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거리 정적 입체시와 동적 입체시의 평가 및 상관관계
Comparison and Correlation between Distance Static Stereoacuity and Dynamic Stereoacuity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0 no.3, 2015년, pp.385 - 390  

김영청 (광주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상현 (광주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심현석 (광주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원거리 Randot 입체검사(Distance Randot Stereotest, STEREO OPTICAL. Co., Inc. USA)를 이용한 정적 입체시(static stereoacuity)와 삼간계(three-rods test, iNT, Korea)를 이용한 동적 입체시(dynamic stereoacuity)를 평가해보고, 두 입체시의 기준과 상관관계, 두 검사법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방법: 평균연령 20.88세(19~32세)인 정상 성인 109명(남자 61명, 여자 48명)을 대상으로 원거리 Randot 입체검사는 검사거리 3 m에서 정적 입체시를, 삼간계는 2.5 m에서 동적 입체시를 측정하였다. 결과: 원거리 정적 입체시는 평균 $155.77{\pm}133.11$초, 동적 입체시는 평균 오차거리 $11.13{\pm}9.69mm$, 등가 환산 입체시 $23.44{\pm}20.96$초로 두 입체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 상관성은 비교적 낮았다(${\rho}=0.226$). 동적 입체시의 경우 오차거리 20 mm를 기준으로 정상범위로 구분하였을 때, 97명(89%)에서 20 mm 이하의 오차거리가 나타났고 이들의 평균 오차거리는 $8.43{\pm}5.10mm$, 환산 평균 동적 입체시는 $17.68{\pm}10.67$초였다. 오차거리 20 mm는 등가 환산 동적 입체시 40.99초(PD 62 mm 기준)이다. 결론: 정적 입체시와 동적 입체시의 상관성은 매우 적어 서로 다른 기능으로 구분하여 검사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원거리 Randot 입체검사는 단안단서가 배제된 정적 입체시를, 삼간계는 단안단서가 존재하는 일상생활의 자연시 상태에서 눈과 손의 협응반응이 포함된 동적 입체시를 측정할 수 있어 두 입체시의 기준을 마련하는데 적절하며, 두 검사법을 병행 사용함이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삼간계 동적 입체시는 성인의 정상범위를 오차거리 20 mm를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이 통계적인 관점에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static stereoacuity by Distance Randot Stereotest (STEREO OPTICAL. Co., Inc. USA) and the dynamic stereoacuity by three-rods test (iNT, Korea). Criterion and correlation of stereoacuity between both tests and usefulness of two stereotest methods were also evalu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원거리 Randot 입체검사법을 실험해 보고, 삼간계(three-rods test) 동적 입체시는 본 저자들의 이전 연구[8]에서 부족했던 동적 입체시의 정상범위 기준을 실험하여 정적 입체시와 동적 입체시의 상관성 분석과 단안단서의 존재 유무로 인한 두 입체시 검사법의 차이점과 그 유용성을 비교 및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안시가 일상생활의 영위에 중요한 시기능인 이유는? 양안시(binocular vision)의 최고 단계인 입체시(stereoacuity) 는 양안에 맺혀지는 비슷한 상의 망막시차(retinal disparity)를 이용하여 느낄 수 있는 거리감각을 말하는데,[1] 양안시 상태에서만 사물의 원근감, 방향감, 입체감, 속도감을 정확히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기능이다.[2] 양안시를 통해 입체시를 할 때 어떤 대상들 사이에서 선형적 원근감, 그림자, 움직임, 질감 등에서 의해서 깊이 단안단서(monocular cue)가 제공될 수 있다.
입체시란 무엇인가? 양안시(binocular vision)의 최고 단계인 입체시(stereoacuity) 는 양안에 맺혀지는 비슷한 상의 망막시차(retinal disparity)를 이용하여 느낄 수 있는 거리감각을 말하는데,[1] 양안시 상태에서만 사물의 원근감, 방향감, 입체감, 속도감을 정확히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기능이다.[2] 양안시를 통해 입체시를 할 때 어떤 대상들 사이에서 선형적 원근감, 그림자, 움직임, 질감 등에서 의해서 깊이 단안단서(monocular cue)가 제공될 수 있다.
입체 시에 대한 검사가 눈에 대한 종합적인 기능을 판별하는 기준이 되는 이유는? [2] 양안시를 통해 입체시를 할 때 어떤 대상들 사이에서 선형적 원근감, 그림자, 움직임, 질감 등에서 의해서 깊이 단안단서(monocular cue)가 제공될 수 있다.[3] 비록 입체시가 깊이 지각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입체시 검사는 임상적으로 사시, 약시, 부동시 등을 조기에 발견하는데 중요한 양안시기능을 측정하는 검사 방법의 하나로써, 복합적인 시각 작업과 손과 눈의 협응 (hand-eye coordination)을 포함하는 작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3] 입체시가 정상이라면 전반적인 눈의 기능도 정상 혹은 정상에 가깝다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입체시 검사는 눈의 이상을 발견하는 선별검사 및 진단검진 방법으로 주목받기도 한다.[4] 따라서 입체시는 인간이 가진 최고의 시각상태로 여러 시감각적 요소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입체 시에 대한 검사를 통해 눈의 전반적인 기능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와 양안시기능 이상의 유무를 판별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Von Noorden GK.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5th Ed. St. Louis: Mosby, 1996;8-40. 

  2. Kim TN. Binocular vision, 1st Ed. Seoul: Shinkwang Pub, 2010;15-28. 

  3. Wong BP, Woods RL, Peli E. Stereoacuity at distance and near. Optom Vis Sci. 2002;79(12):771-778. 

  4. Marsh WR, Rawlings SC, Mumma JV. Evaluation of clinical stereoacuity test. Ophthalmology. 1980;87(12):1265-1272. 

  5. Min BM, Park WC.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cuity and titmus stereoacuity. J Korean Ophthalmol Soc. 1987;28(6):1339-1342. 

  6. Zanoni D, Rosenbaum AL. A new method for evaluating distance stereo acuity. J Pediatric Ophthalmol Strabismus. 1991;28(5):255-260. 

  7. Fu VL, Birch EE, Holmes JM. Assessment of a new distance randot stereoacuity test. J AAPOS. 2006;10(5):419-423. 

  8. Shim HS, Choi SM, Kim YC. Assessment of dynamic stereoacuity of adults in their 20s’ with Howard-Dolman test.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5;20(1):61-66. 

  9. Rovai, AP, Jason DB, Michael KP. Social science research design and statistics: A practitioner's guide to research methods and IBM SPSS, 2nd Ed. Watertree Press LLC, 2013;375. 

  10. Holmes JM, Fawcett SL. Testing distance stereoacuity with the Frisby-Davis(FD2) test. Am J Ophthalmol. 2005;139(1):193-195. 

  11. Kim SJ, Kim SY. Normal distance stereoacuity by age assessed by the Frisby Davis distance stereotest.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1):158-163. 

  12. Matsuo T, Negayama R, Sakata H, Hasebe K. Correlation between depth perception by three-rods test and stereoacuity by distance randot stereotest. Strabismus. 2014; 22(3):133-137. 

  13. Pettigrew JD. Binocular neurons which signal change of disparity in area 18 of cat visual cortex. Nat New Biol. 1973;241(108):123-124. 

  14. Tyler CW. A stereoscopic view of visual processing streams. Vision Res. 1990;30(11):1877-1895. 

  15. Hart WM. Adler's physiology of the eye, 9th Ed. St. Louis: Mosby, 1992;773-810. 

  16. Lim KH, Hong HJ. Dynamic stereoacuity in normal individuals. J Korean Ophthalmol Soc. 2000;41(11):2408-2414. 

  17. Frisby JP, Mein J, Saye A, Stanworth A. Use of randomdot sterograms in the clinical assessment of strabismic patients. Br J Ophthalmol. 1975;59(10):545-552. 

  18. Cooper J, Feldman J. Random-dot-stereogram performance by strabismic, amblyopic, and ocular-pathology patients in an operant-discrimination task. Am J Optom Physiol Opt. 1978;55(9):599-6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