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묵적 기억의 발달: 지식기반과 메타기억의 영향
Development of Implicit Memory: The Effect of Knowledge Base and Meta Memor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9, 2015년, pp.639 - 651  

장세희 (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식기반과 메타기억이 범주 예 생성 과제를 통해 측정되는 개념적 암묵적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의 초등학교 2학년 60명, 초등학생 6학년 60명, 고등학생 60명, 총 180명이었다. 대상 아동들에게 범주예 생성 암묵적 기억검사, 지식기반검사, 메타기억검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령이 높을수록 암묵적 기억이 발달하였다. 암묵적 기억량은 초등학교 2학년과 고등학생, 초등학교 6학년과 고등학생 간에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지식기반수준이 높을수록 암묵적 기억이 발달하였다. 연령과 지식기반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메타기억이 높을수록 암묵적 기억이 발달하였다. 본 연구결과들로 연령, 지식기반, 그리고 메타기억이 암묵적 기억의 발달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아동이 연령에 따라 지식기반과 메타기억이 발달한다면 암묵적 기억이 발달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knowledge base and metamemory in children's conceptual implicit memory with category-exemplar-generation task. Subjects were total 180 children of each 60 from Grade2, Grade6 and High school students. They were examined implicit memory with c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결과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개인이 지니고 있는 범주 지식과 사전 지식이 증가하게 되고, 학습자가 전문가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수행상의 변화가 서술적 지식 뿐만이 아니라 절차적, 암묵적 지식의 수행에도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리고 명시적 기억의 발달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던 지식기반과 메타기억이 암묵적 기억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지식기반과 메타기억이 아동의 전반적 기억발달에 기여하는 바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학습장면에서 암묵적 기억과 학습의 효율성을 모두 증가시킬 수 있는 지식기반과 메타기억 학습을 활용한 다면적 학습방법의 구체적 방법을 모색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앞서 지식기반과 메타기억이 암묵적 기억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언급했던 선행 연구들에서는[13][14] 암묵적 기억의 발달차를 발견하였으나, 이의 원인으로 지식기반의 확장과 메타기억의 발달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논의하였을 뿐 지식기반과 메타기억을 실험변인으로 하여 암묵적 기억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암묵적 기억의 연령차이를 살펴보고, 암묵적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논의되고는 있으나 구체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지식기반과 메타기억이 실제로 암묵적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의미있게 구성된 자극들이 기억에 저장되거나 기억에 인출될 때 단순히 복사되거나 재생산 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인 변화과정을 통해 개념적으로 표상화 되기 때문에 지식기반이 확장됨에 따라 기억발달 또한 촉진될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이 높을수록 암묵적 기억의 수행 또한 발달할 것이라고 보는 관점에서 출발하여[11][13][14], 연령과 지식기반 수준에 따른 암묵적 기억을 측정해 보도록 하겠다.
  • 목록 3은 사후 예측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목록 1, 2, 3을 보여주면서 기억을 할 수 있는 단어의 개수를 사전, 사후 두 차례에 걸쳐 예측하라고 하는 것이다. 목록 1은 연필, 포크, 오징어, 나비, 입술, 양말, 고추, 의사, 바이올린, 전화기, 거북이, 코스모스, 해, 시소, 귤 의 15개 단어가 있는 것이고, 목록 2에는 꽃게, 북, 컴퓨터, 바지, 나무, 가위, 우산, 곰, 할머니, 아이스크림, 칼, 자전거, 파인애플, 오이, 두꺼비의 15개 단어가 있는 것이고, 목록 3에는 미끄럼틀, 피아노, 갈매기, 청소기, 주전자, 시계, 사탕, 크레파스, 산, 당근, 소방관, 참외, 신발, 한복, 눈동자의 15개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 따라서 문자 학습이나 개념적 과제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학령기의 아동과 성인의 암묵적 기억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원인들은 어떤 것인지를 찾아낼 수 없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개념적 과제를 사용하여 아동의 암묵적 기억의 발달차이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암묵적 기억의 발달에는 연령뿐만이 아니라 지식기반과 메타기억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한 선행연구들의 이론을 검증하였다[7][11][13][14]. 아동의 암묵적 기억의 발달에 있어서 연령, 지식기반, 메타기억에 있어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른 암묵적 기억의 발달적 차이를 살펴보고, 암묵적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논의되고는 있으나 구체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지식기반과 메타기억이 실제로 암묵적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2학년, 초등학교 6학년, 고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적 발달차이를 통제하기 위해 어휘와 공통성 소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후에 범주 예 생성 암묵적 기억검사, 지식기반검사, 그리고 메타기억 검사를 시행하였다.
  • 암묵적 기억 검사후에 지식기반을 묻는 질문을 하였다. Murphy, Mckone과 Slee(2003)의 연구에서 사용한 절차와 같이 경우 기억해야할 단어와 범주명이 포함된 문장으로 질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로 평가할 수 있는 대상의 연령 범위는? 한국 웩슬러 지능검사(KWISC-Ⅲ)를 이용하여 개인의 언어성 지능에 포함되는 공통성과 어휘 소검사를 실시하여 아동의 지능을 통제하였다[18][19].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는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WISC, 1949)의세 번째 개정판에 기초하여 제작된 것으로[23], 만 6세부터 만 16세 11개월 된 아동의 지능을 평가할 수 있는 개인용 지능검사이다. 소검사 에서의 아동의 수행은 언어성 지능과 동작성 지능, 전체 지능의 세가지 점수로 요약되는데, 이때 각각의 점수는 개인의 지능에 대해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기억 현상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암묵적 기억'에 대해 어떻게 설명하는가? 이것을 암묵적 기억이라고 한다. 인출 시 의도적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기억현상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인출 시에 이전 경험에 대한 의도적이고 의식적인 회상이 요구되는 기억을 명시적 기억(explicit memory)이라 하였고, 이와는 달리 비의도적 인출을 하며 의식적 평가에 접근할 수 없는 행위나 기술 조작에 관한 기억을 암묵적 기억(implicit memory)이라 하였다[1][13]. 즉 암묵적 기억이란 이전의 경험에 대한 의식적인 인출 노력 없이도 현재의 과제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메타인지란 무엇인가? 메타인지란 문제해결 상황에서 자신의 인지과정에 대한 자각과 관련된다[29]. 자신의 문제해결 단계와 전략을 의식하는 것으로 자신의 사고결과에 의해 얻어진 산출물을 반성해보고 이를 평가해 보는 능력을 의미한다[30]. 이 과정에서 다양한 인지전략이 발달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P. Graf and D. Schacter, "Selective effects of interference on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for new associa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Vol.13, pp.45-53, 1985. 

  2. W. Schneider and M. Pressley, Memory development between 2 and 20, New York: Springer-Verlag, 1989. 

  3. R. V. Kail, The development of memory in children(3rd ed.), New York: Freeman, 1990. 

  4. L. L. Jacoby, "A process dissociation framework: Separating automatic from intentional uses of memory",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Vol.30, pp.513-541, 1991. 

  5. M. Carroll, B. Byrnw, and K. Kirsner, "Autobiographical memory and perceptual learning: A developmental study using picture recognition, naming latency, and perceptual identification", Memory and cognition, Vol.13, pp.273-279, 1985. 

  6. A. Drummey and N Newcombe, "Remembering versus knowing the past: Children's implicit memories for picture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Vol.59, pp.549-565, 1995. 

  7. A. Hupbach, S. Mecklebrauker, and W. Wippich, Implicit memory in children; Are there age-related improvements in a conceptal test of implicit memory : In Hahn., M., & Stonesn(Eds.), Proceedings of the twenty first annual conference of the Cognitive Science Society. Mahwah, NJ : Erlbaum, 1999. 

  8. B. K. Hayes and R. Hennessy,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nonverbal implicit memory,"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Vol.63, pp.22-43, 1996. 

  9. L. J. Anooshian, "Distinctions between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Significance for understanding cognitive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Vol.21, pp.453-478, 1997. 

  10. 장세희, 아동의 암묵적 기억의 발달: 범주 전형성과 제시양식의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1. P. Perruchet, N. Frazier, and J. Lautrey, "Conceptual implicit memory: A developmental study", Psychological research. Vol.57, pp.220-228, 1995. 

  12. S. Komastsu, M. Naito, and T. Fuke, "Age-related and intelligence-related differences in implicit memory; Effects of generation on a word-fragment completion test",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Vol.62, pp.151-172, 1996. 

  13. K. Murphy, E. Mckone, and J. Slee, "Dissociations between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in children: The role of strategic processing and the knowledge base",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Vol.84, pp.124-165, 2003. 

  14. R Hunt and C. A. Lamb, "What does it take to implicitly prime low-frequency category examplar?",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Vol.32, pp.249-258, 2006. 

  15. D. F. Bjorklund, "How age changes in knowledge bas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emory", An interpretive review: Developmental Review, Vol.7, pp.93-130, 1987. 

  16. D. F. Bjorklund, Children's Thinking: Developmental Function and Individual Differences(3rd ed.), CA: Wadsworth, 2003. 

  17. M. H. Joyner and B. Kurtz-costes, Metamemory development. In N. Cowan & C. Hulme(Eds.), The development of memory in childhood, Hove East Sussex, UK: Psychological Press. 1997. 

  18. B. E. Kurtz and J. G. Borkowski, "Children's metacognition: Exploring relations among knowledge, process, and motivational variable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Vol.48, pp.45-61, 1984. 

  19. D. F. Bjorklund, W. Schneider, W. S. Cassel, and E. Ashley, "Trainining and extension of a memory strategy: Evidence for utilization in the acquisition of and organizational strategy in high-and low-IQ children", Child Development, Vol.65, pp.951-965, 1994. 

  20. M. Hasselhorn, "Task dependency and the role of category typicality and metamemory in the development of an organization strategy", Child Development, Vol.63, pp.202-214, 1992. 

  21. 이관용, "우리말 범주 규준 조사", 한국 심리 학회지: 실험 및 인지, 제3권, pp.131-160, 1991. 

  22. E. Rosch,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semantic categorie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Vol.104, pp.192-233, 1975. 

  23. 곽금주, 박혜원, 김정택, K-WISC-III지침서,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24. D. DeMarie and J. Ferron, "Capacity, strategies, and metamemory: Tests of a three-factor model of memory development",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Vol.84, pp.167-193, 2003. 

  25. J. H. Flavell and H. M. Wellman, Metamemory. In R. V. Kail, Jr. & J. W. Hagen (Eds.),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memory and cognition (pp.3-34), Hillsdale, NJ: Erlbaum, 1977. 

  26. J. M. Belmont and J. G. Borkowski, "A group-administered test of children's metamemory", Bulletin of the Psychonomic Society, Vol.26, pp.206-208, 1988. 

  27. M. A. Kreutzer, C. Leonard, and J. H. Flavell, "An interview study of chidlren's knowledge about memoy",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Vol.40, (Serial No.159), 1975. 

  28. 박영아, 아동의 기억책략 사용에서의 이용결여 현상과 메타기억의 영향,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29. 전희정, "웹기반 PBL에서 학습자의 메타인지와 스케폴딩 유형이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pp.161-169, 2007. 

  30. 안진숙, 이경현, "메타인지전략에 기반한 따른 HTML 태그 학습을 위한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5권, 제1호, pp.5-9, 2007. 

  31. 최은실, "읽기 및 쓰기 부진 아동을 위한 학습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393-402, 2014. 

  32. E. Tulving, "What kind of a hypothesisis the distinction between episodic and semantic memor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Vol.12, pp.307-311, 198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