. 

  23. Arden GB. The importance of measuring contrast sensitivity in cases of visual disturbance. Br J Ophthalmol. 1978;62(4):198-209. 

  24. Ginsburg AP. Contrast sensitivity and functional vision. Int Ophthalmol Clin. 2003;43(2):5-15. 

  25. Losada MA, Navarro R, Santamara J. Relative contributions of optical and neural limitations to human contrast sensitivity at different luminance levels. Vis Res. 1993;33(16):2321-2336. 

  26. Oen FT, Lim TH, Chung MP. Contrast sensitivity in a large adult population. Ann Acad Med Singapore. 1994;23(3):322-326. 

  27. You YC, Choi TH, Lee HB. Normal contrast sensitivity for various ages. J Korean Ophthalmol Soc. 2003;44(1):150-156. 

  28. Owsley C. Contrast sensitivity. Ophthalmol Clin North Am. 2003;16(2):171-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