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on Successful Aging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노화불안이 증가할수록 성공적 노화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사회적 지지 관계에서 노화불안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지지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증가는 성공적 노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노화불안 감소와 성공적 노화를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노화불안이 증가할수록 성공적 노화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사회적 지지 관계에서 노화불안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지지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증가는 성공적 노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노화불안 감소와 성공적 노화를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on successful aging.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s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increased, the successful aging decreased. Seco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on successful aging.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s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increased, the successful aging decreased.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and social support, the social support decreased as anxiety over aging increased.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an increase of social support led to an increase in successful aging. Fourth, Old man in relationship to and successful aging of ageing in the social support mediated effect parts of their identified. Thus, this study suggests measures to decrease the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for the successful aging and proposals for the further studies in an aging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on successful aging.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s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increased, the successful aging decreased.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and social support, the social support decreased as anxiety over aging increased.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an increase of social support led to an increase in successful aging. Fourth, Old man in relationship to and successful aging of ageing in the social support mediated effect parts of their identified. Thus, this study suggests measures to decrease the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for the successful aging and proposals for the further studies in an aging societ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기제로써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노인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그림 1]과 같이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노화불안 감소와 성공적 노화증진을 위한 노인복지의 실천·정책적 개입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노화불안 감소와 성공적 노화증진을 위한 노인복지의 실천·정책적 개입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홍성희·곽인숙(2011)은 노년기 노인들은 가족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노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연구와 강해자(2012)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의 연구도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선행연구와 유사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년기에 경험하는 노화불안 감소와 성공적 노화 경험을 위한 기제로써 사회적지지 변인을 확인하 였다.
가설 설정
첫째, 노인의 노화불안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노인의 노화불안은 사회적지지에 영향을 미치는가?
제안 방법
그리고 성공적 노화의 주관적·객관적 측면을 고려하여 개인과 문화적 차이를 인정 할 수 있는 SOC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3월부터 4월까지 약 2개월 동안 만 65세 이상 노인 5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서울 동부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1곳과 서부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1곳, 그리고 경기도 의왕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1곳, 경로당 3곳에서 설문조사 하여 불완전응답 34부를 제외한 466부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조사자는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 설명과 연구 참여에 동의 한 대상자만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고령으로 인해 설문이 어려운 대상자는 일대일 개별면접방식으로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둘째,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Cronbach's ⍺를 계산하였다. 셋째, 회귀분석 실시 전에 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의 판단을 위해 공선성 통계량에 산출된 공차한계와 분산확대지수 (VIF)를 사용하여 다중공선성 유무를 확인 하였다. 넷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 Baron and Kenny(1986)5의 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통제 변수는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노인의 성별,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주관적 건강, 주관적 경제수준을 반영 하였다.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and Kenny(1986)가 제안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모델 1, 모델2, 모델3으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매개효과 검증 방법에 따라 모델1은 독립변인인 노화불안과 종속변인인 성공적 노화 관계를 확인한 모형, 모델2는 독립변인인 노화불안과 매개변인인 사회적 지지 변인과의 관계를 확인한 모형, 모델3은 독립변인인 노화불안과 매개 변인인 사회적 지지, 그리고 종속변인인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확인한 모형이다.
다음으로 교육수준은 ‘초등학교 졸업’ 1, ‘중학교 졸업’ 2, ‘고등학교 졸업’ 3, ‘대학교 졸업’ 4, ‘대학원 졸업’ 5의 단계로 구성하여 측정 하였으며, 주관적 건강은 ‘매우 건강하지 못하다’ 1, ‘건강하지 못하다’ 2, ‘보통 이다’ 3, ‘건강하다’ 4, ‘매우 건강하다’ 5로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경제는 ‘매우 나쁘다’ 1, ‘나쁘다’ 2, ‘보통이다’ 3, ‘좋다’ 4, ‘매우 좋다’ 5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2013년 3월부터 4월까지 약 2개월 동안 만 65세 이상 노인 5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서울 동부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1곳과 서부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1곳, 그리고 경기도 의왕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1곳, 경로당 3곳에서 설문조사 하여 불완전응답 34부를 제외한 466부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조사자는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 설명과 연구 참여에 동의 한 대상자만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고령으로 인해 설문이 어려운 대상자는 일대일 개별면접방식으로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데이터처리
둘째,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Cronbach's ⍺를 계산하였다.
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대한 빈도분석과 성별,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주관적 건강, 주관적 경제를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Cronbach's ⍺를 계산하였다.
또한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은 Sobel검증, Aroian검증, Goodman 검증, Bootstrapping을 통한 검증이 가능하다 [18].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표 5]와 같이 제시 한다.
이론/모형
셋째, 회귀분석 실시 전에 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의 판단을 위해 공선성 통계량에 산출된 공차한계와 분산확대지수 (VIF)를 사용하여 다중공선성 유무를 확인 하였다. 넷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 Baron and Kenny(1986)5의 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노화 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유의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sobel test를 사용되었다[18].
성공적 노화는 한국노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김동배 (2008)의 성공적 노화 척도를 연구에 사용 하였다. 성공적 노화 척도는 총 31 문항으로 자율적인 삶 9문항, 자기완성지향 6문항, 적극적 인생참여 5문항, 자녀에 대한 만족 5문항, 자기수용 3문항, 타인수용 3문항으로 척도는 ‘전혀 그렇지 않다’ 1, ‘그렇지 않다’ 2, ‘보통이다’ 3, ‘그렇다’ 4, ‘매우 그렇다’ 5의 5점Likert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성공적 노화의 증가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노화불안은 김욱(2010)이 노인을 대상으로 현재 노인이 더 노인이 되었을 때를 고려하여 응답할 수 있도록 번안하여 보완된 AAS(Anxiety about Aging Scale)척도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노화불안척도는 총 20문항으로, 노인에 대한 두려움 5문항, 심리적 불안정 5문항, 외모에 대한 걱정 5문항, 상실에 대한 두려움 5문항으로 긍정 13문항, 부정 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적 지지는 Zimet(1988) 등이 고안한 MSPSS(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를 손덕순(2005)이 가족 지지 3문항, 친구 지지 3문항, 전문가 지지 2문항으로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척도는 ‘매우 그렇지 않다’ 1, ‘그렇지 않다’ 2, ‘그렇다’ 3, ‘매우 그렇다’ 4의 4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음을 의미한다.
성능/효과
셋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가 있는가?
셋째,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노년기에 경험하는 소외감, 외로움, 역할상실, 일상생활의 스트레스 등은 노인의 삶의 질 저하뿐만 아니라 성공적 노화를 저해하는 장애요소로 설명된다. 노인들의 삶의 질을 위협하는 장애요소는 사회적 지지 변인을 통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첫째, 노화불안은 5점 만점에 전체 평균 2.77점(SD=.38)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별 수준을 살펴보면 ‘노인에 대한 두려움’ 2.23점 (SD=.74), ‘심리적 불안정2.50점(SD=.77), ‘외모에 대한 걱정’ 2.74점(SD=.68), ‘상실에 대한 두려움’ 3.34점 (SD=.74)으로 ‘상실에 대한 두려움’의 평균이 노화불안 요인에서 가장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는 4점 만점에 전체 평균 3.10점(SD=.39)으로 ‘가족 지지’ 평균 3.17 점(SD=.39), ‘친구지지’ 평균 2.16점(SD=.58), ‘전문가 지지’ 평균 3.01점(SD=.72)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지지’의 평균이 사회적 지지 요인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둘째, 성공적 노화수준을 각 요인별로 살펴보면 전체 평균 5점 만점에 3.83(SD=0.54)점으로 ‘자녀에 대한 만족’ 3.97(SD=0.73), ‘자기완성 지향’ 3.80(SD=0.66), ‘자기수용’ 3.72(SD=0.80), ‘타인수용’ 3.80(SD=0.67)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자율적인 삶’은 4.02(SD=0.55)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적극적인 인생참여’는 3.67(SD=0.77)로 가장 낮은 결과로 나타났다.
8%(13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관적 경제를 살펴보면, 보통이다 67.4%(314명), 좋다 11.8%(55명), 나쁘다 12.2%(57명), 매우 나쁘다 5.6%(26명), 매우 좋다 3.0%(14명)의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경제 상태에서 보통인 대상자는 67% 이상을 보여 주어 연구대상자의 경제 상태는 비교적 안정적이라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성별,연령, 배우자 유무, 주관적 경제변인이 노화불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노화불안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냈다(β=-.311, p<.01).
모델3은 인구사회적변인들 중에서 성별(β=-.136, p<.01), 주관적 건강(β=-.083, p<.05)이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독립변인인 노화불안은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β =-.332, p<.001), 매개변인인 사회적 지지 변인과도 유의미한 영향을(β=.398, p<.001)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세 번째 조건도 충족 되었다.
모델2는 인구사회학적 변인들 중에서 주관적 경제(β =-.168, p<.001)변인만 사회적 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인인 노화불안이 매개변인인 사회적 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β=-.283, p<.001)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두 번째 조건이 충족되었다.
마지막으로 성공적 노화는 성별, 배우자 유무, 주관적 건강, 주관적 경제 변인, 노화불안, 사회적 지지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성공적 노화가 증가할수록 사회적 지지는 증가되고 노화불안은 감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β=.530, p<.01).
다시 말해 분산확대지수가 5 이상이면 다중공선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10이상이면 다중공선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분산확대지수는 3으로 나타나 다중 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매개변인인 사회적 지지가 통제 되어도 독립변인인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노화불안이 사회적지지의 영향으로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어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에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직접효과’,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간접효과’라고 하며 전체 인과적 효과(총 효과)는 ‘직접효과 + 간접효과’이다. 본 연구에서 총 인과적 효과에서 직접효과는 -.445이며, 간접효과는 -.125로 총 인과적 효과는 -.570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은 Sobel검증, Aroian검증, Goodman 검증, Bootstrapping을 통한 검증이 가능하다 [18].
첫째, 노화불안이 증가할수록 성공적 노화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노화불안은 심리적 측면에서 성공적인 노화 경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노인의 노화불안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지지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김신미·김순이(2009)의 노화불안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에 관한 연구의 결과와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김욱(2010)의 한국과 미국노인의 노화불안 비교연구에서 한국노인, 미국노인 모두 사회적 지지가 노화불안을 감소시킨다는 결과와도 일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김신미·김순이(2009)의 노화불안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에 관한 연구의 결과와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김욱(2010)의 한국과 미국노인의 노화불안 비교연구에서 한국노인, 미국노인 모두 사회적 지지가 노화불안을 감소시킨다는 결과와도 일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노화불안과 유사변인6으로 우울 및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관계를 통하여 노화불안, 우울, 스트레스를 사회적 지지 변인이 감소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Baron and Kenny가 제안한 3단계 조건을 모두 충족하여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민주(2013)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를 성공적 노화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보고하였으며, 정옥분 외(2013)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가 여성노인의 인지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성공적 노화 경험을 증가시킨다는 유사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후속연구
인구고령화는 최근 사회변동의 현상으로서 한국을 비롯한 서구국가에서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향후 50년간 세계인구 구조는 출산율 저하로 인한 청년층 감소와 노령 인구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른 급격한 변화가 예상된다[18]. 또한 인구 고령화는 새로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어 전생애에서 노년기가 차지하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성공적 노화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증가되면서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의 삶이 집중적으로 조명되고 있다.
성공적 노화와 노화불안 간의 기존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직면한 인구 고령화를 적극 반영하였다. 그러나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성공적 노화와 노화불안간의 관련성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성공적 노화와 노화불안 간의 상관 관계를 밝히는 연구의 제한점이 있다.
첫째, 노년기의 노화불안 최소화는 성공적 노화 적응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며, 구체적으로 노화불안 감소를 위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특히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노화로 인한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인활동의 적극적 참여를 위한 프로그램 홍보와 취약노인의 참여를 위한 개입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셋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 향상을 위한 노인 개인, 가족 구성원을 포함하는 대상들에게 지속적인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이러한 지속적인 노력은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서울과 의왕 시에 소재한 노인복지관과 경로당을 이용하는 대상자에 국한하여 편의표집 하였으므로 연구 결과에 대한 일반화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표본의 확대와 확률표집을 통한 결과를 일반화할 필요가 있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서울과 의왕 시에 소재한 노인복지관과 경로당을 이용하는 대상자에 국한하여 편의표집 하였으므로 연구 결과에 대한 일반화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표본의 확대와 확률표집을 통한 결과를 일반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화불안의 다면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한국노인에게 적합한 척도를 개발하여 향후 연구에 적용하는 필요성과 다양한 연구를 제안한다.
셋째, 노화에 대한 불안감 해소와 성공적인 노화를 증가 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고령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를 제안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화불안이란 무엇인가?
노화불안은 생애주기발달과정에서 노화 적응과정과 노년생활에 대한 불안감으로, 나이 들어감에 따라 느끼는 걱정과 두려움의 복합된 개념이다[5][32]. Lasher and Faulkender(1993)는 노화불안을 노인이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 자신의 노후에 대한 심리적 불안정, 외모에 대한 걱정, 노년기에 경험하게 될 상실에 대한 두려움의 다면적인 개념으로 제시하였다.
노년기의 성공적 노화 적응을 위해, 사회구성원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노년기의 성공적 노화 적응을 위한 사회구성원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과거 노인에 대한 힘없고, 병들고, 보호 받아야만 하는 부정적 인식과 편견은 노인 스스로가 노인에 대한 나약한 존재로 인식하게 하며, 또한 성공적 노화 적응의 저해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젊음지향주의 인식 전환을 위한 생애주기발달 과정으로 노년기를 이해하는 관점으로 전환 할 수 있는 사회구성원의 노인에 대한 이해교육이 필요하겠다.
사회적 지지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박지원(1985)은 가족, 친구, 이웃, 전문가 등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도움과 원조를 사회적 지지로 정의하였으며,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정서적 지지는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여 개인 자신이 사회 성원들에게 존경과 애정을 받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행위에 관련한 것이며, 정보적 지지는 개인과 환경으로부터 제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 주는 행위를 의미한다.
참고문헌 (37)
강해자, "노인의 노화불안이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독거노인과 비독거 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제57호, pp.191-220, 2012.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0호, pp.211-231, 2008.
김순이, "일 지역 노인의 노화불안에 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1호, pp.7-15, 2005.
이혜경, 이병록,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지지와 일상생활기능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8호, pp.201-225, 2011.
윤현숙, 구본미,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1호, pp.303-324, 2009.
정옥분, 임정하, 정순화, 김경은, "노년기 사회적 자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개인적 자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인간발달 연구, 제20호, pp.79-99, 2013
조해경,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최성재, 고령화 사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홍성희, 곽인숙, "노화에 대한 태도가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유배우 노인과 무배우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49권, 제4호, pp.78-81, 2011.
통계청(2010), 장래인구추계.
(2014), 고령자통계.
P. B. Baltes and M. M. Baltes,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1-34. In successful aging: Perspective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Baltes, M. M.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B. J. Fisher,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in later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41, No.3, pp.239-250, 1995.
K. P. Lasher and P. J. Faulkender,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Vol.37, No.4, pp.247-259, 1993.
J. W. Rowe and R. H. Kahn, Successful Aging, New York: Dell Publishing a Division of Random House, 1998.
L. Rudkin, Social support. In R Schulz, L. S. Noelker, K. Rockwood, & R. L. Sprott(Eds.), The Encyclopedia of Aging, pp.1121-1126, 4th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6.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