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적시력(KVA)과 동적 입체시의 비교 평가
The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KVA and Dynamic Stereoacuity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9 no.4 = no.57, 2014년, pp.519 - 525  

김영청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  심현석 (광주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상현 (광주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동적시력(kinetic visual acuity, KVA)과 동적 입체시(dynamic visual acuity)를 측정하여 그 상관성과 양안의 굴절부등이 KVA, 동적 입체시와 상관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방법: 성인 남녀 63명(남30, 여33)을 대상으로 굴절이상자는 완전교정 후 KVA 측정장치(KOWA AS-4A)와 Howard-Dolman Test(하워드-돌먼 입체검사, H-D Test)를 2.5 m 검사거리로 하여 KVA와 동적 입체시를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KVA는 전체 평균 $0.49{\pm}0.25$, 남자 $0.58{\pm}0.26$, 여자 $0.40{\pm}0.22$이였고, LogMAD(Log minimum angle of displacement)동적 입체시는 전체 평균 $1.27{\pm}0.44$($28.44{\pm}25.03$초), 남자 $1.28{\pm}0.44$($28.23{\pm}23.34$초), 여자 $1.27{\pm}0.45$($28.63{\pm}26.83$초)로 KVA는 남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0) 동적 입체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97), KVA와 동적 입체시 사이의 상관성은 크지 않았다(r=0.03). KVA를 크기에 따라 Low, Middle, High로 구분하였을 때 세 그룹간의 동적 입체시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99). 양안의 굴절부등의 양을 1 D미만과 1 D이상 두 그룹으로 구분하였을 때 KVA와 동적 입체시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11, p=0.09), 굴절부등과 KVA(r=0.33), 동적 입체시 (r=0.18)의 각각 상관성도 크지는 않았으나 동적 입체시보다 KVA가 굴절부등과 상관성이 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성인 남녀의 KVA는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남자가 여자보다 KVA가 더 높았으며, KVA의 크기에 따른 동적 입체시, 굴절부등에 따른 KVA와 동적 입체시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상관성도 크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O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etic visual acuity (KVA) and the dynamic stereoacuity and the effects of anisometropia with measuring KVA and the dynamic stereoacuity. Methods: For 63 adults (male 30, female 33), KVA and the dynamic stereoacuity were measur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종방향 동적시력인 KVA와 Howard-Dolman test(하워드-돌먼 입체검사, H-D test)를 이용하여 동적 입체시를 측정하고 통계분석하여 KVA와 동적 입체시의 남녀 간의 비교평가와 KVA와 동적 입체시의 상관성, 또한 여러 요인 중 굴절부등이 KVA와 동적 입체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앞으로의 동적시력 KVA와 동적 입체시의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실험에서 양안의 굴절부등이 동적시력 KVA와 동적 입체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상관성이 적었으나 앞으로 굴절부등안에 콘택트렌즈를 처방하여 KVA와 동적 입체시, 정적 입체시를 측정하고 그 상관성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력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시력(Visual Acuity, VA)은 눈의 분해능(resolution acuity)으로 일정한 거리에서 움직이지 않는 물체를 볼 수 있는 능력인 정지시력(Static Visual Acuity, SVA: 이하 시력)과 움직이는 물체를 식별하는 능력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정확하게 추적해야 하는 동적시력으로 구분[1] 하고, 동적시력은 야구, 탁구, 핸드볼, 테니스, 탁구 등 빠른 속도의 물체를 추적해야 하는 종목의 운동선수 및 경기 심판 등에서 우수한 경기력과 관련된 우수한 동적시력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2,3] 동적시력의 경우 좌우상하에서 이동하는 시표를 인식하는 횡방향 동적시력(Dynamic Visual Acuity, DVA)[4]과 전후에서 이동하는 시표를 인식하는 종방향 동적시력(Kinetic Visual Acuity, KVA)[5]으로 구분되는데 일본에서는 고령운전자와 사고운전자 교통안전 교육 등에서 주로 KVA가 사용되고 있다.
시력이란? 시력(Visual Acuity, VA)은 눈의 분해능(resolution acuity)으로 일정한 거리에서 움직이지 않는 물체를 볼 수 있는 능력인 정지시력(Static Visual Acuity, SVA: 이하 시력)과 움직이는 물체를 식별하는 능력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정확하게 추적해야 하는 동적시력으로 구분[1] 하고, 동적시력은 야구, 탁구, 핸드볼, 테니스, 탁구 등 빠른 속도의 물체를 추적해야 하는 종목의 운동선수 및 경기 심판 등에서 우수한 경기력과 관련된 우수한 동적시력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2,3] 동적시력의 경우 좌우상하에서 이동하는 시표를 인식하는 횡방향 동적시력(Dynamic Visual Acuity, DVA)[4]과 전후에서 이동하는 시표를 인식하는 종방향 동적시력(Kinetic Visual Acuity, KVA)[5]으로 구분되는데 일본에서는 고령운전자와 사고운전자 교통안전 교육 등에서 주로 KVA가 사용되고 있다.
종방향 동적시력은 무엇을 사용하여 양안을 측정하는가? KVA는 동적시력계(KOWA AS-4A)를 사용하여 양안으로 측정하였다. 동적시력계의 시표는 란돌트C 시표로 피검사자의 전방 50 m 위치에서 눈 앞 2m까지 시속 30 km/h(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Yoshimitsu K, Hiroshi Y. Training effects of visual function on college baseball players. Human performance measurement. 2004;1(1):15-23. 

  2. Rouse MW, Deland P, Christian R, Hawley J. A comparison study of dynamic visual acuity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J Am Optom Assoc. 1988;59(12):946-950. 

  3. Hiromi M, Kenji Y, Takeshi Y, Tokio T. The characteristics of kinetic vision in women's table tennis players. Doshisha J Health and Sports Sci. 2010;2(1):26-37. 

  4. Miller JW, Ludvigh E. The effect of relative motion on visual acuity. Surv Ophthalmol. 1962;7:83-116. 

  5. Suzumura A. Studies on kinetic visual acuity. Annu Rep Res Inst Environ Med Nagoya Univ. 1962;10:7-31. 

  6. Nagahama T.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kinetic visual acuity of aged drivers. Fukui Institute of Technology. 1998;28(1):169-175. 

  7. Tychsen L. Binocular vision. In: Moses RA et al. Ed. Adler's physiology of the eye, 9th Ed. St. Louis: C.V. Mosby, 1990;773-810. 

  8. Von Noordern GK.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5th Ed. St. Louis: C.V. Mosby, 1996;24-28. 

  9. Newell FW. Ophthalmology, 6th Ed. St. Louis: C.V. Mosby, 1986;399-431. 

  10. Tyler CW. A stereoscopic view of visual processing streams. Vision Res. 1990;30(11):1877-1895. 

  11. Yi MH, Mah KC, Won CH.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dynamic visual acuity for athletes and nonathletes. Korean J Vis Sci. 2000;2(1):1-6. 

  12. Lee MA, Oh JM, Jeong JM. Dynamic visual acuity and dynamic stereoacuity of athletes and nonathlet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9;14(3):43-49. 

  13. Ahn BC. Dynamic and kinetic visual acuity of athletes and nonathletes. J Korean Sports Med. 1998;16(2):238-244. 

  14. Shim MS, Kim SH, Kang HS, Shim HS. The study of kinetic visual acuity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4):419-424. 

  15. Shim MS, Kang HS, Kim SH, Shim HS. A relationship between kinetic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2):225-229. 

  16. Shim HS, Kim SH, Kang HS, Changes in kva resulting from correction condition of refractive error.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3;18(2):165-171. 

  17. Jin YH. Strabismology, 2nd Ed. Seoul: UUP, 1999;67-75. 

  18. Laby DM, Kirschen DG. Dynamic stereoacuity; Preliminary results and normative data for new test for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motion in depth. Binocular Vis & Eye Mus Surg. 1995;10:191-200. 

  19. Lim KH, Hong HJ. Dynamic stereoacuity in normal indivisuals. J Korean Ophthalmol Soc. 2000;41(11):2008-2014. 

  20. Park SE, Lim KH. Reliability of the dynamic stereoacuity using new personal computer program. J Korean Ophthalmol Soc. 2002;43(1):149-154. 

  21. Won CH, Mah KC. Sports vision training, 1st Ed. Seoul: Daehakselim, 1993;23-24. 

  22. Cline D. Hoffstetter HW, and Griffin JR. Dictionary of visual science, 3rd Ed. Radnor, PA, Chilton, 1980;305-306. 

  23. Fergenson PE, Suzansky JW. An investigation of dynamic and static visual acuity. Perception. 1973;2(3):343-356. 

  24. Ludvigh E. The visibility of moving objects. Science. 1948;108(2794):63-64. 

  25. Yoshimitsu K, Hiroshi Y, Keishoku S, Kazuhiro A, Ryoko T.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s in dynamic and kinetic visual acuities in children from 8 to 17 years of age. International J Sport and Health Sci. 2008;6(1):128-134. 

  26. Mochizuki S, Edagawa H, Hasuike M, A study of kinetic visual acuity and refraction in athletes. J Japanese Orthopt. 1998;26(1):25-30. 

  27. Pettigrew JD. Binocular neurons which signal change of disparity in area 18 of cat visual cortex. Nature. 1973; 241(108):123-124. 

  28. Anderson SJ, Holliday IE. Night driving: effects of glare from vehicle headlights on motion perception. Ophthalmic Physiol Opt. 1995;15(6):545-551. 

  29. Matsuo T, Negayama R, Sakata H, Hasebe K. Correlation between depth perception by three-rods test and stereoacuity by distance randot stereotest. Strabismus. 2014;22(3):133-137. 

  30. Mitsuru N, Minoru T, Daisuke K. Effects of aging and regular exercise on the visual function. Juntendo Medical Journal. 2005;51(2):153-159. 

  31. Campos EC, Enoch JM. Amount of aniseikonia compatible with fine binocular vision: some old and new concepts. 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80;17(1):44-47. 

  32. Lovasik JV, Szymkiw M. Effects of aniseikonia, anisometropia, accommodation, retinal illuminance, and pupil size on stereopsi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5;26(5): 741-750. 

  33. Colebrander MC. The limits of stereoscopis vision. Opthalmologica. 1948;115(6):363 -366. 

  34. Lee MA, Kim YJ, Jeong JH. Differences of dynamic visual acuity according to optical lens color.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1):7-11. 

  35. Yi MH, Sin JH.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dynamic visual acuity for visual acuity chart size. Korean J Vis Sci. 2005;7(1):129-133. 

  36. Tomac, Birdal E. Effects of anisometropia on binocularity.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2001;38(1):27-33. 

  37. Lee JY, Seo JY, Baek SU. The effects of glasses for anisometropia on stereopsis. Am J Ophthalmol. 2013;156(6): 1261-1266. 

  38. Weakley DR. The association between anisometropia, amblyopia, and binocularity in the absence of strabismus. Trans Am Ophthalmol Soc. 1999;97:987-1021. 

  39. Park MG, Jin YH. Effect of induced anisometropia on stereoacuity by far and near distance random dot stereo test. J Korean Ophthalmol Soc. 1996;37(5):862-870. 

  40. Heo JW, Yoo KW. Effect of experimentally induced anisometropia on binocular vision. J Korean Ophthalmol Soc. 1999;40(12):3468-3473. 

  41. Sung PJ. Optometry, 7th Ed. Seoul; Daihakselim, 2011; 195-232:305-3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